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천

검색결과 6,899건 처리시간 0.029초

교사학습공동체 교사들의 과학 실천 기반 수업을 위한 PCK 구성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Practice-Based Instruction Developed by Science Teachers in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 양정은;최애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65-58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과학 실천 수업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를 형성한 5명의 중학교 과학 교사들이 1년간의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해 과학 실천 수업에 관한 어떠한 PCK를 구성하였는지 분석하였다. 교사학습공동체에서 교사들은 협력적인 수업 설계, 수업 실행 공유 및 성찰을 반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사후 설문과 면담을 시행하고, 교사학습공동체 모임에 참여 관찰 및 녹음을 하고, 수업계획안, 과학 실천 수업 녹화 영상, 수업 일기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PCK 이론적 틀에 기반하여 연역적으로 분석하고 다시 귀납적 분석을 통해 그 범주를 정교화하고 수정하여 본 연구의 교사들이 과학 실천 교육과정, 과학 실천 교수 전략, 학생의 과학 실천 학습, 과학 실천 학습평가의 네 가지 PCK 요소에 포함된 총 11개 하위 요소의 PCK를 구성한 것을 밝혔다. 본 연구의 교사들은 과학 실천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으로 과학 실천 교육과정 자료에 관한 지식, 핵심 개념 선정 및 교육과정 구조화에 관한 지식을 구성하였고, 과학 실천 교수 전략에 관한 지식으로 과학 실천 특이적 전략, 과학 실천 활동 선정 및 구조화 전략, 과학 실천 학습 가이드 전략에 관한 지식을 구성하였다. 학생의 과학 실천 학습에 관한 지식으로 과학 실천 선지식, 과학 실천 수행 어려움, 과학 실천 동기, 과학 실천 수행 다양성에 관한 지식을 구성하였고, 과학 실천 학습 평가에 관한 지식으로 과학 실천 학습 평가내용, 과학 실천 학습 평가 방법에 관한 지식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교사들이 구성한 과학 실천 수업 PCK는 학생들의 과학 실천을 통한 핵심 개념 학습을 위해 고도로 구조화된 지식으로 사료된다.

사회복지 실천의 지식기반과 학문적 특성에 관한 연구 (Rethinking Knowledge Base of Social Work Practice)

  • 홍선미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4호
    • /
    • pp.195-214
    • /
    • 2004
  • 본 연구는 사회복지실천의 학문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고려한 인식의 틀 속에서 이론적 정체성과 학문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사회복지실천이론의 분석을 위한 구성적 특성과 이론적 속성을 살펴본다. 실천에 영향을 주는 구체성의 정도에 따라 패러다임, 시각, 이론, 모델, 실천 지혜 등을 기능적으로 분류하여 사회복지실천지식의 유형을 살펴봄으로써, 각기 다른 수준에서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지식의 역할을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지식의 객관성과 주관성, 사회적 변화와 기능적 적응을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는 인식론적 입장과 학문적 시각을 폭넓은 사회복지실천의 이론적 스펙트럼 내에서 분석한다. 실천지식에 관한 이론적 분석은 사회복지실천의 존재론적 가치와 과학적 이론화 논쟁 속에서 각각의 유용성과 한계를 비교하며 사회복지실천에 적합한 공통적 지식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둘째, 사회복지실천학문의 정체성과 전문화, 학문적 맥락과 실천현장의 적용성과 관련된 논의를 통해 사회복지실천의 중심가치와 통합된 이론체계의 구성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사회복지 실천학문의 특성을 반영하는 지식기반의 구성을 위한 탐색과정은 학문의 내적 일관성을 높일 뿐 아니라 외적으로 전문직의 역할과 전문화 방향을 설정하는 기초로서 사회복지직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함의를 갖는다.

  • PDF

한국 외국인근로자를 위한 반-억압 실천 (Anti-oppressive practice)의 적용가능성 연구 (A Study on Applicability of Anti-Oppressive Practice to Foreign Workers in South Korea)

  • 양만재;김안나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3호
    • /
    • pp.247-278
    • /
    • 2018
  • 한국사회복지는 최근 급증하고 있는 국내 체류 외국인근로자를 위한 서비스 전달정책과 실천에 그 관심의 폭을 확대하고 있다. 사회복지실천은 외국인 근로자들을 지원하는 현장 실천가들의 문화적 역량강화에 역점을 두고 연구와 실천을 수행해왔다. '문화적 역량강화를 위한 실천론'은 외국인이주자들이 한국사회에 순응하고 적응을 돕는 실천론으로서의 강점이 있다. 그러나 문화 역량강화는 그들이 당하는 차별과 그들을 억압하는 한국문화와 제도 등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의 변화를 모색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영국에서 사회복지실천개혁의 배경으로 발전된 사회구조 변화를 통해서 사회정의와 인권 가치를 실현하는 반-억압실천론(anti-oppressive practice)의 한국 외국인근로자를 위한 적용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외국인 근로자와 그들을 지원하는 사회복지실천가들의 인터뷰를 기초로 외국인근로자들이 경험하는 차별의 유형과 사회복지실천가들의 실천방법을 분석하고 반-억압실천론(anti-oppressive practice)이 외국인근로자에게 적용 가능한가에 대한 의견을 제안한다.

사회복지실천기술 척도의 예비적 개발 (Preliminary Development of A Social Work Skills Inventory)

  • 김용석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4호
    • /
    • pp.57-87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최초의 사회복지실천기술 척도를 개발하는데 있다. 사회복지실천기술 관련 국내외 문헌을 기본 자료로 삼아 사회복지사의 실천기술들을 확인하고 선별하였으며 국내의 실천적 특성을 담아내기 위해 현장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예비문항을 만들었다. 다양한 실천현장에서 근무하는 370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예비문항을 평가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30개 문항이 제거되고 27개 문항으로 구성된 사회복지실천기술 활용 척도가 개발되었다. 척도는 5개의 하위척도로 세분화된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사회복지실천기술 척도의 요인구조는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도 확인되었다. '준비 및 사정 기술' 척도는 사회복지실천의 초기단계에 사용되는 기술, '변화촉진 기술' 척도는 개입단계에서 사용되는 실천기술로 주로 변화에 대한 동기를 강화시켜주는 기술, '종결 및 평가 기술' 척도는 전문적 관계를 종결하고 개입결과를 평가하는 기술, '자원연계 및 활용 기술' 척도는 클라이언트의 문제해결을 위해 지역 내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기술, 그리고 '윤리적 실천기술' 척도는 사회복지 전문직의 가치와 윤리에 부합하는 실천기술을 측정한다. 종합하면, 사회복지실천기술 활용 척도는 시작단계에서부터 종결단계에 이르기까지 일반적 사회복지실천과정에서 필요한 실천기술, 윤리적 실천을 위해 필요한 실천기술, 환경 체계의 활용에 초점을 둔 실천기술을 측정하는 도구이다.

  • PDF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육과정의 이해 (The nature of practical problem focused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curriculum)

  • 유태명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93-206
    • /
    • 2006
  • 2006년 현재 제 7차 가정과 교육과정 개정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2005년 12월 개최된 공청회 안에서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이 일부 수용된 바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 접근방법은 현장에 널리 확산되지 못한 상황이며 이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요구되는 시점에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 접근 방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가정과교육에서 다루는 문제는 어떤 본질을 갖는지와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틀을 살펴보았다. 또한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주제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우리나라에서의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육과정의 당위성을 찾아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은 문제해결 교수 학습모형이나 실천적 추론 모형과 동일한가?;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과 종래의 학문 중심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내용요소는 동일한데 왜 새로운 접근방법의 교육과정이 필요한가?;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은 부정적 문제만을 다루는가?; 실천적 문제중심 교육과정은 개념, 원리, 지식, 이론 등을 간과하는가?;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은 기능이나 기술적인 측면은 다루지 않는가?; 전통적인 가정과의 내용을 간과하는가?;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은 통합적 교육과정만을 추구하는가?; 제 7차 부분 개정의 공청회 안에서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은 어떻게 수용되었는가?;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은 가정과의 성격이나 내용을 도덕과나 사회과와 유사하게 변화시키는가?;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은 소수의 학자들만이 선호하는 교육과정인가? 의 문제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이를 통하여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이 시대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지 그 당위성을 찾아보았다.

  • PDF

가족중심실천이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가족강점의 매개효과 분석- (The Effect of Family-Centered Practice on Children's Self-Efficacy -An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Strengths-)

  • 강미경;노혜련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40호
    • /
    • pp.285-322
    • /
    • 2012
  • 본 연구는 가족중심실천이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가족중심실천의 일차적 대상이 되는 가족강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가족중심실천의 성과를 확인하고, 실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분석은 삼성과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기획사업인 우리아이 희망네트워크 지원 사업에 참여한 아동과 주 양육자가 작성한 서비스 평가 자료를 기초로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한 매개분석을 하였고, 연구모형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이 경험한 가족중심실천에 대한 평가는 상당히 높아 가족중심실천이 충실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중심실천에 참여한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가족강점 수준의 사업 참여 전후를 비교해 보면 둘 다 참여 후에 유의하게 향상하였다. 셋째, 가족강점은 가족중심실천과 아동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중심실천은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가족강점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아동복지 영역에서 강점관점에 기반을 둔 가족중심실천의 필요성과 좀 더 효과적인 실천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연구데이터 큐레이터로 구성된 실천공동체 구축에 관한 질적 연구 (Building a Community of Practice of Research Data Curators: A Qualitative Study)

  • 한나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119-152
    • /
    • 2022
  • 본 연구는 활동이론을 주요 이론적 기반으로 활용하여 연구데이터 큐레이터로 구성된 실천공동체 구축 및 유지 활동을 포함한 실천공동체의 다양한 활동 및 해당 실천공동체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과 도전 과제, 그리고 실천공동체를 성공적으로 구축 및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요건이 무엇인지 연구하였다. 해당 연구는 다중 사례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진행되었으며, 사례 연구 방법은 문서 분석과 인터뷰 자료 분석을 포함한다. 연구데이터 큐레이터로 구성된 실천공동체의 활동에는 크게 큐레이션 활동, 교육 활동 및 의사소통 활동이 존재한다. 실천공동체에 가입하는 참여자들은 크게 기관으로 가입하는 경우와 개인 자격으로 가입하는 경우 두 가지로 나뉘며, 이들이 실천공동체에 가입하는 동기는 외적 동기에서 내적 동기까지 다양하게 파악된다. 본 연구는 연구데이터 큐레이터로 구성된 실천공동체가 갖는 3가지 유형의 모순 및 도전 과제를 파악하고 총 14가지의 성공 요인을 분석하였다. 해당 연구는 연구데이터 큐레이터로 구성된 실천공동체를 구축 및 유지하기 위한 지식 기반을 제공하며, 특정 집단을 기반으로 구성된 실천공동체의 다양한 활동들을 고찰함으로써 실천공동체 연구의 이론적 기반을 확장한다.

한국 사회복지실천 현장 내 기본 실천기술의 실증적 확인 및 분류 (Basic Social Work Practice Skills: Its Empirical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in Korean Practice Fields)

  • 엄명용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1호
    • /
    • pp.61-91
    • /
    • 2005
  • 본 연구는 한국의 교육현장과 실천현장을 연결하기 위한 목적의 일환으로 한국의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우리의 사회복지사들이 실제 수행하고 있는 실천활동을 분석해 보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현재 한국의 다양한 사회복지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들(669명의 조사 대상자 중 361명이 응답)이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실천기술이 무엇인가를 한국의 실천현장에 뿌리를 두고 경험적으로 조사했다. 활용도가 높은 기술 132개의 목록을 제시했으며 그 기술들 안에 존재하는 주요 기술 축 7개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했다. 다음으로 이들 각 기술 축 안에 존재하는 하위 기술군들이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되었으며, 이들 하위 기술군을 대표하는 핵심기술지표 42개가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실천현장별로 각기 다른 실천기술 축을 확인해 분류하였다. 결과의 함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 PDF

사회복지사의 반성적 사고수준과 사회복지실천기술의 활용정도 (A Study of Social Worker's Reflective Thinking and the Usage of Practice Skills)

  • 유영준
    • 사회복지연구
    • /
    • 제40권2호
    • /
    • pp.337-362
    • /
    • 2009
  • 본 연구는 사회복지 이용시설에 종사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자신의 실천행위에 대한 반성적 사고(reflective thinking)가 실천기술의 활용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반성적 사고는 자신의 실천행위를 스스로 평가하고, 실천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되돌아보는 인식 과정으로 정의내릴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반성적 사고수준은 Dewey, Mezirow, Kember 등의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사회복지실천기술의 활용정도와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반성적 사고수준과 함께 사회복지사의 실천기술 활용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동료와 수퍼바이저와의 상호작용 등 사회복지 조직이 갖는 특성들을 함께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사의 반성적 사고는 실천기술 활용정도에 정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특히 반성적 사고수준이 심층적으로 깊어질수록 실천기술의 활용에 미치는 영향력이 증폭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반성적 사고를 촉진시켜 실천가 자신과 실천현장에 대해 이해의 폭을 넓히고 사회복지 전문직으로 성장할 수 있기를 제안하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덕론에 기초한 가정과교육에서의 실천 개념 고찰을 위한 시론 (I) -실천적 지혜(phronesis)와 다른 덕과의 관계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Clarifying the concept of praxis in Family and Consumer Science Education -In focusing of the concept of phronesis in Aristotle's Nicomachean Ethics-)

  • 유태명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34
    • /
    • 2007
  • 이 연구는 가정과교육에서 지향하는 실천 개념은 어때야 하는지를 아리스토텔레스의 덕론에서 덕의 분류에서 실천적 지혜(phronesis)의 위치를 파악하고 다른 덕과의 관계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실천적 지혜는 praxis로 이끄는 덕이기 때문에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실천교과라고 명시되어 있는 가정과교육의 실천적 본질을 이해하는 데에 핵심적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영혼을 이성적 부분과 비이성적 부분으로 나누고 이성적 부분을 다시 인식적 부분과 사량적 부분으로 나누었다. 영혼의 비이성적 부분을 식물적 부분과 욕구적 부분으로 나누었다. 인식적 부분에 해당하는 덕을 지적 덕, 욕구적 부분에 해당하는 덕을 도덕적 덕이라 하였다. 실천적 지혜는 인간 정신의 이성적 부분 중 사량적 부분에 해당하는 지적 덕 중에 하나이다. 이와 같은 분류에 기초할 때 실천적 지혜는 좁은 의미에서 praxis와 관계하는 덕으로 sophia와 구별되며, techne와도 구별된다. 넓은 의미에서 실천적 지혜는 techne를 포함하는 사량적 부분의 덕이다. 실천적 지혜는 도덕적 덕과 상호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올바른 욕구와 logos를 따라 선택한 행동에 이르게 한다. 이 연구의 논의를 기초로 가정과교육은 실천 개념의 범위를 어떻게 설정하여야 하는가의 과제와 실과와 기술과의 관련성은 어떻게 해석하는 것이 옳은지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가정과교육에서 지향하는 praxis의 의미를 잠정적으로 '도덕적으로 실천하는 행동, 선을 구체화 또는 실현하는 행동, 혹은 최선의 선을 추구하는 좋은 삶'으로 보았다. 실천교과로서의 가정과교육에서 실천적 지혜를 가진 사람의 의미는 '개인 및 가정생활에서 일어나는 실천적 문제의 구체적 상황에서 자신뿐만 아니라 모두를 위해 최고의 선을 구체화하는 행동(praxis)을 할 수 있는 사람'이다. 실천적 지혜와 다른 덕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실천적 지혜를 통해 이론과 실천을 통합할 수 있으며, 도덕적 덕과 불가분리의 관계를 맺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아는 것이 행동하는 것으로, 행동하는 것이 잘 행동하는 것으로 가게 해주는 덕이 실천적 지혜이므로, 실천교과로서의 가정과교육을 통하여 실천적 지혜를 가진 사람으로 교육할 사명을 다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