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쌀벌레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5초

농업기술-저온 저장한 벼의 도정 후 품질변화를 방지하는 기술

  • 김영근
    • 농업기술회보
    • /
    • 제45권5호
    • /
    • pp.46-46
    • /
    • 2008
  • 우리 쌀의 품질 향상과 경쟁력을 높이기 위하여 수확기의 품질을 연중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저장시설의 확충 등 벼 수확 후 품질관리 대책에 따라 미곡종합처리장(RPC)이나 벼 저온 저장시설의 설치가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저온 저장한 벼를 쌀로 만들기 위하여 도정할 때 관리를 잘못하제 되면 도정 후 쌀의 색깔이 변화되고 벌레가 발생하는 등 문제가 된다. 특히 여름철에 품질변화 현상이 많이 나타나며,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저온 저장된 벼를 도정한 후에 쌀의 품질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도정기술을 소개한다.

  • PDF

한약재 보관중 발생하는 해충류 (Insect Pests Occurring in Storage Medicinal Plants)

  • 조형찬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417-428
    • /
    • 2007
  • 국내 유통 중인 한약재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나, 관리시설이 빈약하여 해충들에게 쉽게 노출될 수 있는 환경에 놓여 있다. 이 연구는 총 67과 134속 158종의 저장 한약재들을 대상으로 이들에서 발생하고 있는 저장물해충들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Cassia 속의 육계, Juniperus 속의 자단향 그리고 Artemisia 속 애엽을 비롯한 44종의 한약재들에서는 곤충의 발생을 확인할 수 없었다. 한약재들에서 나타난 해충들의 발생빈도는 쌀머리대장 (A. advena) 12.3%, 권연벌레 (L. serricorne) 11.5%, 머리대장가는납작벌레 (O. surinamensis) 10.3%, 거짓쌀도둑거저리 (T. castaneum) 9.4%, 인삼벌레 (S. paniceum) 8.4% 그리고 화랑곡나방 (P. interpunctella) 7.9% 순이었다. 또한 이들 곤충들은 저장 중인 한약재들 중에서도 뿌리 또는 뿌리줄기 형태의 한약재들을 가장 선호한 것으로 보였다. 이 연구는 천연물 연구자들에게 곤충들이 발생하지 않았던 한약재들에 대한 기본 정보를 제공해줌으로써 향후 이들이 살충활성 또는 훈증활성물질을 탐색하는데 있어 이들 한약재들을 우선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마늘 추출액과 솔잎 가루를 이용한 크라프트지의 쌀벌레 방제 효과 (Extermination of Rice Weevils of Kraft Paper Containing Garlic Extractives and Pine Leaf Powder)

  • 김철환;신태기;김경윤;정호경;허정수
    • 펄프종이기술
    • /
    • 제39권3호
    • /
    • pp.60-69
    • /
    • 2007
  • This study developed rice packaging paper with exterminating performance against rice weevils such as Tenebroides mauritanicus and Sitophilus oryzae. The exterminating performance of packaging paper was given by treatment of garlic extractives and pine-leaf powder, respectively. For the exterminating test, rice weevils were put in petri dish containing non-treated packaging paper and functional packaging paper for twenty days. Right after being put in the petri dish, the rice weevils moved fast toward the area in the non-treated paper escaping from that in the functional paper. The lethality of the rice weevils on the functional paper reached over 50 per cen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unctional packaging paper were rarely changed in spite of treatment of the exterminating agents.

환경파괴농약 MB 대체용 무공해 천연물농약 개발

  • 한국산림경영인협회
    • 산림경영
    • /
    • 통권148호
    • /
    • pp.54-55
    • /
    • 2001
  • 산림청 임업연구원(원장 서승진)은 몬트리올의정서에서 오존층 파괴물질로 지정되어 2005년부터 세계적으로 사용이 금지되게 되는 훈증농약인 메틸브로마이드(Methyl Bromide : MB)를 대체할 수 있는 훈증활성물질 이소치오시아네트(Isothiocyanate)를 양고추냉이(겨자무)로부터 추출하는데 성공하였다. 메틸브로마이드는 세계적으로 토양소득, 검역, 시설물 훈증에 약 7만톤이 사용되는 유독성 물질로서 대체물질 개발을 위해 여러나라에서 연구 중에 있으며 우리나라도 OECD 가입국으로서 환경친화적 무공해 농약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었다. 이소치오시아네이트는 쌀, 옥수수, 콩 등 각종 곡물에 피해를 주는 쌀바구미, 팥바구미, 화랑곡나방, 권연벌레 등 저장곡물해충에 메틸보로마이드와 대등한 살충효과가 있는 무공해 천연물로서 메틸브로마이드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앞으로 제형개발 등 상품화가 되면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저장곡물 방충농약을 대체할 수 있어 연간 300만 달러의 외화 절감은 물론 지구환경파괴를 막을 수 있는 획기적 계기를 마련하였다.

  • PDF

침구류 세균에 대한 테르펜의 항균 및 항진드기 효과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Antibacterial and Anti-mite Effects of Terpenes Against Bedding Bacteria)

  • 고원진;서용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454-463
    • /
    • 2020
  • 본 연구는 최근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는 다양한 원인 중에서 우리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대상을 통해 그 원인의 해결을 제안하고자 시도 되었다. 천연물 유래의 테르펜의 경우 기존의 피톤치드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으며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주변에서 용이하게 구할 수 있으며 적용이 가능한 생물소재를 통해 오염원을 제거할 수 있는 생리활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계피오일과 테르펜을 이용하여 다양한 질병과 오염원이 되고 있는 진드기와 미생물에 대한 효능을 검증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베개를 이용하여 베게 등과 같은 침구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미생물과 진드기의 발생에 대한 작용에 대해 그 효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로 테르펜의 항 미생물 활성은 Pour plate 방법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항진드기 효과는 테르펜을 사용하지 않고 첫 번째 테스트에서 베개 4개 중 2개에서 약한 양성(100 미만)으로 감지되었다. 테르펜을 사용한 두 번째 실험에서, 모든 시료들이 20 미만으로 음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테르펜의 최상의 항진드기 효능은 20%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천연물 유래의 테르펜을 이용한 침구용 항균 및 진드기 방지 제품의 개발 가능성을 제안하는 것이다.

Development of an Automatic Packer Using Vacuum Packaging and its Effects on the Rice Quality

  • Yan, T.Y.;Chung, J.H.;Rhee, C.O.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9권2호
    • /
    • pp.131-14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배아미, 현미, 가능성쌀들 및 진공을 요하는 식품의 품질을 보존하기 위해서 연속식 자동진공포장기를 국내 최초로 개발하였다. 배아미의 진공포장 성공률은 92.6%이었고, 실패율 7.4%에서 진공포장기 자체에서 불완전 테이핑의 밀봉작업으로 진공이 서서히 풀리는 경우가 5.5%, 그리고 진공하기 전 자동비닐포장기에서 포장시 봉지 윗부분 밀봉이 불완전해 1.9%가 진공이 풀렸다. 이에 개발한 자동진공포장기의 진공포장성공률은 약 94.5%수준이었다. 진공포장기로 진공시간에 따른 진공압력을 측정하였고, 배아미 2, 3, 5 kg를 진공포장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각각 6, 8, 11초이었다. 진공포장으로 처리한 배아미와 진공포장 처리하지 않은 배아미를 각각 3재월간 저장실험하여 백도, 함수율, 과산화물가, 산가를 저장기간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백도는 진공처리가 2 감소, 비처리가 4 감소하였고, 함수율은 진공처리가 0.8%감소, 비처리가 1.3%감소, 과산화물가는 진공처리가 최대 1.89 meq/kg까지 서서히 증가하였고, 비처리가 3.45 meq/kg까지 급속히 증가하였다가 서서히 감소하였다. 산가 역시 진공처리가 최대 0.71 mg/g까지 서서히 증가하였고, 비처리의 경우는 0.98 mg/g까지 급속히 증가하였다. 그리고 현미의 진공포장에서도 산가 및 과산화물가 변화가 배아미 경우와 비슷하였다. 또한 진공포장 제품에 인위적으로 쌀벌레들을 넣은 경우 15일 지나면 산소부족으로 모두 사멸하였다. 따라서 개발한 진공포장기로 진공포장한 경우 배아미 및 현미의 품질을 잘 보존할 수 있었다.

쌀벌레 방제를 위한 포장소재의 개발 (Development of Packaging Materials for Prevention and Extermination of Rice Weevils)

  • 이지영;김철환;이경선;이지영;조후승;임수진;신정용;조인준;남혜경
    • 펄프종이기술
    • /
    • 제45권2호
    • /
    • pp.41-45
    • /
    • 2013
  • Extractives of garlic (Allium scorodorpasum) and green pepper (Capsicum annuum L.) were used to prevent and exterminate rice weevils which contaminate stored rice. The extractives exhibited great efficacy against Sitophilus oryzae and Tribolium castaneum by annihilating all the weevils contained in a bottle. Furthermore, kraft paper coated by 5% extractives also displayed good effectiveness against the rice weevils. When rice weevils were stored with rice in a sack made of extractives-coated kraft paper, the number of living insects was sharply decreased according to elapsed time. In particular, 1,4-benzoquinone, which is very harmful to human, was detected from rice contaminated by Sitophilus oryzae and Tribolium castaneum through the analysis of GC/MS.

저장중 벼, 현미 및 백미에서의 마디발동물 군집의 환이 (Ecological Successions of Arthropod Communities in Stored Rough Rice, Polished Rice and Brown Rice)

  • 류문일;조혜원;김영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1-42
    • /
    • 1990
  • 벼, 현미 및 백미를 실내에 저장하면서 저곡생태계의 구성, 군집의 천이 및 이에 따르는 군집의 에너지 변환 양상을 1987년 2월부터 1988년 11월까지 조사하였다. 곡물의 온도 변화는 약 4주간의 시차를 두고 저장실의 온도 변화에 따랐다. 벼, 현미, 백미의 함수량은 실내 상대습도가 39-90% 의 범위에서 변화하였음에도 각각 12.7 $\pm$ 0.4, 13.1 $\pm$ 0.4, 및 13.5 $\pm$ 0.3%로 안정된 수준에 있었다. 마다발동물의 군집천이는 벼, 현미, 백미에서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벼의 경우 우점종이 가루민다드미벌레에서 어물다드미벌레로 천이하였다. 현미 및 백미의 정우에는 밀가루줄명나방에서 쌀바구미, 미동정 기생충, Anisopteromalus calandrae Howard와 거짓쌀도둑의 우점으로, 다시 쌀바구미로 천이하였다. 그러나 백미에서는 호미와는 달리 다드미벌레목 2종의 일시적인 우점 현상이 관찰되었다. 대체적으로 벼에서의 군집은 현미냐 백미에서의 군집에 비해 단순하게 구성되었으며 불안정하였다. 천립중의 약화는 벼와 백미의 경우에는 관찰할 수 없었으나 현미의 경우 마디발동물의 활동이 활발했던 시기에 다소 감소하였다. 그러나 회분함량은 현미, 백미 및 벼에서 공히 증가한 자취를 불 수 없어 저장기간 중 곡물생태계의 에너지의 손실은 미미하였단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