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학實學' 개념의 적합성 또는 부적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ceptual Suitability or Unfitness of 'Silhak'

  • 투고 : 2013.02.20
  • 심사 : 2013.03.20
  • 발행 : 2013.03.31

초록

실학實學은 반주자학 내지는 탈성리학의 성격을 가진 조선조 중후기에 등장한 사회사조로서 실용적이고 개혁적인 양상을 보였으며, 나아가 민족적 각성과 근대적 지향을 드러내는 특징을 가진다. 아마도 이런 정도가 현재 실학이라는 개념이 갖는 의미의 일반일 것이다.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이러한 의미는 조작의 소산일 따름이다. 이는 문헌을 통해서도 금방 확인될 수 있다. 즉 실학의 시대배경인 조선조의 대표적 기록문헌인 『조선왕조실록』을 놓고 그 용례와 빈도를 살피면 된다. 결과적으로 볼 때 적어도 조선시대에는 실학이란 용어가 그다지 많이 사용되지 않았다. 또한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대개는 시문을 다루는 사장학詞章學에 대비하여 경학經學이라는 의미로 제시되었다. 드물게 '진실한 학문'이나 '실제의 학문'이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를 볼 수 있으나 현재와 같은 의미는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실학이라는 용어가 후대의 조작을 통해 등장한 개념이라는 사실은 분명하다. 물론 후대의 명명 내지는 조작이 무조건 문제인 것은 결코 아니다. 하지만 실학의 경우는 문제의 심각성이 큰 편에 속한다. 현재와 같은 실학의 의미가 등장한 것은 대체로 1930년대의 일이다. 일제 강점기의 상황에서 정인보, 문일평, 안재홍 등과 같은 조선학운동의 선구자들은 정약용의 학문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의도적으로 실학이라는 용어를 등장시켰다. 이는 주권을 빼앗긴 울분과 근대성에 대한 열패감을 극복하고 미래의 희망을 제시하려는 메시아적 몸짓이었다. 시세가 급박한 터라 충분한 숙고와 성찰의 소산은 아니었지만 나름의 울림을 마련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때 마련한 실학의 개념이 이후의 실학논의를 불러일으키는 밑거름이 되었다. 논의를 거칠수록 실학의 개념은 구체화되고 탄탄해졌다. 남과 북은 물론 일본과 중국에서도 이 개념을 수용하면서 자신들의 역사 속에서 독자적 실학을 발견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이는 양상이 나타났다. 하지만 실학의 개념이 확정적일 수 없는 까닭에 이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진행형이다. 이러한 실학의 개념이 가지는 문제는 자못 심각하다. 기본적으로 조선조 중후기에 펼쳐졌다는 실학의 흐름을 구체적으로 통섭할 시대정신을 포착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실학자로 거명되는 인물들 간의 교류와 연대는 매우 희미하다. 기껏해야 북학파로 일컬어지는 일단의 그룹 정도가 실제적 유대를 가진 것으로 보인다. 사실 실학자로 불리는 사람들은 대부분 중심에서 탈락 또는 이탈한 지식인들이었다. 아니면 명문가 소속이면서도 스스로 변방을 택한 사람들이었다. 현실과의 접점 또한 마련되지 않았던 탓에 이들의 사고는 이미 유토피아적 상상력으로 예단되어 있었다. 따라서 실학이라는 틀을 원용하여 조선조의 사상사를 구획하는 일은 다양성을 차단하는 한편 무리한 획일성의 성긴 그물을 던지는 모습일 뿐이다. 예를 들어 '실학의 윤리사상'과 같은 접근은 어불성설이다. 그러니 조선조 사상사의 온전한 그림을 그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실학이라는 개념의 주술에서 벗어나야 한다. 물론 단박에 풀어내기는 곤란할 것이니, 실학의 개념에 치명적 결함이 있다는 사실을 명확하게 인식하는 일을 우선으로 한 다음 절충의 태도로 나아가는 과도기적 단계를 밟아야 할 것이다. 더불어 이 문제는 철학이나 예술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조선조에는 철학이나 예술을 없었다고 주장하는 것과는 층위가 다르다는 점을 짚어둘 필요가 있겠다.

This paper aims to study on conceptual suitability or unfitness of Silhak(實學). It is general that by criticizing Chujahak(朱子學) or beyond the limitation of Seonglihak(性理學), Silhak has developed practical tendency to reforming the society in the middle and end of Chosen Dynasty, related to the context of Korean national reflection in modern times. However, it is unfortunate to be understood. As presented in Chosenwangjosillok(『朝鮮王朝實錄』), there has been a few usages in the term 'Silhak'. In short, it was different from its contemporary meaning. At that time, it was usually used to have the meaning of Gyunghak(經學), compared to Sajanghak(詞章學), or rarely, of 'the true study' or 'the practical study'. Therefore, it is to claim that its conception has been manipulated or exaggerated very seriously. Since 1930s, in particular, its conception has been misused in interpreting works of Jung Yak-Yong by some scholars, such as Jung In-Bo, Moon Il-Pyung and An Jae-Hong, who tried to apply the term to overcome the Japanese colonial era symbolised as modernity based on the future life of Korea. Even though their attempt has led to have crucial discussions on the conceptions of Silhak, it has an unnecessary result that there has been a new and totally different understanding of Silhak in South Korea, North Korea, China, Japan, etc., which means that the unsustainable conception of Silhak has been one of major problems in studying of Silhak. To give an practical solution, I would try to make sense of 'time spirit' whose scholars studied Silhak in the middle and end of Chosen Dynasty. A problem, however, is that a scholar group in the name of Bukhakpa(北學派) had certain links and bonds. This is because many scholars studying of Silhak were usually features out of the main stream, which made them it difficult to form any various groups. That is to say, it seems to be natural that they have dreamed of utopian imaginations less than of overlapping points in reality. To sum up, it would be concluded at least that any approach to human lives and thoughts in the given conceptions of Silhak, e.g. ethical thoughts of Silhak, enables us to be indifferentiated to take its true meaning and time spirit of Chosen Dynasty. To be disenchanted of its social roles in Chosen Dynasty, fundamentally, it should be escaped from the wrong net of illusions and sings in understanding Silhak in certain eclectic steps.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11년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NRF-2011-35C-A0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