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logical Successions of Arthropod Communities in Stored Rough Rice, Polished Rice and Brown Rice

저장중 벼, 현미 및 백미에서의 마디발동물 군집의 환이

  • 류문일 (고려대학교 농과대학 농생물학과) ;
  • 조혜원 (고려대학교 농과대학 농생물학과) ;
  • 김영배 (고려대학교 농과대학 식품공학과)
  • Published : 1990.03.01

Abstract

Storage ecosystems of rough rice, brown rice and polished rice were analyzed form Feb. 1987 to Nov. 1988 to investigate structures and ecological successions in the arthropod communities as well as changes in energy of the systems. The changes in temperature of stored rice showed high degree dependence on the temperature of storage room with time lag of about four weeks. Moisture content of rough rice, brown rice and polished rice during the period were in the range of 12.7$\pm$0.4, 13.1$\pm$0.4 and 13.5$\pm$0.3%, respectively. The arthropod communities in rough rice, brown rice and polished rice were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different. In rough rice, dominant species changed from Leptinotus reticulatus Endlein to Liposcelisentomophilus Endlein, while in brown rice from Pyralis farinalis L. to Sitophilus oryze (L.), unidentified parasitic wasps, Anisopteromalus calandrae Howard and Tribolium castaneum Herbst and finally to S. oryzae. In polished rice, the arthropod community showed an ecological succession similar to that in brown rice except for a transient dominance of two psocidspecies. Thearthropod community in rough rice was rather simple and unstable in comparison with those in brown rice and polished rice. The 1000 kernel weight of brown rice decreased slightly during the period when the arthropods were active (summer season), while that of rough rice and polished rice remained at the similar level. However, the ash content per unit volume of brown rice as well as rough rice and polished rice showed no increase during the period.

벼, 현미 및 백미를 실내에 저장하면서 저곡생태계의 구성, 군집의 천이 및 이에 따르는 군집의 에너지 변환 양상을 1987년 2월부터 1988년 11월까지 조사하였다. 곡물의 온도 변화는 약 4주간의 시차를 두고 저장실의 온도 변화에 따랐다. 벼, 현미, 백미의 함수량은 실내 상대습도가 39-90% 의 범위에서 변화하였음에도 각각 12.7 $\pm$ 0.4, 13.1 $\pm$ 0.4, 및 13.5 $\pm$ 0.3%로 안정된 수준에 있었다. 마다발동물의 군집천이는 벼, 현미, 백미에서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벼의 경우 우점종이 가루민다드미벌레에서 어물다드미벌레로 천이하였다. 현미 및 백미의 정우에는 밀가루줄명나방에서 쌀바구미, 미동정 기생충, Anisopteromalus calandrae Howard와 거짓쌀도둑의 우점으로, 다시 쌀바구미로 천이하였다. 그러나 백미에서는 호미와는 달리 다드미벌레목 2종의 일시적인 우점 현상이 관찰되었다. 대체적으로 벼에서의 군집은 현미냐 백미에서의 군집에 비해 단순하게 구성되었으며 불안정하였다. 천립중의 약화는 벼와 백미의 경우에는 관찰할 수 없었으나 현미의 경우 마디발동물의 활동이 활발했던 시기에 다소 감소하였다. 그러나 회분함량은 현미, 백미 및 벼에서 공히 증가한 자취를 불 수 없어 저장기간 중 곡물생태계의 에너지의 손실은 미미하였단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