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쓰레기 집하설비

Search Result 10,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기획특집-쓰레기 자동집하시설 시스템

  • Korea Mechanical Construction Contractors Association
    • 월간 기계설비
    • /
    • no.6 s.191
    • /
    • pp.36-48
    • /
    • 2006
  • 인구증가와 급속한 산업화에 따른 대량생산, 다량소비로 인해 쓰레기의 발생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쓰레기의 질적 특성도 변화되고 있다. 정부는 분리수거로 쓰레기 감량화 유도를 위해 지난 ’95년부터 쓰레기 종량제를 전국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나 수거∙운반단계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크게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쓰레기 방치에 따른 악취, 미관저해 등의 환경 위생적인 측면과 교통 안전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수거∙운반방식 도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은 지하관로를 통해 쓰레기를 수거하는 방식의 최첨단 시스템으로 지상에서 쓰레기를 볼 수 없는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 및 기존의 수거∙운반 단계의 단점을 해결한 쓰레기 수거 시스템이다. 이미 유럽 및 일본 등에서 도입되어 운영되고 있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은 삶의 질 향상과 함께 에서 운영비 절감 등 경제적인 면에서 우수성이 검증된 바있다. 국내에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이 도입된지 10여년이 지났으나 그동안 주상복합 및 병원, 오피스텔 등에만 적용될 정도로 시장이 매우 미미했었다. 최근들어 쾌적한 주거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지자체 및 발주처가 확대적용할 예정이어서 새로운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토지 공사가 성남 판교 집하시설과 용인흥덕지구 집하시설 입찰에 들어갔고, 주공도 광명소하지구 집하시설을 입찰에 붙였는데 건설업계의 관심이 집중되었다. 이와 관련 본지는 쓰레기자동집하시설 도입 필요성 및 원리, 국내 적용 현황 등에 관해 자세히 알아보고, 우양기건(주)(대표 강석대)가 인천광역시 도시개발공사로부터 분리발주 받은 송도4공구 1, 2단지 쓰레기관로수송설비공사의 시공사례를 알아본다. 향후 쓰레기 관로수송설비공사는 주택 단지 형성시 반드시 필요한 공사중의 하나이며 지자체로부터 분리발주될 가능성이 높은 공사 중의 하나이므로 우리 설비건설업계가 관심을 가져야할 분야이다.

  • PDF

특집 - 송도 4공구 1.2 단지 쓰레기관로 수송 설비공사

  • 우양기건(주)
    • 월간 기계설비
    • /
    • s.235
    • /
    • pp.57-65
    • /
    • 2010
  • 송도 신도시는 도시 전체를 '친환경 개발'로 기획함에 따라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 및 편의성 제공을 위해 쓰레기관로수송 설비가 도입되었다. 쓰레기관로수송 설비는 투입구에 버려진 쓰레기를 중앙 집중제어 시스템에 의해, 아파트 입상 지하횡주관을 통해 중앙집하장으로 운반, 컨테이너에 자동적재 후 최종처리 됨으로써 위생적이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구현하는 친환경적 설비 시스템이다. 쓰레기관로수송 설비는 과천시와 광명시도 의무화하여 시행중에 있으며, 송도 신도시 등의 성공적인 시공에 힘입어 인천광역시, 대구광역시, 파주시 등의 지방자치단체 및 구청에서도 폐기물 수집 운반 처리 방법의 개선을 위해 설치 의무화에 관한 행정 조례를 제정 추진 중에 있다.

  • PDF

A Study on the Optimal Design of Confluent Pipe for Waste Collection Piping System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이송배관의 합류관 최적설계 연구)

  • Sung, Sun-Kyung;Park, Jun-Gil;Suh, Sang-Ho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 /
    • v.24 no.5
    • /
    • pp.428-432
    • /
    • 2012
  • In the waste collection system, living waste is collected through the piping network. There are many confluent pipes in a piping network. These confluent pipes were often clogged up with waste. The optimal configuration of the confluent pipes has been defined by the design guide. However, nobody know how this design guide were determined. Therefore, in this paper, we found the design data for the confluent pipe configuration in order to avoid the waste clogging in a piping network. The distance between connected point on the confluent pipes should be longer than the previous design guide.

A Study on Feasibility and Applicability of Pneumatic Waste Collection System (쓰레기 수송관로 방식의 적용사례 및 실용에 관한 연구)

  • 민병균;이재영;최상일
    • Journal of Korea Soil Environment Society
    • /
    • v.2 no.1
    • /
    • pp.109-117
    • /
    • 1997
  • The dust chute was a part of equipment in apartment which have been settled down as new residential style in this country since 1960s. However, the dust chute was destructed by results of social discussion, and it ended up old remains which cannot be found in new towns. Nowadays, chute was substituted a collecting system from extra collecting sites which were prepared near residential area. This phenomenon was caused by the poor separating collection. Since the early part of 1995, the whole vocal operating the volume-base charge system has been placed as the institution capable of recycling and separating collection of residential wastes in this country. People pursue the residential quality which is suitable to the Greenround period. Such a diverse effort corresponding to the social change can be also accomplished in the field of waste collecting transportation. In this paper, the local heating system and waste combustion site and hollow are already applied to the new residential area in the form of housing development. After investigating of the waste collecting transportation method in other countries related to such facilities, this paper represents the feasibility and applicability of pneumatic waste collection system which is used practically in the new housing complex and large facilities in other countries.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Food Waste Discharge System through the Classification on Foreign Substances (이물질 구별을 통한 음식물쓰레기 배출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 Kim, Yongil;Kim, Seungcheon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22 no.6
    • /
    • pp.51-56
    • /
    • 2022
  • With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ization, the amount of food and waste is rapidly increasing. Accordingly, the government is aware of the seriousness and is making efforts in various ways to reduce it. As a part of that, the volume-based food system was introduced, and although there were several trials and errors at the beginning of the introduction, it shows a reduction effect of 20 to 30%.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volume-based food system is being established. However, the waste is caused by foreign substances in the process of recycling resources by collecting them from the 1st collection to the 2nd collection process. Therefore, in this study, to solve these problems fundamentally, artificial intelligence is applied to classify foreign substances and improve them. Due to the nature of food waste, there is a limit to obtaining many images, so we compare several models based on CNNs and classify them as abnormal data, that is, CNN-based models are trained on various types of foreign substances, and then models with high accuracy are selected. We intend to prepare improvement measures for maintenance, such as manpower input to protect equipment and classify foreign substances by applying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