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무표준

Search Result 30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nalysis and Alternative of Classification Errors in Public Libraries (공공도서관 분류오류의 실증적 분석과 대안)

  • 윤희윤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4 no.1
    • /
    • pp.43-65
    • /
    • 2003
  • Libraries have long experience of applying classification schemes to resources - chiefly books. The ultimate goals of classification are systematic shelving of books and ease of user's access.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books about a particular field of knowledge should be shelved together and near each other. If not so, it is classification error. The focus of this study is, therefore, on analysing the classification error in Korea public libraries and suggesting some alternatives.

  • PDF

Standardization of the Work Classification System in Spatial Data Construction - Laying Stress on the Basic Surveying - (공간데이터 구축의 공종분류체계 표준화 - 기본측량을 중심으로 -)

  • Choi, Byoung-Gil;Cho, Kwang-Hee;Kim, Sung-S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4 no.2 s.36
    • /
    • pp.69-75
    • /
    • 2006
  • This study aims to standardize the work classification system in spatial data. It is the base frame to classify the general information systematically in spatial data construction process. Work process of the surveying firm and rules for basic surveying which is being accomplished in the NGII(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are investigated and analysed. Therefore, types, individual process, and results of surveying work is standardized. If the work classification system from this study is adopted as the national standard and is also advanced by construction methodology, the spatial data will be managed futuristically and systematically.

  • PDF

A Study on the Uncertainty of the Classification of Rook Mass Rating (RMR 암반분류법의 불확정성에 관한 연구)

  • Lee Sang-Eun;Jun Sung-Kwon;Kang Sang-Jin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15 no.6 s.59
    • /
    • pp.441-451
    • /
    • 2005
  • It is the unavoidable problem that the RMR rock classification method has the uncertainty resulted from uncertain definition of measured value in RMR grade table, hence in this paper, the estimation of probability density function$(p{\cdot}d{\cdot}f)$ graph with the evaluation of continuos RMR and the Monte Carlo Simulation and statistic reasoning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uncertainty quantitatively. Also, the modified RMR rock classification table was presented in order to apply the uncertainty of RMR to the practice, and then the design process of standard support pattern and the tunnel support material was proposed.

Effect of the Characteristic Length Scale on the Grid Dependency of FDS model (특성길이에 따른 FDS 모델의 격자 의존성)

  • Kim, Sung-C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4a
    • /
    • pp.66-69
    • /
    • 2012
  • Field Model에 의한 화재해석방법은 화재현상을 지배하는 망정식윤 직접 해석하기 때문에 Zone model에 비해 공간내의 상세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다양한 화재형태에 내해 보편적인 적용이 가능하다. Field model은 해석영역을 구성하는 격자점에 대해 이산화된 지배 방정식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차분방법이나 격자의 크기에 따라 수치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격자수는 계산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인자이기 때문에 효율적인 계산을 위해서는 격자크기의 최적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구획공간 화재의 최적 격자크기 선정을 위해 격자해상도(Grid Resolution)에 따른 해석결과의 독립성을 비교분석하고 이를 통해 구획공간화재에 대한 격자 최적화 방법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화재크기 및 특성 길이에 따른 격자의존성을 파악하기 위해 ISO-9705 표준화재실에 내해 적용된 격자크기는 최소 3 cm에서 최대 30 cm까지 총 7 종류의 격자크기에 대해 FDS 해석이 수행되었다. 해석결과, 환기량이 충분한 화재에 대해서도 격자해상도가 16보다 작은 경우 출입구의 유동은 격자에 따른 독립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재발열량이 증가함에 따라 독립적인 해석해를 얻기 위해서는 더 큰 격자해상도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재 실무에서 격자최적화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격자선정법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며 화재특성 및 구획공간 조건에 따른 최적격자 조건을 도출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a contingent approach of job analysis and implications (직무분석의 상황론적 접근과 활용방안)

  • Shin, Soo-Yo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5
    • /
    • pp.2072-2078
    • /
    • 2012
  • Along with the rapid change environment, many organizations have come to consider a method of job analysis for better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recognize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method of job analysis,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empirical studies. This research aims to clarify what kind of job analysis methods are proper to develop human resources ultimately. Its specific purpose are the following. First, to study representative job analysis methods theoretically. Second, to develop methods by its goal and practical use. Third, to show a empirical study in the real development case. This paper make contribution to develop a integrated job analysis method by contingent approach.

A Development Method for Standardized Document Model of Structural Calculation Document (구조계산서의 표준화된 문서모델 구축 방법)

  • Kim, Bong-Geun;Park, Sang-Il;Kim, Hyo-Jin;Lee, Sang-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ocietal Security
    • /
    • v.1 no.3
    • /
    • pp.83-91
    • /
    • 2008
  • Most construction information is being recorded in the form of electronic document. However, design documents generated in current practice are not suitable in share and exchange of information for disaster management. This study proposes how to develop th e XML Schema based semantic model of structural calculation document (SCD) for systematic storage and management of SCD information. in addition, 5 basic data types are developed for various expression forms appeared in the structural calculation documents. A prototype semantic model for steel bridge superstructure is developed based on the proposed method, and it is observed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be effectively used to build a standardized semantic model of SCD.

  • PDF

Comparison And Investigation on Estimation of SCS-CN in Andong-Dam Basin (SCS-CN 산정방법의 안동댐 유역 적용 및 비교.검증)

  • Lee, Yong-Shin;Lee, Ah-Reum;Park, Kyung-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094-1098
    • /
    • 2010
  • 미계측 유역에서의 홍수량을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평가나 조사는 사실상 전무하여 수자원 설계실무에 이용할 수 있는 절차나 방법은 극히 제한되어있다. 현재 주로 이용하고 있는 홍수량 추정절차는 강우를 근거로 한 확률강우량법, SCS방법, 단위도법이 국내의 표준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수치지도 및 위성영상분석 등과 같은 GIS 자료의 구축이 가능해짐에 따라서, 국내에서는 토양의 종류와 피복 형태 그리고 선행강우조건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해석하는 유출곡선번호(SCS Runoff Curve Number; CN)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유출량 해석 시 이용되는 CN은 토지이용도 및 토양도와 같은 지형학적 인자에 지배받게 된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제공하는 토지이용도 및 토양도는 그 종류가 다양하고, 분류방식이 상이하여 활용 자료에 따라 CN이 달라지므로 유출율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국내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자료를 이용하여 최적의 CN값을 산정하기 위한 연구가 선행된 바있다. 허기술(1987) 등은 우리나라의 정밀토양도에 의한 토양군 분류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조홍제(1997, 2001)는 LANDSAT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유역의 토지피복상태를 분류하고 식생지수를 고려하여 CN을 추정하였고, 김경탁(1998, 2003, 2004)은 개략토양도와 정밀토양도를 이용하여 유출모의 실행한 결과를 비교하여 신뢰도가 높다고 판단되는 정밀토양도를 사용한 CN 추정기법의 사용을 제안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GIS를 이용하여 국내에서 활용 가능한 토양도 및 토지이용도의 종류에 따라 총 9개 Case로 안동댐 유역의 CN을 산정하였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Transferring Electronic Records (전자 기록물 이관 절차 개발에 관한 연구)

  • Oh, Sam-Gyun;Kim, Hee-Sop;Oh, Sang-Hoon;Kwon, Do-Yun;Won, Sun-M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2 no.4
    • /
    • pp.441-461
    • /
    • 2008
  • The study aims at providing a practical, rather then conceptual, guideline for transferring electronic records for the purpose of applicable to the archives in Korea.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analyzed ISO, AHDS, and CCSDS transfer guidelines, examined requirements for transferring records in one Korean government agency as a testbed, and finally developed a proposed guideline for e-records transfer that is suitable for Korea settings. The study is deemed significant in that the proposed guideline is derived from a case study and analysis of major transfer guidelines available.

Interview - Standardization of Design Drawings·Modular Building⋯ "The era of BIM? Already has come." (인터뷰 - 설계도면 표준화·모듈러 건축⋯ "BIM의 시대? 이미 왔다")

  • Lee, Yu-Ri
    • Korean Architects
    • /
    • s.615
    • /
    • pp.28-31
    • /
    • 2020
  • 도입까지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예측됐던 건설정보모델링(BIM :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이하 BIM)이 어느새 성큼 다양한 분야에 진입했다. 영국, 싱가포르, 미국 등 해외에서는 이미 공공사업 시 BIM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2018년 국토교통부에서 '스마트 건설기술 로드맵'을 마련한 후 공공사업에 BIM을 단계적으로 도입해왔다. 대부분의 발주기관들은 오는 2025년까지 공공사업에 BIM을 전면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및 미래도시융합공학과 교수이자 국제건설자동화학회의 종신 상임이사인 권순욱 교수는 '스마트 건설 관리' 연구자이자 국내외에서 활동 중인 CM, BIM의 권위자다. 관련 분야의 책 8권과 100편 이상의 논문을 집필하고 30여 개의 특허·소프트웨어 등록을 보유하고 있다. 텍사스 오스틴 대학교 토목공학 박사 출신으로, 삼성물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 일반 기업과 국가기관에서 실무와 이론을 두루 경험하며 경력을 쌓았다. 건설연구개발사업, 첨단 융복합 건설기술 등 다수의 국가 건설 R&D에 참여해 초고층 자재, 안전 모니터링, BIM 프로세스 표준개발 등의 시스템을 개발하기도 했다. 해외 연구자들과의 교류에도 적극적이다. 세계 석학들과 '노령 공학' 관련 영문교과서를 공동 집필(스마트주택 챕터 담당)했고, 2016년과 2019년엔 국제건설자동화학회와 국제프로젝트관리학회의 연사 자격으로 강단에 섰다. "영국, 싱가포르 등에선 공공사업을 100% BIM으로 발주하기 시작했습니다. 우리나라 정부도 비슷한 길을 가고 있습니다. 일정 규모의 발주 물량이 안정적으로 나오는 공공기관에서 그렇게 한다는 것은 국가가 전체 패러다임을 바꾸겠다는 의지 아닐까요?" 6월 10일 그의 연구실에서 권순욱 교수를 만나 BIM의 현황과 전망에 대해 들어봤다.

  • PDF

The Layer Standardization of Computerized Landscape Facility Drawings (조경시설물 전산 도면의 레이어 표준화 방안)

  • Kim, Choong-Si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9 no.5
    • /
    • pp.76-90
    • /
    • 2011
  • As most landscape drawings tend to be recorded in electronic format, the need for layer standards is growing. While the categorization system of planting drawings has been progressing, landscape facility drawings are being delayed.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categorization system of computerized landscape facility drawing documents. In the beginning of this study, it found that the layer categorization system of "The Standards of Construction CALS/EC computerized drawings v1. 1" and "The submit instructions of electronic design documents" are not suitable for the landscape facility drawings. 1,154 drawings drawn by 10 landscape architect offices were used to analyze the current layer categorization status. As a result, it found that "The Standards of Construction CALS/EC computerized drawings v1. 1" were not introduced in landscape facility drawings and 46% of layers were produced indefinitely. The new layer categorization system consisting of 15 facility items was drawn by applying the ISO construction information categorization system. The new layer categorization system is set on the basis of the legal code, landscape design standards, and design guidelines of public institutions. This new layer categorization system is expected to propagate at the landscape architect offices in the ea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