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아담스 논제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16 seconds

조건문에 관한 성향적 분석

  • No, Ho-Jin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9 no.2
    • /
    • pp.31-57
    • /
    • 2006
  • 직설법적 조건문의 이론이 해결해야 할 문제 중 하나는 각자 옳을 것 같지만 모두 참일 수 없는 직설법적 조건문에 관한 세 원리들이 있다는 것이다. 먼저 직설법적 조건문을 진리 함수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주관적 확률'을 고려할 때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논증할 것이다. 필자는 여기서 직설법적 조건문에 관한 성향적 분석을 제시하고 이 이론이 세 원리들의 문제를 해결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잘 알려져 있는 직설법적 조건문의 수용 조건 혹은 주장가능성 조건을 제시하는 아담스 논제는 조건부 확률이 두 절대적 확률의 비로 정의된 다면 옳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조건부 확률을 성향적으로 정의할 경우에만 아담스 논제는 옳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아담스 논제의 주장가능성 조건을 진리 조건으로 제시하는 이론도 논박될 것이다.

  • PDF

직설법적 조건문의 인식적 수용조건

  • Won, Yu-Na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1 no.1
    • /
    • pp.91-129
    • /
    • 2008
  • 이 논문은 '만약(If)$\sim$라면, (then) ...이다.' 형식의 조건문 중에서도 직설법적 조건문의 적법한 사용이 어떠한 조건을 만족시켜야 하는가에 대한 글이다. 일반적으로 직설법적 조건문은 발화자가 전건을 확신하지 못하는 인식적 상태를 표현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가정법적 조건문은 전건이 성립하는 특정한 세계에 대한 진술로 이해된다. 직설법적 조건문의 인식적 수용조건을 도출하기 위해, 기존 이론의 조건문의 수용과 주장을 진리조건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불만족스럽다. 기존 이론의 문제점을 고찰하여 보면, 한 언어의 유창한 사용자가 조건문에 대해서 기대하고 있는바가 무엇인지, 그리고 적절한 직설법적 조건문의 사용이 어떤 조건을 요구하는지가 드러난다. 그리고 이 요구를 수용함으로써 직설법적 조건문에 대한 대안적 사용 조건인 '인식적 수용조건'을 정식화 할 수 있다.

  • PDF

Stalnaker's Theory of Indicative Conditionals (직설법적 조건문에 대한 스톨네이커의 해석)

  • Song, Ha-Suk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2 no.2
    • /
    • pp.31-58
    • /
    • 2009
  • This paper defends Stalnaker's theory of indicative conditionals. His theory consists of selection functions and pragmatic constraints. The selection function takes a certain possible world(W) and a proposition(A) to yield a possilble world that is similar to W and in which A is true. And the pragmatic constraints plays role to make selection functions apply just to indicative conditionals. According to Stalnaker, as indicative conditionals has strong truth-value, uncontested principle always holds but passage principle does not always hold. However, his theory can explain why passage principle sometimes holds by means of pragmatic constraints. Also, this paper argues that Stalnaker's theory is the most acceptable one among others, by replying to criticisms suggested by Adamsians and the problem raised by Gibbard and other criticis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