• 제목/요약/키워드: 아파트의 변천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19초

한국 주택의 공간구조 변천에 대하여 -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평면분석

  • 노형래
    • 건축사
    • /
    • 2호통권382호
    • /
    • pp.60-66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

동해 시 아파트 공급의 시대적 변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iodic Changes of Apartment Supply in the City of Donghae)

  • 김경순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67-7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eriodic changes of apartment supply between 1980 and 2001 in the City of Dongha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82 apartment complexes that were built in during 21years. The data were itemized and specified by the unit house area, story, periodic and local apartment distribution. They were classified by five:(5) periods and analyzed by each apartment complexes for building characteristics. There were found that apartment housing were influenced by many primary factors such as demographics and a lot of the housing politics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partment supply in the City of Donghae mass-produced from 1980 to 2001; Especially the forth period was supplied 5,999 households. 2) Between south area and north area was found a regional disparity. 3) The exclusive use $34{\sim}66m^{2}$ were continuously and centrally supplied according to the housing policy and practical demand. 4) For the types of story were variously found ; Especially the below 5 story apartment was continuously supplied.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6)

  • 한동수
    • 건축사
    • /
    • 2호통권382호
    • /
    • pp.67-73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

아파트 실내공간의 차별화 경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versification Trend of Apartment Interior Space Planning)

  • 오혜경;신지원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호
    • /
    • pp.31-38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endency of the current diversified apartment planning. This study was examined by 13 newspapers from January 1th 1995 to 30th 1997. The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trategy of major apartment construction co. was diversified into space planning interior image facilities and utilities and outdoor space design. 2. The trend of space planning was diversified into apartment for 3 generation apartment with its own inside gardeen apartment with kitchen facing south multi-story apartment, apartment with round shape room irregular shaped apartment 3. The trend of interior image was diversified into Korean style natural style casual elegantstyle modern style and classical style.

  • PDF

서울지역 집합주거단지의 변모에 따른 평면형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Case Study on Transition of plan-type by Transfiguration of Housing Complexes in Seoul Area)

  • 전병권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46-57
    • /
    • 2007
  • 본 연구는 현대 집합주택의 개발의 실험적 토대가 되었던 1960년대 이후 1990년대 초반까지의 서울지역 아파트단지들을 중심으로 단지의 측면과 단위평면의 측면에서 시대적 변천과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여 국내 집합주거의 양상이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를 인식하고, 국내 집합주거의 질적 향상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추후 연구의 한 준거를 제시토록 한다. 이를 위하여 집합주거의 생성과 현황에 대하여 일반적인 고찰을 진행하여, 국내 주거양식이 점차로 고층, 고밀화되어가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러한 주거양식의 집합화가 점차로 정책적인 차원에서 더욱 고려되어지고 있음을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시대적 틀 속에서 고찰해 본다. 이와 함께 집합화되는 주거양식이 단위평면속에서는 어떻게 변천해 왔는지를 규모와 제실구성, 설비 및 구조방식, 내부공간 구성방식등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우리나라 공영 아파트단지의 외부공간의 특성 변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in the characteristic of outdoor planning of Korean public Apartment Project)

  • 손세관;강경호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1-8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hange of the Korean public Apartment Project especially in the field of lay-out and site planning of apartment complex. the chronological study is about the change in the location of apartment, its area, its density, the construction of its open space. As a result, the analysis of this researching process of them has shown us the following important factors in the change of the Korean public Apartment Project.

  • PDF

공기청정기 기술의 진보과정과 향후 방향

  • 박종훈;염봉열;윤성진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33권4호
    • /
    • pp.27-30
    • /
    • 2004
  • 최근 주거환경의 악화와 웰빙의 열풍으로 인해 실내 공기 및 물과 관련된 제품들의 개발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본고에서는 공기청정기의 변천사와 기반 연구 및 향후 진행방향에 대하여 논한다. 최근 중국에서의 황사가 연일 매섭게 불어오고 있고, TV나 신문, 잡지 등 매스컴에서는 신축 건물이나 아파트, 공공장소의 실내 공기질의 심각성에 대해 언급하며, 이에 대한 다양한 해결책이 제시되고 있다. 미국이나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이미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는 유해가스 및 미생물, 방사성 동위원소 등의 원인물질을 규명하고, 원인물질에 따른 실내 공기 청정화 방법 등을 제시하거나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