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니사키스증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63초

우리나라의 주요 기생충질환(寄生蟲疾患)에 대한 혈청역학적(血淸疫學的) 조사(調査) (Studies on the Seroepidemiology of Helminthic Diseases in Korea)

  • 임한종;이준상;주경환;정명숙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16권1호
    • /
    • pp.48-60
    • /
    • 1991
  • 폐흡충증, 스팔가눔증, 낭미충증, 아니사키스증, 개회충증 및 간흡충증의 혈청역학적 조사를 ELISA(Enzvme-linked immunosorbent assav)를 이용하여 시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총 6,074명에 대한 검사결과 19.7% 에서 한 종류 이상의 혈청항체 양성을 나타내었다. 이중 아니사키스증은 8.1 %, 개회충증은 5.6%, 간흡충증은 3.6 %, 폐흡충증은 1.7%, 낭미충증은 4.5%, 스팔가눔증은 2.6%의 혈청항체 양성률을 나타내었다. 부산지역은 총 450예를 검사하여 아니사키스가 2.9%, 간흡충이 2.8%의 항체양성률을 보였고, 대전지역에서는 675명중 개회충이 6.7%, 아니사키스가 3.7% 로 비교적 높은 양성률을 나타내었다. 춘천군에서는 875명중 아니사키스증의 혈청항체가 3.4%에서 양성을 보였고 동해시지역에서는 675명 중 아니사키스가 16.9%로 나타났다. 전남 남부지역의 1,122명은 전반적으로 높은 혈청항체 양성률을 보였는데 아니사키스가 16.9%, 낭미충증항체가 12.7 %에서 양성이었고 폐흡충은 3.3%가 양성이었다. 전북일부지역 702명에 대한 조사에서는 낭미충증 항체가 9.3%에서 양성이었고 아니사키스도 4.3% 의 양성률을 나타내었다. 한편 경북 일부지역 900명에 대한 조사에서는 아니사키스와 개회충 항체가 10.6%, 16.1 %로 나타나 높은 양성률을 보였고, 제주지역에서 675명을 조사하여 아니사키스에 대한 혈청항체가 6.7% 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성적은 물론 윤충류 상호간의 교차반응등 보다 확실한 검정이 필요하겠으나 우리나라 사람 있어서 몇몇 윤충류 질환에 대한 혈청항체 양성률을 조사한 자료로서 앞으로의 혈청역학적 조사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ELISA와 SDS-PAGE/immunoblot을 이용한 실험적 토끼 아니사키스증에서 혈청 항체가의 변화 (Changes of IgM and IgG antibody levels in experimental rabbit anisakiasis as observed by ELISA and SDS-PAGE/immunoblot)

  • 양현종;조유정;백영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4호
    • /
    • pp.389-396
    • /
    • 1991
  • 인체아니사키스증은 우리나라에서도 드물지 않게 발생하나 과거에는 수술에 의한 충체의 확인만이 진단이자 치료이어서 진단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위내시경이 진단과 치료에 이용되면서 많은 중례의 발견을 가져오게 되었다. 그러나 증상이 심하지 않을 경우나 위내시경의 삽입이 어려운 장(장) 아니사키중 또는 만성 아니사키스중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혈청학적 방법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아니사키스중의 혈청학적 진단연구를 위해 붕장어에서 채집한 유충을 토끼에 10마리섹 감염시키고 IsM, IgG 항체의 출현시기와 변화양상을 ELISA와 SDS-PAGE/immunoblot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ELISA에 의하여 측정한 19M 항체는 감염 6일부터 증가하여 11일째 최고치에 도달한 후 35일 이후에는 감 염 전의 수준으로 저하하였고 IgG 항체가는 감염 6일부터 증가하여 26일째 최고치에 도달한 후 95일까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2. 7.5∼15% SDS-PAGE에서 아니사키스추출액은 최소 41개 이상의 단백분회 을 나타냈으며 195, 145, 110, 104, 73, 69, 49, 42.5, 40, 34, 30, 24, 20, 16, 14 kDa가 주 분획이었다. 3. Immunoblot에 의해 IgM 항체에 반응하는 주 band는 168, 95, 74, 64, 51, 47, 34 kDa의 5개 band이었다. 4. IgG 항체와 반응하는 항원 분획은 11개 이상 관찰되었고 그 중 168, 92, 85, 64, 58, 52, 42, 40 kDa가 강한 반응을 보였다. 5. 아니사키스추출액 항원과 다른 기생충성 질환자 혈청과의 교차반응은 관찰할 수 없었다.

  • PDF

장폐색을 동반한 공장 아니사키스증 (A case of anisakiasis causing intestinal obstruction)

  • 김이수;이연호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1호
    • /
    • pp.93-96
    • /
    • 1991
  • 서울에 거주하는 상사 직원인 31세 남자가 이틀전부터 시작된 갑작스런 하복부 복통으로 입원하였다. 단순복부촬영상 기계적인 장폐색 소견을 보여 실험적 개복술을 실시한 바 공장부위의 장막에 봉와직염이 있었고 출혈점 부위에서 길이 1 cm인 선충을 발견하였다. 이 충체 절단면의 Y-자 모양 측선의 특징을 기초로 Anisakis 유충으로 동정하였다. 우리나라의 아니사키스중 보고례에 대하여 간단히 요약하고 이 질환이 장폐색증의 감별진단의 대상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 PDF

노량진 수산시장에서 구입한 붕장어(Astroconger myriasser)의 아니사키스 유충 감염 상황 (Infection status of the sea eel (Astyoconger muyinster) purchased from the Noryangjin fish market with anisakid larvae )

  • 채종일;조상록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3호
    • /
    • pp.157-162
    • /
    • 1992
  • 해산 어류의 하나인 봉장어(Astroconger myriaster: 속칭 아나고)는 우리 나라에서 인체 바니사키스증의 중요한 감염원 역할을 하고 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나 실제 붕장어의 아니사키스 유충 감염 상황에 대한 보고는 없었다. 이에 저자 등은 노량진 수산시장에서 붕장어 26마리를 구입한 후 어체 부위 (내장, 근육, 머리와 껍질)별로 인공소화시킨 다음 아니사키스 유충을 수집하고 부위별 감염 상황, 유충의 종류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붕장어 26마리 중 IS마리(57.5%)에서 바니사키스 유충 총 1,351마리가 회수되었고, 부위별로는 내장이 1,269마리로 가장 많았으나 근육에서도 66마리, 머리와 껍질에서도 16마리의 유충이 각각 회수되었다. 회수된 아니사키스 유충은 모두 7종류이 었으며,, Anisakis type I (Berland, 1961)이 564마리, Contracaecum type A 및 type D(Koyama et at., 1969)가 각각 409마리 및 5마리, Contracaecum type C'및 type D'(Chai et nt., 1986)가 각각 83마리 및 117마리, Contrntaecum type V(Yamaguti, 1935)가 1마리로 분류되었고, 나머지 172마리는 이미 보고된 유형과는 다른 것이어서 ◎ontracaecu산 type A'(new type)로 제안하였다. 이상과 같이 아니사키스 유충은 우리 나라 근해산 붕장어에 농후하게 감염되어 있으며, 내장은 물론 근육에도 일부 기생하고 있음이 확인되었고, 유충 종류별로는 인체 기생을 잘 일으키는 Anigakis type I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소아에서 반복성 복통을 동반한 위 아니사키스증 1례 (A Case of Gastric Anisakiasis with Recurrent Abdominal Pain in a Child)

  • 권재훈;엄지현;정기섭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7권1호
    • /
    • pp.74-77
    • /
    • 2004
  • 저자들은 내원 2개월 전 붕장어 회를 먹은 후 하루에 수차례 나타나는 반복성 복통을 주소로 내원한 10년 1개월 된 여아에서 상부위장관 내시경으로 진단된 위아니사키스증 1례를 경험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 PDF

Pseudoterranova decipiens의 유충에 의한 위 아니사키스증 1례 (A human case of gastric anisakiasis by Pseudotewcnova decipiens larva)

  • 손운목;설상영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2권1호
    • /
    • pp.53-56
    • /
    • 1994
  • 1991년 4월 23일에 심한 상복부통을 주소로 부산 백병원 내과를 찾아온 42세 가정주부에 대한 내시경 검사에서 위벽을 뚫고 있는 아니사키스 유충 1마리를 검출하였다. 환자는 내원 약 15시간 전에 우럭 회를 먹은 경험이 있었으며 회를 먹고 약 6시간 후부터 심한 상복부통이 나타났다고 하였다. 각종 검사상 특이 소견은 없었고 위 내시경 검사에서 위체 대만부 중간부위의 점막을 뚫고 있는 아니사키스 유충 1마리를 발견하여 제거하였다. 제거한 충페는 $29.73{\;}{\times}{\;}0.94{\;}mm$ 크기이었고 ventriculus 전방 115 이상 부위까지 올라오는 맹장을 가지고 있었으며 ventricular appendage는 관찰되지 않았다. 충체의 전단에서 윤곽이 뚜렷한 3개의 구순은 관찰되었으나 boring tooth는 존재하지 않았고 후단에서 mucron도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형태학적 특징 및 계측치를 토대로 하여 Pseudntewonon decipien (= Terranova type A) 제4기 유충인 것으로 동정하였다. 이 기생충의 국명을 물개회충으로 제안한다.

  • PDF

중국 연변지역 주요 기생충질환에 대한 혈청역학적 조사 (Seroepidemiology of helminthic diseases in Yanbia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 주경환;전복실;권혜수;조성원;이순옥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3권2호
    • /
    • pp.275-285
    • /
    • 1998
  • 간흡충(Clonorchis sinensis), 폐흡충(Paragonimus westermani), 스팔가눔(sparganum), 뇌낭미충(Cysticercus cellulosae), 아니사키스(Anisakis spp.), 선모충(Trichinella spiralis), 개화충(Toxocara canis)에 대한 IgG항체반응을 ELISA를 이용하여 연변지역주민의 혈청역학적 조사를 시행하고 그 결과를 PC-SAS 시스템으로 통계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995년 10월부터 1997년 6월 사이에 수집된 총 975명의 혈청에 대한 검사결과 23.87%에서 한 종류이상의 혈청항체 양상을 나타내였다. 이중 간흡충증은 5.74%, 폐흡충증은 4.92%, 낭미충증은 1.54%, 스팔가눔증은 8.51%, 아니사키스증은 1.85%, 개회충증은 12.51%, 선모충증은 7.08%의 혈청항체 양성률을 나타내었다. 판정된 양성혈청을 통계분석한 결과 간흡충(p<0.01), 혜흡충(p<0.01), 아니사키스(p<0.05), 개회충(p<0.01), 선모충(p<0.01)의 각 연령그룹비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스팔가눔증은 성별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보였다(p<0.05). 간흡충과 폐흡충은 50대 연령층에서 높은 양성항체가를 나타내는 반면 개회충과 선모충은 20대에서 높은 항체가를 보여주었다. 또한 내과질병으로 않고 있는 환자혈청은 낭미충증을 제외한 6종류 윤충류에서 정상대조인과 비교하여 볼 때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혹은 p<0.01). 즉 환자가 정상대조인보다 혈청양성률이 훨씬 높았다. 이상의 결과는 물론 선충사이의 교차반응이 있을거라고 추측되며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EITB를 시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번 조사는 중국 연변에서 처음으로 되는 혈청역학조사이며 앞으로 기생충진환 퇴치대책에 아주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실험적 토끼 아니사키스증에서의 조직학적 병변과 혈청 항체가의 경시적 변동 양상 (Histopathological and Serological Observations on Experimental Anisakiasis of Rabbits)

  • 홍성태;이손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5권2호
    • /
    • pp.168-180
    • /
    • 1987
  • 아니사키스중에서 조직병리학적 병변과 혈청학적 반응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동 양상을 관찰하고자 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조기 와 아나고 내 잔에서 구한 멸룬연상 type I 유충을 체중 3kg 내외의 집토끼에 30마리씩 경구 투여하고, 감염 전과 감염 후 3, 13, 20, 30, 60, 90, 150일에 채 늴하여 혈청을 냉동 보관 하였다. 동시에 13, 20, 30, 60, 90, 150일에 1~3마리 씩 도살하여 위부터 하행결장까지 육안으로 검사하여 아니사키스 충체의 유무를 조사하고, 충체가 감염된 부위를 선택하여 조직학적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냉동 보관한 혈청을 이용한 micro-ELISA를 시행하여 항체가의 변동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육안 검사에서 아니사키스 유충은 위에서 57.7%가 검출되고, 그 이외에 대망(mentum), 잗, 장간막, 복막등에서도 검출되 었다. 감염기 간에 따른 충체의 검출율이나 검출부위의 차이는 인정 할 수 없었다. 전체 충체검출율은 18.6%이고 살아서 움직이는 충체는 하나도 없었다. 2. 조직병리학적으로 관찰한 바, 감염 후 13일에는 대부분의 충체가 내부구조를 온전하게 유지하고 있으면서, 충체 주위에는 농양이 형성되어 있어 감염된 위장관벽이 2~3배 두꺼워져 있었다. 충체 주변에 섬유성 삼출액이 염증세포와 혼합되어 있고 그 주위를 조직세포(histiocytes)가 층을 이루며 둘러싸고 다시 주위의 병소 대부분을 수많은 염증세포(중성구, 호산구, 림프구등)와 섬유아세포가 차지하고 있었다. 감염 후 20일과 30일에는 삼출액이 차츰 줄고, 섬유소가 증식하는 육아조직으로 전환되었다. 충체는 20일 관찰된 것부터 괴사에 빠지고, 30일에는 조직구가 직접 충체를 둘러싸며 숙주세포가 충체를 침윤하는 것이 뚜렷이 관찰되었다. 또 30일부터 칼슘이 침착된 충체가 관찰되었다. 감염 후 90일과 150일에는 칼슘화된 충체만이 관찰되며 충체주위는 섬유조직으로 대체되고 소수의 염증세포 만이 모여 있었다. 3. ELISA를 이용하여 혈청내 Is G항체가의 측정결과 감염 후 기간에 따른 카 군별 흡광도(O.D.)의 평균(${\pm}표준편차$)치가 대조군 0.165(${\pm}0.144$), 3일 0.257(${\pm}0.194$), 13일 0.448(${\pm}0.257$), 20일 0.662(${\pm}0.311$), 30일 1.113(${\pm}0.336$), 60일 0.993(${\pm}0.331$), 90일 0.740(${\pm}0.185$), 150일에 0.376이 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토끼에 감염된 아니사키스는 감염 1주 경에 죽고, 2주 정도 까지는 형태학적 구조를 유지하지만, 20일 이후에는 괴사되며, 30일 이후에는 숙주 세포에 의하여 파괴 흡수되거나 석회화되는 과정을 겪고, 90일 이후에는 석회화된 것 이외에는 거의 흡수되어 관찰되지 않는다고 할 수 있겠다. 충체가 감염된 후 죽어서 흡수되기 시작하는 30일 정도의 기간동안 집중적으로 충체의 항원이 방출되어 항체가가 위와 같은 변화양상을 보인다고 판단된다. 감염 150일에는 항체가가 뚜렷하게 감소한 상태이므로 감염 후 20~90일에는 ELISA가 유용한 혈청학적 진단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진단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교차 반응등에 관하여 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광주와 전남지역에서 조직학적으로 진단된 기생충 감염양상 (Status of parasitic infection diagnosed by surgical biopsy in Kwangju and Chollanam-do)

  • 김진;정우식;조규혁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2권2호
    • /
    • pp.93-100
    • /
    • 1994
  • 조직학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인체 기생충증의 종류 및 감염양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1980년부터 1989년까지 10년 동안 전남대학교병원 병리과에 통상적인 조직검사가 의뢰된 80,947례 중 기생충 감염으로 진단된 149례(0.18%)를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직학적으로 진단된 기생충증은 낭미충증 112례. 례흡충증 17례. 간흡충증 7례. 아메바증 4례. 간질증 스파르가눔증. 요충증 및 아니사키스증 각각 1례 등이었다. 낭미충증은 여성에서 약간 많았으며. 연령별 감염빈도는 20대에서 가장 높았고, 주로 침범하는 부위는 피하조직 및 골격근이었다. 절편상에서 충체가 확인된 94례의 낭미충증은 형태적인 보존정도로 보아 19례(20.2%)에서는 거의 변성이 없었고, 중등 도변성 38례(40.4%). 고도변성 37례(39.4%)를 보였다 폐에 기생한 2례를 제외한 15례의 이소기생 폐흡충은 복강(8례)과 중추신경계(7례)에 분포하였고, 20대 및 30대에서 가장 호발하였으며. 남성에서의 감염이 73.3%로 많았다. 담관내 간질증은 국내 13번째 인체감염례에 해당된다. 조직학적으로 진단되는 기생충증의 빈도는 연도가 경과할수록 점차 감소하고 있었으나, 낭미충증과 이소기생 폐흡충증에서는 생검이 매우 유용하게 이용되는 진단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