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천적 문제 중심 프로그램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18초

가정과교육에서의 치유교육을 위한 실천적 문제 중심 프로그램 및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Development of a Practical Problem Focused Pedagogical Program and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for Healing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 윤소희;주수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1-37
    • /
    • 2019
  • 본 연구는 가정과교육에서 청소년들이 스스로를 치유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치유를 위해 우리는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가?"의 항구적 문제를 설정하고, 가정과교육에서의 치유교육을 위한 실천적 문제 중심 프로그램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과 미국 가정과 교육과정의 문헌고찰을 통하여 가정과교육과 관련된 치유의 항구적 관심사와 실천적 문제를 설정하고, 한국과 미국의 교육적 사례 분석하여 치유교육을 위한 실천적 문제 중심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설계된 실천적 문제 중심 프로그램 및 세 행동체계를 기반으로 실천적 추론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치유교육 프로그램 및 교수·학습 과정안에 대한 전문가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가정과교육을 통하여 청소년의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치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07년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 관점의 변화에 따른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 연수 프로그램 개발, 실행 및 평가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an In-service Program of Practical Problem Focused Curriculum with Changing Curriculum Development Perspective)

  • 유태명;이수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9
    • /
    • 2009
  • 2007년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은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 관점이 수용되어 개발되었다. 그러므로 이를 수업에 제대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할 지원 체계가 요청된다. 본 연구자는 가정과 교사의 혁신역량 강화와 교실수업 능력 향상을 위해 새로운 차원의 연수가 요청되고 있음을 인식하고,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의 일환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 연수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제안한 바 있다(이수희 유태명, 2008). 본 연구는 그 후속 연구로 직전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육과정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 실행, 그리고 평가해 봄으로써 새로운 교육과정의 도입에 대비하고 동시에 가정과 교사의 교수 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질 높은 연수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수 프로그램 개발단계에서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를 최대한 반영하여 총 30시간으로 구성된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 연수 프로그램의 내용을 개발했다. 이에 따라 강의를 위한 원고를 집필하고 실습 및 활동을 포함하는 교재를 개발하였다. 연수 프로그램의 실행단계에서 2008년 1월 21에서 29일 기간 중 4일의 오프라인(30시간)과 별도로 1월 23일에서 27일까지 5일의 온라인 활동으로 구성된 연수를 실시하였다. 참여자는 24명으로 2007년 개정 교육과정 단원을 고려하여 6팀으로 구성하고 멘토교사를 활용하였다. 연수 프로그램의 평가단계에서 연수 참여자로부터의 서면평가와 집단면담, 전문가로부터의 서면평가를 통해서 연수 프로그램의 평가를 받았다. 연수 참여자는 연수내용, 강사 및 운영방식에 만족하였으나 좀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지도안을 작성하여 발표하고 피드백을 받기를 원하였다. 개인적인 수업설계의 기회를 원하는 연수 참여자도 많았다. 전문가의 경우 연수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본 연구의 설계가 우수하다고 평가하였다. 용어의 통일, 내용구성의 순서, 실습내용의 적절성에 대한 전문가 평가에서의 제안과 평가 내용은 연수교재의 수정 보완할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실제적 도움이 되었다.

  • PDF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육과정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분석 (Focus Group Interview for the Development of an In-service Educational Program on the Practical Problem Focu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 이수희;유태명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07-129
    • /
    • 2008
  • 본 연구는 2007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시행 준비를 위하여 본 연구자들에 의해 계획된 2008년 1월 21일에서 29일(오프라인 연수 4일간과 온라인 연수 5일간 실시 예정)까지의 기간에 총 30시간용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 가정과 교사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가정과 교사들의 요구를 파악하고 그로부터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 방법인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했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는 2007년 10월부터 11월에 걸쳐 파일럿 인터뷰와 3차의 인터뷰를 실시했으며, 3차 인터뷰에 총 18명이 참여하였다. 연수프로그램 개발과 관련하여 교사들은 다음을 요구하였다. 첫째, 교사들은 현장 교사들에게 실천적 문제나 실천적 추론 수업에 대해 논리적으로 설명해 줄 수 있는 철학적 지식이나 배경을 가진 전문가가 되고 싶은 등의 이유로 실천적 문제 관련 연수가 제공될 경우 거의 모든 참석자들이 참여하기를 원했다. 둘째, 교사들은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과 관련된 교과 철학 및 영역별 관점 설정, 실천적 문제 개발, 수업사례 시청, 교재 제작, 동기 유발을 위한 질문 개발, 수업의 실제 구성 및 지도안개발, 수업시연 및 상호평가, 지필평가 문항 제작, 전체 수업 과정에 대한 전문가에게 피드백 받기 등이 연수내용에 포함되기를 원했다. 셋째, 교사들은 연수 프로그램 방식으로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되 실습의 비중이 50%이상 차지하기를 원했다. 연수생을 평가해야 할 경우 연수생이 정확하게 연수 프로그램의 목표에 도달했는가에 대해 연수생 상호 평가와 대학의 실천문제 중심 교육과정 전공자의 평가가 병행되어야 하며, 그 평가 방식으로는 활동과제를 평가하는 방식이 적절하다고 했다. 또한 연수 프로그램의 평가에 대해서는 교사들은 연수 후에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의 이론은 물론, 실제적인 면에서 확신을 가지고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할 수 있을 때 좋은 평가를 할 수 있다고 했다. 이상의 교사들의 요구를 최대한 반영하여 총 30시간으로 구성된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 연수 프로그램의 틀을 개발했다.

  • PDF

초등학교 1학년 세계시민교육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및 평가: 실과 가정영역 실천적 문제를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for the 1st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Based on Practical Problems in the Home Economics)

  • 강솔;진미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1-94
    • /
    • 2024
  •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실천적 문제 중심 세계시민교육(GCED)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 평가하여 차기 교육과정에서 실질적인 세계시민교육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DDIE 모형의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 단계를 따라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초등 1학년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2022 개정 실과 교육과정과 세계시민교육의 관련성을 분석하였고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2022 개정 통합과 교육과정에서 세계시민교육 학습 요소를 추출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네 가지 실천적 문제에 따라 총 8차시의 4개의 교수 학습과정안으로 구성되었고, 전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증을 통해 수정, 보완하였다. 개발된 교수 학습과정안은 서울특별시 S 초등학교 1학년 학생 16명을 대상으로 4주에 걸쳐 8차시 모두 적용되었다. 프로그램 실행 결과, 학생들 세계시민의식의 평균이 사전보다 사후에 3.88점(±3.91) 증가하였으며, 수업 교사의 성찰일지와 수업 참여 학생의 포트폴리오를 분석한 정성 평가에서도 프로그램이 학생들이 더 나은 지속가능한 세상을 만들기 위한 실천의 중요성을 깨닫는 데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과 연계 초등학교 1학년 실천적 문제 중심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이 세계시민의식 함양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acher Perception and Classroom Practice of Practical Problem-Focused Home Economics Instruction)

  • 고미영;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59-176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가정과교사들의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에 대한 인식과 실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 실행의 활성화 방안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에서 중학교에서 가정교과를 가르친 경험이 있는 교사 150명의 설문지 응답과 중학교 가정과교사 6인을 대상으로 한 면담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SPSS/Win(Ver 10.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ANOVA, T-test, 상관관계를 산출하였다. 첫째, 중학교 가정과교사는 가정교과의 목적에 대해서 대부분이 실천적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대부분의 가정과교사가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실행 정도는 낮았으며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의 필요성 인식과 실행 정도에 상관관계가 없어서 가정과교사의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에 대한 인식과 실행의 부조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교사의 특성에 따른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의 필요성 인식과 실행 정도를 알아본 결과, 교사의 특성에 따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의 필요성 인식이 유의하게 차이나지 않았으며,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의 실행 정도의 경우 교사의 교직경력, 발령교과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직업 만족도에 대하여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의 필요성 인식과 실행 정도가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실천적 수업의 필요성 인식보다 실행 정도와의 상관관계가 더 컸다. 이로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은 선행연구에서 밝힌 학생을 대상으로 한 효과검증 뿐 아니라 교사의 직업만족에도 관련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동료교사와 자료 및 정보공유가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 실행을 촉진하는 요인이며, 수업시수나 시간 부족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에 대한 이해 부족이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 실행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 실행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관련 교수 학습 과정안과 같은 학습 자료의 지원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수업시수의 확보, 이 수업의 밑바탕에 깔린 가정교과철학관련 연수, 이 수업을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게 하는 장기간의 교사 연수를 필요로 했다.

  • PDF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체험형 실천적 문제중심 수업 설계 및 수업 인식 (Practical Problem-Focused Instructional Design and It's Perception Applying Universal Design)

  • 이경숙;장상옥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55-169
    • /
    • 2010
  • 본 연구는 고등학교 기술 가정 주생활단원에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체험형 실천적 문제 중심 교수.학습과정안과 학습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하여 수업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수업의 틀은 생각열기-문제인식-문제맥락 이해-정보탐색 및 대안탐색-대안결과 고려-실천계획 단계로 설정하였다. '누구나 편리하고 안전한 주거생활을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라는 실천적 문제해결을 위해 6차시의 '유니버설 디자인의 이해' '환경 변화 요인 분석' '인간을 배려한 주거 문화 창조'라는 중요 관심사를 정하고, 노인, 임산부, 장애인 대안체험 프로그램을 수행하였다. 교수 학습과정안에는 수업지도안(5종), 교사자료(8종), 학생활동자료(12종), 체험 프로그램(3종) 자료, 수행평가자료(1종), 자체 제작 UCC(2종), PPT 자료(6종) 등의 학습자료가 포함된다. 수업인식에서 학습자는 수업방식과 수업내용이 흥미롭고, 대안체험활동과 토론활동을 통하여 수업을 쉽게 이해하였으며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었다고 보았다. 수업 후에는 주거와 지역사회 생활환경에 대한 의식변화를 주관적으로 인식하여 체험형의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이 매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체험을 포함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이 가정교과의 다양한 영역에서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 PDF

실천적 문제 중심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 따른 초등 가정과 세계시민교육 내용체계 개발 (Development of Content System in Practical Problem-Based Home Economic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권보은;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81-98
    • /
    • 2023
  •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맥락에서 세계시민교육이 필요함에 따라 실천적 문제 중심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 따른 초등 가정과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 내용체계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분석, 설계, 개발 및 전문가 협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다. 첫째, 분석 단계에서는 가정과에서의 세계시민교육이 요구되는 교육적 흐름을 밝히기 위해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각론, 교육부 발표 자료, 세계시민교육 관련 미래 교육 문서를 분석하여 국가 교육과정에서 세계시민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급변하는 미래 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은 세계시민역량이 반영된 가정과교육에서 실천적 행동을 통해 궁극적인 목표인 개인과 사회의 웰빙을 이루는 것이 목표'임을 관계적으로 보여주는 가정과 세계시민교육 목표 프레임워크를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항구적 문제로 "생활환경과 관련한 지속 가능한 선택을 위해 세계시민으로서 나는 어떤 행동을 해야 할까?"를 설정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2022 개정 초등학교 가정과교육과정에서 '생활환경과 지속 가능한 선택' 영역의 핵심아이디어 네 개를 분석하여 하위관심사와 실천적 문제를 각각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 단계에서는, 가정과 세계시민교육 목표 프레임워크에서 근거한 네 가지 내용요소 도출 기준에 따라 내용요소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미래 사회를 대비하는 세계시민역량 관련 문서와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가정과교육과정을 분석하고 가정과에서의 세계시민교육 필요성을 분석하여, 가정과 세계시민교육의 기반이 되는 교육방향을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

중등 가정교과에서의 실천적 문제 중심 죽음준비교육 방안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lan based on practical problem in middle and high school Home Economics curriculum)

  • 김샛별;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9-114
    • /
    • 2019
  • 죽음준비교육은 단순히 미래의 죽음을 준비하는 것만이 아니라 더 행복하고 의미있는 삶을 위한 교육이다. 죽음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직면하는 항구적 문제이며 개인의 가치관과 자신이 속한 사회에 따른 맥락적인 실천적 문제라는 점에서 가정 교과와의 연결고리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교 가정교과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 문제 중심의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ADDE모형에 따라서 개발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나와 가족의 행복한 삶을 위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었으며, 프로그램은 12가지의 실천적 문제와 중·고등학교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죽음준비교육 교수·학습 과정안을 포함하고 있다. 가정과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가정과 수업에서 청소년이 죽음을 자신의 삶에 자연스럽게 받아들여 가치 있는 죽음을 위한 의미 있는 일상의 삶을 실천하게 하는 교육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후속 연구로 가정교과에서의 죽음준비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도 조사와 현장에서 교수·학습 과정안을 실행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다.

'실천 중심 인성 발현 메커니즘' 구현을 위한 NABI 프로그램의 적용 사례 (A Case Study on Application of the NABI Program to Realize the 'Practice Centered Mechanism of Manifesting Character')

  • 박다혜;박종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947-957
    • /
    • 2016
  • 오늘날 인성교육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과학교육에서도 인성교육을 실시하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NABI 프로그램 적용을 통해 이론적으로 개발된 '실천 중심의 인성발현 메커니즘'이 실제 과학교육에서 구현 가능한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학생 산출물과 수업 녹화 자료 등 다수의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실천 중심의 인성 발현 메커니즘'의 단계인 '가치, 판단, 실행'의 과정으로 유목화한 뒤 그 의미를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NABI 프로그램에서 대상을 선정하고 개별적 관계를 맺음으로써 '가치'를 형성해가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학생들이 형성한 가치는 '관계맺음'의 대상에 따라 '개인적, 대인적, 사회적, 생태적, 영적 가치'가 나타났지만 자연을 대상으로 하는 NABI 프로그램의 특성 상 생태적 가치가 두드러진 모습을 보였다. 다음으로 학생들은 실제 상황에서 겪게 된 문제를 '판단'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이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서로 타협하는 사회적 가치를 형성하고 실행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실행' 단계에서는 대상에 대한 공감을 바탕으로 '실천 의지'가 발휘될 때 진정한 '실행'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이론으로서의 '실천 중심의 인성 발현 메커니즘'은 과학교육에서 NABI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NABI 프로그램은 과학교육을 통한 인성교육 실행에 구체적인 방안으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문제중심학습(PBL)기반의 무용교육 모델 개발에 관한 실행연구 (An Implementation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odel of PBL: Centered on Dance Education Program)

  • 하영미;이지영;홍애령;김지영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31-53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인문학적 소양(liberal arts knowledge)과 연계한 무용교육의 전문적인 교수지식과 실행방법, 교육의 실천적 의미를 담는 무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PBL(Problem-Based Learning)을 적용한 역사콘텐츠와 문화재를 활용한 주제 중심의 무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역사의 맥락을 접목한 12차시의 무용프로그램 개발, 내러티브 사고와 표현을 이끄는 교수 방법,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한 교육실행 모델을 제시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