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심부 감염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6초

감염된 종양 대치물 제거와 하지 단축 보정 후 시행한 사지 구제술 - 증례 보고 - (Limb Salvage Surgery after Removal of Infected Tumor Prosthesis with Equalization of Leg Length)

  • 권영호;김재도;정소학;조율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41-147
    • /
    • 2006
  • 좌측 대퇴골 원위부 골육종 진단 받은 9세 여아로 광범위 절제수술과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을 받은 후 하지 부동과 성장판 손상이 있어 확장형 종양 대치물로 치환수술을 시행하였다. 그 후 종양 대치물에 심부 감염 발생하여 종양 대치물 제거 후 감염을 조절하기 위한 시멘트와 골수내정을 이용한 한시적 공간 대치물을 삽입하였다. 감염이 조절된 후 외고정 장치를 이용한 하지 부동(10 cm)에 대한 교정을 시행하였고, 마지막으로 종양 대치물 재삽입을 통한 관절 기능 보존을 시행한 1례를 보고 하고자 한다.

  • PDF

심내막염 환자의 수술적 치료성적 (Result of Surgical Treatment for Infective Endocarditis)

  • 최순호;양현웅;이삼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2호
    • /
    • pp.157-163
    • /
    • 1996
  • 1986년 1월 부터 1994년 7월까지 원광대학병원 흉부외과학교실에서는 23명의 감염성 심내막염 환자를 수술하였다. 남녀의 비는 13:5 이 었고 평균 43.7세 이었다. 분포는 고유판막 심내막염 21례, 인공판막 심내막염 2례이었고 승모판막을 치환한 경우가 16례로 가장 많았고 대동맥 판막 치환술 11례, 삼천판막 치환술 2례 순이었다. 가장 흔한 감염균주는 연쇄상포도구균 이었으나 배양이 않된 경우는 7례나 되었다. 수술대상은 조절되지 않는 심부전증, 거대식균 그리고 판막부전을 보이는 경우이었고, 술후 사망율은 13.4%로 만기사망은 없었다. 사망의 주 원인은 뇌경색증과 저심박출증이었다. 술전 기능등급이 III-IV 이었던 모든 환자는 사망 3례를 제외한 모든 례에서 I-II 등급으로 호전되었다. 결론적으로 조기 수술적 조작은 지속적이거나 진행성 심부전을 갖고있는 환자에서는 감염의 활동성 내지는 항생제 치료의 유무에 관계없이 생명을구할수 있는 방법이다.

  • PDF

Streptococcus pyogenes 근염에 심부 정맥 혈전증이 동반한 1례 (A Case of Deep Vein Thrombosis Associated with Myositis due to Streptococcus pyogenes)

  • 이재숙;장태영;안영민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6권1호
    • /
    • pp.87-91
    • /
    • 2009
  • 세균성 근염은 화농성 관절염, 봉와직염, 골수염, 혈전 정맥염, 다발성 근염, 혈종, 좌상, 종양과 감별이 필요하며 진단에 MRI가 도움이 된다. 저자들은 A군 사슬알균에 의한 화농성 근염을 조기에 진단하여 clindamycin으로 치료하였고 심부정맥 혈전증까지 합병되었던 환자를 경험하였다. 성인에서는 증례로 보고된 바가 있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보고가 없어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도관으로 사용된 심부정맥 (Deep Vein as a Graft Conduit)

  • 이길수;천성빈;오원섭;류세민;이봉기;김형래;김근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4호
    • /
    • pp.441-446
    • /
    • 2010
  • 이상적인 도관은 직경이 커야 하고, 조직 독성이 적으며 감염에 강하고 장기 성적도 좋아야 한다. 대복재정맥은 실제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만족할 만한 혈류를 위해서는 때때로 시간을 기다려야 할 필요가 있다. 저자들은 단시간 내 적절한 혈류확보를 위한 생체도관으로서 표재성 대퇴정맥을 사용한 2예를 보고한다.

이중 박동성 인공심폐기(Twin-Pulse Life Support, T-PLS)를 이용한 심폐순환보조 (Extracorporeal Life Support with a Twin-pulse Life Support (T-PLS) System)

  • 이동협;이장훈;정태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7호
    • /
    • pp.512-516
    • /
    • 2007
  • 기계적인 순환보조장치는 급성호흡부전이나 심부전에서 생명을 구할 수 있는 방편의 하나이다. 현재 여러 가지 형태의 순환 보조장치가 있으며 Twin-Pulse Life Support (T-PLS) system은 박동형 펌퍼의 한 종류다. 3예의 심한 심폐기능부전 상태 환자에게 순환보조장치로 T-PLS system을 사용하였다. 적응증은 인공호흡기와 강심제를 최대한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지속되는 호흡부전이나 심부전이었다. 감염에 의한 호흡부전환자가 2예, 심근염에 의한 심부전 환자가 1예였다. 각각 한 명의 호흡부전환자와 신부전 환자가 생존하였는데 보조장치의 사용시간은 각각 3일과 5일이었다. T-PLS system은 순환보조장치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다발성 장기부전이 오기 전에 적용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 너구리(Nyctereutes procyonoides)의 심장사상충감염에 대한 유병률 (Prevalence of Dirofillaria immitis in Raccoon Dogs (Nyctereutes procyonoides) in Korea)

  • 남효승;김종택;양동근;현창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53-455
    • /
    • 2013
  • 심장사상충 감염은 개에서 심부전과 폐질환을 유발하는 치명적인 질환이다. 이러한 심장사상충 감염은 너구리들을 포함한 야생육식동물에서도 발생을 한다. 최근 연구를 통해, 야생 너구리 집단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발생하는 유병률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한국의 야생너구리에서 발생하는 D. immitis 의 유병률과 감염된 너구리의 회복률에 대한 평가를 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한국 너구리의 D. immitis 에 대한 전체의 유병률은 17.8%이었다. 수컷 너구리의 유병률은 21.8%이었고, 암컷 너구리의 유병률은 12.8% 이었다. 심장사상충 항원 검사에서 양성이 나온 17마리의 너구리들에게 마이크로필라리아는 관찰되지 않았다. 본 논문의 결론은 한국의 D. immitis 의 유병률이 일본에 비해 2배이상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고양이와 마찬가지로 너구리들도 마이크로필라리아혈증이 드문 것으로 나타났다.

개 외이도내 Malassezia pachydercatis 감염에 대한 면역 반응 (Immune Reaction to Infection by Malassezia pachydercatis in Canine Ezternal Ear Canals)

  • 이진희;오태호;한홍율;조상내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30-139
    • /
    • 1996
  • Malassezia pachydercatis균은 개 외이염의 주된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감염률은 지역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다. 그러나 그 기병론적인 역할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본문에서는 국내에서 사육되는 개의 외이염에서 Malassezia pachydercatis 균의 분리율을 조사하고, Malassezia pachydercatis에 대한 혈중 항체와 외이염과의 연관성을 밝혀 Malassezia pachydercatis에 의한 외이염 진단을 위한 도구로서 간접 ELISA 법의 유용성을 평가해 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 112두 중, 외이염에 감염된 개 44두와 정상견 68두를 대상으로, 심부외이도에서 취한 가검물을 배양검사하였고, Malassezia pachydercatis 항원에 대한 혈청내 IgG와 IgM 역가를 간접 ELISA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살아있는 Malassezia pachydercatis 균을 3두의 정상견 외이도에 접종하여 Malassezia pachydercatis 균의 실험적 감염에 대한 조직병리학적 소견, 조직내 침투 정도, 그리고 접종 후 시간경과에 따른 IgG와 IgM의 혈중 역가변화를 측정하였다. Malassezia pachydercatis 균은 외이염이 있는 개 귀에서 가장 높게 분리(50.0%)되었고, 정상귀에서는 낮게 분리(6.3%)되었다. Malassezia pachydercatis 항원을 이용한 간접 ELISA 법 진단에서, Malassezia pachydercatis 양성배양인 외이염 개체에서 IgG와 IgM에 대한 민감도는 각각 41.7%, 20.8%이었고 특이도는 88.2%, 85.2% 이었다. 실험적으로 Malassezia pachydercatis 를 접종한 3두중 1두에서만 조직병리학적 변화와 모낭에 Malassezia pachydercatis 균체가 확인되었으며, IgG와 IgM 혈중역가도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국내에서 사육되는 개 외이염의 주된 원인균은 Malassezia pachydercatis 균이었고 이 균의 혈중항체는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며(p<0.005), 간접 ELISA법은 Malassezia pachydercatis 에 의한 개외이염의 유용한 진단도구임을 증명하였다.

  • PDF

스쿠지카섬모충에 중감염된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치어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관찰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fingerlings of Japanes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with severe scuticociliatosis)

  • 이남실;박정희;한규식;허민도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51-160
    • /
    • 1994
  • 스쿠지카섬모충(Scuticociliatid) 감염에 따르는 어체조직의 조직학적 손상유형과 심부조직으로의 이행 경로를 규명하기 위하여 중감염된 빈사상태의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치어 18 마리를 대상으로 전 장기 및 조직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피부 및 하부의 골격근조직은 다수의 스쿠지카충의 침입에 기인하여 심한 변성 또는 괴사소견과 함께 대식구의 침윤이 현저하였다. 비교적 초기병변에서는 치밀결합조직인 진피나 골격근섬유의 변성보다 이들을 지지하는 소성결합조직성분이 더욱 심한 변성소견을 보였다. 이들 병변부내 또는 병변부와 격리된 소성결합조직내의 혈관 또는 임파공간내에 수개의 충체가 확인되었다. 신경다발과 신경절내 또는 주위 소성결합조직내에 다수의 충체침입이 확인되었으나 실질의 조직학적 이상은 비교적 경미하였다. 뇌 및 척수의 경막하강에 다수의 충체밀집과 함께 신경실질을 포함한 인접조직은 경도 내지 심한 괴사소견을 보였으며 충체의 침입부위는 피질역에 주로 한정되어 있었다. 각종 아가미관련조직에서 섬모충의 기생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소성결합조직은 다수의 충체침입으로 심한 변성소견을 수반하였으며, 특히 새궁 및 일차새변의 혈관내에서 충체가 인정되었다. 본 병리학적 검사결과에서 넙치치어에서의 스쿠지카섬모충은 어체내 침입 후 실질조직보다 소성 결합조직을 우선적으로 파괴하는 동시에 결합조직내의 혈관 또는 임파관으로 쉽게 이행하여 단시간내에 심부조직으로 확산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관상동맥우회술 후 흉골감염의 위험인자분석 및 반코마이신의 효과 (Analysis of Risk Factors and Effect of Vancomycin for Sternal Infection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 백종현;정태은;이동협;이장훈;김정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4호
    • /
    • pp.381-386
    • /
    • 2010
  • 배경: 심장수술 후 흉골창상감염은 중요한 합병증의 하나다. 이 연구의 목적은 관상동맥우회술 후 흉골창상감염의 빈도와 연관된 인자들을 분석하고 이러한 합병증이 발생한 환자들의 술 후 결과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부터 2007년까지 영남대학교의료원 흉부외과에서 단순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한 환자 219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를 하였다. 흉골감염환자의 정의는 상처에서 균이 동정이 되고 치료를 위해 단순봉합 혹은 기타 외과적 처치가 필요한 경우로 하였다. 결과: 수술 후 전체 감염의 빈도는 7.8% (17명)이었다. 감염을 일으킨 균은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가 13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epidermidis가 2명, Pseudomonas aeruginosa가 1명, Candida albicans가 1명에서 동정되었다. 감염의 정도는 종격동염을 동반한 심부흉골감염이 10명이었고 표재성 외과적 창상감염이 7명이었으며 창상감염으로 인한 사망은 1명이 있었다. 수술 후 흉골감염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소로는 당뇨병력(p=0.006)과 흡연력(p=0.020)이 유의한 인자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예방적 항생제로 vancomycin의 단기간 사용은 흉골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으로 분석되었으며(p=0.009) vancomycin 사용 이후 MRSA에 의한 감염은 없었다. 감염된 환자의 치료로 단순봉합뿐만 아니라 광범위 소파술과 흉골 재봉합 혹은 다른 조직을 이용한 피판술이 필요하였다. 결론: 흉골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당뇨가 있거나 흡연력이 있는 환자는 특히 술 후 흉골창상 감염을 주의 해야 하며 예방적 항생제로서 vancomycin을 단기간 사용하는 것은 MRSA에 의한 감염을 줄이는데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외상에 의한 인두천공 후 발생한 후측인두부농양 및 급성하행 괴사성 종격동염 1례 (Retropharyngeal Abscess and Acute Descending Necrotizing Mediastinitis by a Traumatic Perforation of Pharynx)

  • 한경인;정대건;김유진;오창규;허재균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3권1호
    • /
    • pp.78-84
    • /
    • 2006
  • 의학적 처치에 의한 기구 삽입과 관계없이 우연히 구인두부의 천공이나 외상을 겪은 후 발생한 후측인두부농양 및 종격동염의 소아에서 보고는 드물다. 이 질환들은 조기에 의심하고 진단과 처치를 하는 것이 중요한데 나이 어린 소아에서는 증상 및 징후가 비특이적일 수 있으므로 진단을 위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또한, 구강내 외상의 병력이 있는 소아에서는 당시에 별다른 증상이 없다하더라도 잠재적으로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음을 항상 숙지해야 한다. 저자들은 감염의 시발점이 된 경부 심부감염의 증상과 징후는 뚜렷하지 않고 이로 인한 이차적인 흉강 합병증을 주소로 내원한 소아에서 농기흉이 먼저 발견된 후 외상에 의한 후측인두부농양과 급성하행성 괴사성종격동염이 진단되어 항생제 및 광범위한 수술적 치료로 치유된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