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내이미지유형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1초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레스토랑 실내이미지 선호도 차이에 관한 연구 (Preference Differences in Interior Images of Restaurants according to Lifestyles)

  • 김태희;박영석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10호
    • /
    • pp.69-79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restaurant patrons' preference differences in interior design style of restaurants according to their lifestyles. Written questionnaires were handed out to 500 adults in Seoul and surroundings and the results were sampled by convenience sampling.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lifestyles, and preference for 10 types of interior design style. A total of 415 questionnaires were usable for data analysis, resulting in a response rate of $83\%$.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factor, reliability, quick clustering K- means and One-Way ANOVA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10.0.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preference differences in 10 types of interior design style of restaurants according to lifestyle types which were categorized into 4 groups. The conservative and self-convinced group showed the lowest preference scores in the 10 types of interior design style which are Romantic, Ethnic, Classic, High-Tech, Elegant, Country, Modem, Minimal, Natural, and Casual style. The quality life pursuing group and extroverted individuality groups showed the high preference scores in most of the styles, especially in the Classic and Elegant styles. The realistic self-centered group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scores in Casual style among the 4 groups. These study findings indicate that restaurants should take into account their patrons' lifestyles as a mean of market segmentation, and respond to their taste and preference when they have established suitable servicescape.

실내공간의 이미지 전회비교 평가를 통한 공간유형별 지각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ceptive characteristics of space type through comparative evaluation on the image rotation of Interior Space)

  • 최계영;김종하;이상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179-187
    • /
    • 2010
  • For the user-centered interior space design, a designer needs to carefully focus on the details from which the user must keenly observe or concentrate on the space and how to deliberately check the image of the space. Following this view, for the user-centered interior space design this study analyzes the way which the space is represen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mage assessment.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 of space image change in the form of cross-comparison between one space and a rotated space. With analyzing of an eye fixation by showing the space, the space images of "concentration-dispersion" and "strengthening-weaken "have an important role in the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space. it confirmed that the method of space perception was changed by rotated the space. Second, With changing quantities of image and extraction of deviation from adjective in survey, it quantitatively graps that respondents of feel in space perception by changing the space and "concentration" and 'dispersion" for process of space choic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an provide important basis to judge the changing of space perception by visual perception. Third, through the analysis of image change rate and deviation rate, the characteristics of image change with space change can be analyzed.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study provide the evidence to support the image change by space rotating.

공공보건시설 환경색채이미지 어휘 특성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Color Image Vocabulary for Public Healthcare Facility)

  • 박혜경;오지영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31권
    • /
    • pp.171-180
    • /
    • 2017
  • 본 연구는 최근 건강, 웰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공공의 다수가 이용하는 공공보건시설이 국민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색채환경 구축을 위한 색채이미지 특성을 분석하여 공공보건색채 계획 및 지표개발의 데이터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기존 관련 선행연구 결과를 종합하였고, 공공보건시설을 유형별로 의료시설(종합병원), 보건시설(보건소), 준치유시설(요양시설)로 구분하였다. 총 18곳의 공공보건시설을 직접 방문하여 측색기로 환경색채를 측색하여 환경색채이미지를 분석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 및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분석하여 색채이미지 특성 및 향후 보완할 점들을 도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공공보건시설의 환경색채이미지 어휘와 관련된 선행연구에서는 편안하고 밝은 긍정적인 이미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공공보건시설의 환경색채를 직접 측색한 결과, 대부분 Y계열의 고명도, 저채도 색상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공공보건시설의 환경색채이미지 어휘를 분석한 결과, '내츄럴한' 이미지가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고, 그 외 '은은한', '점잖은' 등의 이미지가 나타나고 있는데, 공공보건시설의 색채이미지어휘간의 특성을 파악하기가 어려웠다. 본 연구는 색채과학과 환경디자인 분야의 융합연구로서, 디자인과 관련된 다학제적 연구 범위를 넓혔으며, 사용자 감성 중심의 환경계획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도시여성의 주생활양식유형과 실내디자인 이미지 선호 (Types of Housing Lifestyle and Preference for Interior Design Image among Urban Female Residents)

  • 김미희;문희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43-52
    • /
    • 2002
  • This study explores the types of lifestyle of females living in urban areas,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lifestyle and the preference for interior design images. The research sample is 301 adult females in Kwangju City, Korea. The sample is divided into two groups by employment status. Based on eight lifestyles by related factors, four major lifestyle types are classified: traditional type, private and sensible type, passive and private type, and environment-oriented and sensible type. The portions of these types are 32.6% of passive and private type, 21.6% of environment-oriented and sensible one, 21.6% of active and sensible one, and 16.6% of traditional one. The research of the lifestyle types reveals that they differ by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and dwelling types. There are negligible differences among four types in preference for three interior design images.

수량화 1 류 분석을 이용한 실내색채의 이미지 유형별 특성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by Image Type in Interior Color using HAYASI 1 Program)

  • 이진숙;서정원;조원덕;이선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7호
    • /
    • pp.31-37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by image type in interior color. This experiment is carried out by the evaluation method of color simulation with the color image processor. And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al evaluation is analyzed quantitatively by HAYASI 1 Program.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 1) In casual and clear images, the most main colors are GY, PB, Y , and N, Casual image has high chroma and the most arrangement of colors is hue-contrast or contrast -harmony with white. Also the main colors of clear image are in identical or similar harmony with the hues of floor. 2) In romantic, elegant, pretty, and gorgeous images, the most main colors are GY, RP, R , YR and Y and the most arrangement of colors is identical or similar harmony. The romantic image of pastel tone is wholly lighter than the pretty image of bright tone. And elegant image is lower in chroma than romantic images, so generally dark. Also gorgeous image is the vivid tone with high chroma. 3) In chic and modern images, the main colors are the hues of B, PB, high value and low chroma with bright tone. Also, the main colors are in identical or similar harmony with the hues of floor : BG , B, PB and P. 4) In natural and semiclassic images, the main color is the warm color of Y, YR and the most arrangement of colors is identical or similar harmony. Also Semiclassic images is the dull tone with middle value and middle chroma and darker tone than natural image. 5) In dynamic image, the main color is the hue of N, Y, PB and GY and most of color is high chroma. And the most arrangement of colors is value-contrast.

  • PDF

골프연습장 유형에 따른 서비스품질 및 선택이유와 고객만족, 충성도의 구조모형 비교 (Comparison of structure modeling with perceived service quality, reason of selection, satisfaction and loyalty of consumers by type of driving range)

  • 신민철;박근;가경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490-3498
    • /
    • 2014
  • 본 연구는 골프연습장의 유형에 따라 소비자가 지각하는 서비스기대 및 품질, 골프연습장 선택이유, 고객만족 및 고객충성도와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그 차이를 분석하고자 서울시와 경기도, 부산시, 대구시, 광주시 소재 골프연습장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실내 외 골프연습장의 선택이유는 고객충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고객만족과 서비스기대를 통해 고객충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품질의 경우 실내골프연습장은 실외골프연습장과 다른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실내 외 골프연습장 모두에서 고객만족은 서비스품질과 고객충성도의 관계를 강화시켜 주는 중요한 매개변수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급속하게 증가하고, 다양화하는 골프연습장의 신규와 재방문을 높이기 위해서는 차별적인 서비스 제공과 운영관리 등을 통해 골프연습장의 긍정적 이미지와 충성도, 만족도 등을 창출하여야 하고, 고객만족 경영을 위하여 이를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색채 이미지 유형에 따른 성별 색채 선호도에 관한 연구 - 패션샵 파사드의 색채 적용 관점에서 - (A Study on the Color Preferences of Genders of Color Image Types - From the Perspectives of Color Application of the Fashion Shop Facade -)

  • 여미;이창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136-147
    • /
    • 2012
  • This study researched about gender color preference as basic data for color application of fashion shop Facade. A HUE TONE system from V(vivid) to DK(dark) was used based on 10 colors of the IRI-120 color chart, color preference according to gender was investigated through a survey on males and females of over teenage years, and it was analyzed and presented as a color matching chart. And it was suggested as a color guideline through comprehensive analysis. Few definitions can be give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preference degree according to gender was similar but different senses were shown visually even though the same adjective expressive vocabulary of a color image was suggested. This means there is an unchanging basic conservative disposition that males and females do not have and therefore they infer different ideas according to various environments and factors. Second, females showed more sensitive response to colors than males in the gender color preference result, which confirmed the deviation of each color group that is characteristically preferred according to a category. Third, high preferred color matches according to gender were shown for each vocabulary in various senses such as similar color matching, complementary color matching, separation color matching, and accent color matching. A universal empirical theory by general sensibility was obtained a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ed securement of a color design planning as basic data and the extent of usability by quantitatively showing the order of priority through the survey and analysis.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 great help as basic data for invigor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a color planning for designers and users.

  • PDF

일반화된 모델의 변형에 의한 실내 통로공간 추적 (Indoor Passage Tracking based Transformed Generic Model)

  • 이서진;남양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66-75
    • /
    • 2010
  • 증강현실에서 3차원적 증강은 입력 비디오나 이미지로부터 3차원 구조 복원 및 추적을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제안된 기존의 방법들은 대개 정확한 3차원 모델을 사전에 구축해두고 실시간에 대조하는 방식을 취하였는데, 이 방식은 정확한 측정에 기반한 모델이 있어야 한다는 점과 대상물을 일일이 모델링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은 각 대상물별 정밀한 모델 없이 유형별로 일반화된(generic) 모델만을 사용하는 방식을 제안함으로써 층간 이동 등을 허용하는 광범위 이동형 실내 증강현실 응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일반화된(generic) 모델을 변형(affine transformation)하여 주어진 장면에서 오류 임계치 이내의 정합을 이루는 모델 변형 값인 스케일, 위치, 회전 값을 찾아냄으로써, 그에 따라 정합된 3차원 공간구조에 관해 일관성 있게 증강객체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정밀 모델링에 드는 시간과 노력 비용을 줄이며, 실험을 통해 크기나 디테일은 다르지만 유사 패턴이 반복되는 통로구조의 복원과 추적에 사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중학교 기술.가정 주생활영역 활동자료에 대한 교사의 인식 (Teacher's Perception of Activity Materials in Housing Area of Middle School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

  • 이영두;조재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15-230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주생활 영역에 제시된 개별 활동자료의 형태와 각 개별 자료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자료는 중학교 6개 교과서 주생활단원 '주거공간의 활용'과 '실내환경과 설비' 중단원에 제시된 활동자료 $9\sim14$개 각각에 대해 교과서별로 $30\sim69$명의 담당교사 총 256명이 응답하였다. 이 단원을 가르쳐 본 조사대상 교사들은 주생활단원을 비교적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이에 대한 자신의 배경지식은 다소 부족하다고 인식하였다. 주생활 영역 자료는 본문이나, 참고자료, 활동자료에 비해 그림자료 활용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제시된 활동자료의 자료특성을 자료형태(그림, 표, 보충 글, 복합형태, 문장만 제시), 비문장 자료형태의 성격(이미지, 설명적, 해석적, 복합성격), 활동유형(학습내용확인형, 자료분석사고형, 외부자료조사형, 복합활동형)으로 분류했을 때, 자료형태에서는 문장만 제시한 자료형태가, 비문장 자료형태의 성격에서는 설명적 성격의 자료가, 활동유형에서는 자료분석사고형의 활동자료가 많이 제시되어 있었다. 교과서별 활동자료 수는 활동유형별 보다 자료형태나 자료형태의 성격에 따른 차이가 더 커서 집필자에 따라 특정 자료형태의 활동자료를 다수 제시한 경향이 있었다. 자료특성별 주생활 영역 활동자료 각각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활동자료형태별 인식의 차이가 활동유형별이나 자료형태의 성격별 인식의 차이보다 더 컸다. 자료특성별로 교사의 흥미와 학생의 흥미가 유사했으나 대체로 교사 자신의 흥미보다 학생의 흥미를 낮게 보고 있었다. 활동자료에 대한 교사의 주관적 배경지식수준과 내용적합성 보다 수준적합성을 더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가장 긍정적으로 나타난 자료특성별 활동자료는 자료형태면에서는 그림을 제시한 활동자료였고, 비문장 자료형태의 성격은 해석적이거나 복합성격의 활동자료였으며, 활동유형은 학습내용확인형이나 복합활동형 활동자료였다. 이러한 활동자료특성별 교사의 인식은 교과서에 실린 자료수와 관련이 적었다. 활동자료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대한 이 연구에 이어 개별 활동자료가 현장에서 실제 얼마나 활용되고 있는지를 밝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겠다.

  • PDF

실내공간 구성요소에 의한 감성반응 연구 - 기독교 예배공간 강단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motional Reaction to the Interior Design - Focusing on the Worship Space in the Church Buildings -)

  • 이현정;이규백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257-266
    • /
    • 2005
  • 본 연구는 기독교 예배공간 강단부 이미지를 대상으로 피험자를 통해 나타나는 감성반응을 연구하고, 감성 자극 요소가 감성반응에 미치는 기여도를 정량화하여 향후 예배공간 강단부 계획에 있어 감성의 공간을 구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예배공간을 대상으로 추출한 감성 표현어휘 23개와 선정한 예배공간 강단부 이미지 32개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기독교인 1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 하였다. 통합된 데이터를 수량화이론 III류 분석법을 이용해 2차원분산 분포도로 나타내었으며, 분석 결과, 이미지의 '단순복잡성'을 나타내는 가로(x)축과 이미지의 '독창성'을 나타내는 세로(y)축으로 성립됨을 밝혀내었다. 더불어 분석 결과에 따른 감성 반응치(反應値)와 감성 자극요소와의 인과관계를 수량적으로 추출하기 위해 클러스터 분석에 의한 유사도를 기준으로 가로축의 대표 감성어 소박한, 장엄한 과 세로축의 전형적인 독창적인 을 4개의 감성 어휘 그룹으로 선정하였으며, 해당하는 감성어휘 평가치의 총계를 기준변수로 하고, 예배공간 강단부의 감성 자극 요소를 독립변수로 하는 수량화 이론 I류 분석법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강단부의 감성 자극 요소의 구체적 부분은 벽의 색상, 형태, 마감과 바닥의 형태와 마감, 천장의 형태, 색채, 창의 형태, 상징적 요소의 유(有) 무(無) 9가지로 선정하였으며, 그에 따른 하부 카테고리 31개를 선정하여 감성 자극 요소가 감성반응에 미치는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벽면의 색상과 마감이 피험자의 감성반응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징적 요소의 유(有) 무(無)와 천장의 색상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은 요소임을 밝혀내었다. 본 연구는 예배공간의 종교적 숭고미와 관련되는 감성적 요구를 표현하는데 있어 디자이너의 주관적인 해석을 객관화, 정량화시켜 사용자의 감성적 만족을 높이고 공간의 유형과 목적을 만족시킬 수 있는 공간 디자인 접근에 도움이 되리라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