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학

Search Result 6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n Conceptual Suitability or Unfitness of 'Silhak' ('실학實學' 개념의 적합성 또는 부적합성에 관한 연구)

  • Kang, Jeong-Hoo
    • Journal of Ethics
    • /
    • no.88
    • /
    • pp.103-122
    • /
    • 2013
  • This paper aims to study on conceptual suitability or unfitness of Silhak(實學). It is general that by criticizing Chujahak(朱子學) or beyond the limitation of Seonglihak(性理學), Silhak has developed practical tendency to reforming the society in the middle and end of Chosen Dynasty, related to the context of Korean national reflection in modern times. However, it is unfortunate to be understood. As presented in Chosenwangjosillok(『朝鮮王朝實錄』), there has been a few usages in the term 'Silhak'. In short, it was different from its contemporary meaning. At that time, it was usually used to have the meaning of Gyunghak(經學), compared to Sajanghak(詞章學), or rarely, of 'the true study' or 'the practical study'. Therefore, it is to claim that its conception has been manipulated or exaggerated very seriously. Since 1930s, in particular, its conception has been misused in interpreting works of Jung Yak-Yong by some scholars, such as Jung In-Bo, Moon Il-Pyung and An Jae-Hong, who tried to apply the term to overcome the Japanese colonial era symbolised as modernity based on the future life of Korea. Even though their attempt has led to have crucial discussions on the conceptions of Silhak, it has an unnecessary result that there has been a new and totally different understanding of Silhak in South Korea, North Korea, China, Japan, etc., which means that the unsustainable conception of Silhak has been one of major problems in studying of Silhak. To give an practical solution, I would try to make sense of 'time spirit' whose scholars studied Silhak in the middle and end of Chosen Dynasty. A problem, however, is that a scholar group in the name of Bukhakpa(北學派) had certain links and bonds. This is because many scholars studying of Silhak were usually features out of the main stream, which made them it difficult to form any various groups. That is to say, it seems to be natural that they have dreamed of utopian imaginations less than of overlapping points in reality. To sum up, it would be concluded at least that any approach to human lives and thoughts in the given conceptions of Silhak, e.g. ethical thoughts of Silhak, enables us to be indifferentiated to take its true meaning and time spirit of Chosen Dynasty. To be disenchanted of its social roles in Chosen Dynasty, fundamentally, it should be escaped from the wrong net of illusions and sings in understanding Silhak in certain eclectic steps.

추파(秋坡) 송기수(宋麒壽)의 철학이론과 유학정신

  • Nam, Myeong-Jin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05
    • /
    • pp.149-192
    • /
    • 2008
  • 추파(秋坡) 송기수(宋麒壽)(1507-1582)는 500년 전에 출생하여 조선시대 중종, 인조, 명종, 선조의 4대에 걸친 75세를 일기로 생존했던 재조(在朝)의 선비로서 행정가요, 또한 학인이었다. 추파는 기묘사화의 참상을 직접 목도하고 본의 아니게 위훈이 하사되어 평생 마음의 질곡이 되었고, 또한 소위 양재역 벽서사건에 연루된 종형 규암(圭菴) 송인수(宋麟壽)를 구명(救命)하지 못한 그의 처신이 또한 역사 속에서 오해의 사단(事端)으로서 추파에게 큰 굴레로 작용되었다. 추파의 현실인식은, 사화로 사림이 사기저상되었고, 그로 인해서 치도와 강상이 붕괴되었으며, 재해가 출현하고, 민심의 흐트러짐이 모두 천명의 노여움으로 본 동시에, 그 처방을 요순지치인 치도(治道)를 확립할 것, 선진 성학으로서 학문을 진흥할 것과 그 실천 주체인 선비의 기상을 진작시킬 것에서 찾았던 것이다. 추파의 성리설은 이기관계론을 부상리(不相離)라는 주제만을 채택하여 존재론적으로 접근하였고, 그 결과 율곡보다 훨씬 앞서 '리기지묘(理氣之妙)'라는 표현을 쓰면서 리발(理發)보다는 발어리(發於理)라는 말에 무게중심을 둠으로서 기발을 중심으로 말한 "기발어리설(氣發於理說)"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바로 그 뜻으로서의 천리(天理)를 밝혀 기(氣)로 발하는 구체적인 삶 속에 구현 하는 실천하는 길이 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추파의 학문은 바로 천리(天理)를 깨달아 실천궁행하여 가는 길로서 삶의 목표로 삼은 점이 특징적인 것이다. 즉 추파에 있어서 학문의 길은 리(理)의 본래적 뜻을 깨닫고 리(理)의 뜻을 심성의지(心性意志)를 통해서 구현하는 길인, 리(理)로 부터 발한 기발(氣發)을 몸소 역행실천(力行實踐)하는 길인 것이다. 이 길을 실제로 자신의 사명과 직결된 삶의 바른 길로 삼았던 것이다. 요컨대 추파의 학문사상의 궁극적 특징은 역행궁리(力行窮理)의 실천학에 있는 것이며, 따라서 결론적으로 사사(事事)(실사(實事))구시정신(求是精神)에 입각한 실천철학만이 그의 학문의 궁극적인 목적지가 되었던 것이다. 현실정치의 민생문제도, 역사적 이념으로서 선비정신 부양과 벽이단도 모두 이 사사구시(事事求是)의 시(是)를 통해야 되고, 이 시(是)를 통해서 구현하는 길이 추파학문사상의 궁극처인 것이다. 그리고 그의 언설과 삶 자체가 실사구시의 실천 그 자체 이었던 것이다. 학문사상사적으로 본다면 추파의 위상은 근본유학의 정신을 살려 그를 근간으로 하여, 한국 성리학의 개화기(開花期)에 새로운 개념으로서 이 기관계를 '리기지묘(理氣之妙)'라든가 발(發)의 근거를 리(理)에 두되 리(理)가 직접 발하는 것이 아니라, 발(發)하는 것은 기(氣)라는 '기발어리(氣發於理)'의 한길만을 중시한 점으로서 이기설의 새로운 문제를 제기한 점이라 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기발론적(氣發論的)인 바탕에서 실천역행의 근거를 확립하게 됐다는 특징을 볼 수 있는 점이다. 또한 이것은 한국성리학의 기발일도라는 기발설의 선구적 주장이며, 또한 이(理)를 근거로 결국 사사구시(事事求是)의 경세실학(經世實學)을 제시함으로서 실학의 선구가 될 만한 문제제기(問題提起)를 했다고 평가할 만한 특징이라 하겠다. 이 연구가 그의 마음속에 얹혀져있던 멍에도, 그간 오해받은 역사적인 멍에도 벗겨질 수 있고, 한국철학사상장성기(韓國哲學思想長成期)(국유사상주류기(國儒思想主流期))의 학술사적인 위상도 바르게 드러나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Characteristic of Mun Il-pyeong's Modern History, Joseonhak Campaign (문일평(文一平) 근대사학(近代史學)의 본령(本領), 조선학운동(朝鮮學運動))

  • Park, Sung-soon
    • (The)Study of the Eastern Classic
    • /
    • no.50
    • /
    • pp.29-54
    • /
    • 2013
  • Mun Il-pyeong(1888-1939) is famous for a nationalist historian led history into popular style to enlighten the public. This paper aims to overview the characteristic of Mun Il-pyeong's history based on prior studies on Mun Il-pyeong's works. The characteristic of Mun Il-pyeong's history shows us people centric trend based on a struggle of classes. For the people, he insisted that description of history should be easy and scientific for the people who are host of history. And Mun Il-pyeong insisted the harmony of nationalist history and positive history. This was a progressive attitude in writing history at that time. Another characteristic of Mun Il-pyeong's history is that he considered cultural history as important. Mun Il-pyoeng wanted to overcome the ashamed political history by cultural history. In this intention, Korean history was again born proudful by him. Mun Il-pyoeng pursued open nationalism, not ultra-nationalism by connecting with other world. This paper focused on the essential part of Mun Il-pyoeng's history. Many scholars think Mun Il-pyeong focused on Korean modern history or history of foreign relation. But I think Mun Il-pyeong attached importance to Practical Learning, Sirhak in late Joseon dynasty. Because Sirhak contained Mun Il-pyeong's academic intention, Modernism and Culturism dreamed from his youth age. Therefore he led so-called Joseonhak Undong meaning study of Sirhak. Studying Sirhak made Mun Il-pyeong open a new direction Korean modern history have to go.

PR페이지 - 박종도 윤일문화 대표, 한국철학사전 발간

  • Im, Nam-Suk
    • 프린팅코리아
    • /
    • v.11 no.3
    • /
    • pp.110-111
    • /
    • 2012
  • 박종도(주)윤일문화 대표가 인쇄제작을 맡은 '한국철학사전'이 최근 발간됐다. 한국철학에 남다른 열정과 애정을 가지고 있는 박종도 대표는 인쇄사 사정이 어려운 와중에도 '한국철학사전' 발간을 중도에 포기하지 않고 진행했다. 한국철학사전은 2년 7개월에 걸쳐 민간신앙, 불교, 유교, 실학, 도교, 기독교를 망라하여 고대부터 현재까지의 주요 철학인물들과 핵심용어, 저술들을 총정리한 책이다. 이 책은 2011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교양도서, 간행물윤리위원회 권장도서로 선정됐으며, 한겨레신문, 조선일보, 동아일보, SBS TV 등 주요 매체에서도 앞다퉈 소개하는 등 화제가 되고 있다. 본지에서는 이 책 발문에 쓰인 박종도 사장의 글을 소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