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축 한옥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의 명소 (1) - 한옥으로 지은 관공서 '혜화동사무소'

  • 이용재
    • 건설안전기술
    • /
    • 통권44호
    • /
    • pp.32-37
    • /
    • 2008
  • 혜화동사무소는 한옥도 현대인의 생활과 업무를 담아내는 업무 시설이 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시도라 할 수 있다. 게다가 더욱 의미있는 것은 신축이 아닌 기존 한옥을 개조했다는데서 더 큰 의미를 찾을 수 있다. 혜화동사무소는 1940년대 지은 도시형 한옥을 2005년 연말 동사무소로 개조한 것이다. 선진화위원회에서 이 건물을 이달의 좋은 건물로 뽑은 이유는 "한옥이 많은 혜화동의 특성을 살려 전통문화의 얼을 잇고자 했던 지역주민들의 노력과 공무원들의 창의적인 생각이 있어 가능했다"고 평가했다.

  • PDF

2000년 이후 서울의 신축한옥에서 보이는 건축적 특징 - 칸 구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Newly Built Hanok in Seoul Since 2000 - Focused on the Kan Composition -)

  • 김성하;전봉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9호
    • /
    • pp.109-117
    • /
    • 2019
  • Since 'Hanok Expanse Support' has been started in Seoul, its target was expanded from renovation to new construction and from 'Hanok District' to all area in Seoul. The newly built hanok with Hanok Expanse Support had to follow the standards about the form of the hanok and adapt to modern lifestyle. However, the newly built hanok were planned with 'kan' since it retained the traditional wooden structure. So their composition of kan were considered to be influenced by the standards of each district and modern lifestyle.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newly built hanok in Seoul since 2000 focusing on the kan composition. Because of the differences in site conditions and the district unit plan, newly built hanok in Hanok District have more limited changes than Other District. However, kan is composed variously in horizontal and vertical ways to make the most space according to site conditions and most of the newly built hanok have opened courtyard rather than closed courtyard layout. With kan composition in various directions and kan added under the eaves, kan is highlighted in form. On the other hand, the composition of kan as an interior spatial element has changed and weakened because the lifestyle has changed compared to the traditional hanok and the 20th century urban hanok. Also the regular kan composition of Mom-chae and Nalgae-chae has changed. And kan is divided regardless to the wooden structure. Also, with the added kan under the eaves the main kan is dismantled inside. This paper indicates that although there is an undeniable premise that the case is restricted to hanok received Hanok Expanse Support on the condition of following the standards of the form of hanok, it is a part of the transitional changes that hanok is experiencing.

전남지역 신축 농촌한옥 현황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영암군 및 여수 지역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New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condition & Improvement Direction for Jeonnam region Rural Houses -Focus of Yeongam-gun & Yeosu region-)

  • 조연준;조길환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45-52
    • /
    • 2010
  • The study has effected checking the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condition in Farm village and the resident preference test in jeonnam area for examination propriety of development a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Also, it was checked over the problem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new building the Korean style house. The resident wanted living in the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if it is compromised problem of living equipment and cost of building. First. Jeonnam area Korean style house must keep the 'ㅡ' type plan. Second, the plan must construct compact and effective plan with the main floored room as the center for prevention against an indiscreet plan space extend of outside. Third, it has must need suitable material and construction for applying traditional exterior with effect. Fourth, it has must need actualization plan for the cost of construction is 3,500,000/py for construction.

한옥 설계의 최근 경향 연구 - 최근 10년간 건축전문 잡지에 게재된 신축 한옥을 대상으로 - (The Recent Trends of Hanok Design -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Hanoks Appeared in Architecture Magazines in the Last 10 Years -)

  • 이주옥;한필원
    • 건축역사연구
    • /
    • 제21권1호
    • /
    • pp.171-186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cent trends of hanok design based on 58 hanoks appeared in architecture magazines in the last 10 years. The cases are analyzed in terms of location, size, building form, spatial organization, material, roof form, and the ceiling form of living room. The consequence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Most of the recent hanoks are built in rural area (91.4%), which shows the hanok is not accepted as an urban house type. Hanoks tend to be built in 2 stories whose 2nd floor is smaller than the 1st floor. (34.5%) The preferred size is total floor area of $99.2{\sim}165.2m^2$ (62.0%), 3 rooms (46.6%) with a traditional ondol room (60.3%). The buildings with ㄱ-shape (43.1%) and linear-shape (27.6%) are preferred, and the compact plan type similar with apartment house appears (13.8%). In the roof design that greatly influences the appearance of building, the traditional design factors such as half-hipped roof (55.2%), double eaves (27.6%), and eaves curve tend to be sustained. In terms of spatial organization, most of recent hanoks have double-layed plan (74.2%). The living room mostly has separately defined space. (82.8%) The indoor and outdoor tend to be connected by a narrow wooden veranda (39.7%), while some cases don't have any wooden floor space (48.3%). The entrance is adopted as an important spatial element in front part of building (75.9%), and it influences the appearance of building. The living room, the counterpart of the wooden floor hall in traditional hanok, and kitchen tend to be interiorized. In terms of material, the cement roof tile and red clay brick are preferred. Consequently, the walls of recent hanoks have the image of brick structure rather than the wooden frame structure of traditonal hanok.

역사문화도시 공주의 고도담장정비 사례 연구 (Case Study of Ancient City Wall Renewal in Gongju, a Historic Cultural City)

  • 온형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2호
    • /
    • pp.254-269
    • /
    • 2020
  • 본 연구는 '고도 이미지 찾기 사업' 중 가로경관개선 사업의 하나인 담장에 대한 이론과 담장 디자인 선행 연구를 통하여 고도에서의 담장에 어울리는 담장 정비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선행 연구를 유목화하고, 담장 디자인 이론을 고찰한 후, 고도 지정 지구의 의의와 '고도 이미지 찾기 사업'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례 대상지를 선정하여 고도담장정비 사례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여러 특성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담장의 선행 연구는 담장의 성격 분석, 담장 디자인 원리 응용, 담장 구조·색채와 형태 및 응용, 현대적 재해석, 궁궐 담장, 주택·사찰·마을의 담장 등 6개 항목으로 유목화되었다. 담장은 '고도 이미지 찾기 사업' 중 가로경관개선 사업에 해당하며 시지각적 인지도가 내부 건축물보다 선경험으로 제공되는 특성이 있다. 고도담장정비 사례 대상지는 고도별 특별보존지구와 보존육성지구의 구성 분포 비율을 기준으로 무령왕릉과 인접한 공주시 송산리길 주변 마을을 선정하였다. 공주시 송산리길 주변 마을의 '고도 이미지 찾기 사업'은 한옥 신축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담장 정비는 한옥 신축과 동시에 시행된 게 아니었다. 가로변 건축물 외관 정비 사업으로 추후에 지원과 정비가 이루어진 것이다. 한옥과 담장이 동시에 설계되어 심의 후 신축되었다면 한옥의 규모 및 디자인과 조화를 이루는 담장이 되었을 것이지만 서로 기간을 두고 신청, 설계, 시공되었기에 한옥의 처마와 담장이 대지 경계선에 거의 맞닿아 있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공간적으로 가깝고 높은 한옥 본채와 담장의 배치는 답답하게 닫혀 있는 구조물로 인식된다. 송산리길의 담장 디자인은 고도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형태와 색상과 재료로 차분하고 은은하며 안온한 분위기를 자아내야 하는데, 날카롭고 옹색하여 난처한 지경에 놓여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려면 담장 설계 디자인을 먼저 고려한 후, 한옥 본채 설계 디자인을 후순위로 진행하는 방안의 도입도 합리적 대안이 될 수 있다. 사례 대상지인 공주시 송산리길 담장 지원 사업의 문제 요인은 전통 담장이 가져야 할 미적 요건에 상당히 부족하다. 첫째, 담장의 자연 재료 선정 및 활용에서 미적 의식이 실종되었다는 것이다. 둘째, 디자인 완성도와 조화의 부재이다. 조사 대상지인 공주시 송산리길 고도담장정비의 문제 요인을 분석한 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옥 설계와 담장·대문 시공 설계 도면을 함께 심의해야 한다. 둘째, 한옥 담장 디자인의 자연석 돌담 일변도를 재검토 진단하여야 한다. 셋째, 계획·설계 과정에 주민과 전문가의 의견을 조정하는 상시 체계를 가동해야 한다. 넷째, 한옥의 개별성을 집단화하여 지역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문화 자산으로 가치를 높여야 한다.

서울시 신축한옥의 면적별 평면구성에 따른 공간적 특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Newly-built Hanok in Seoul by Planar Configuration according to Area)

  • 정준수;양승정;김수암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61-68
    • /
    • 2013
  • According to the relation of the attribution of residents, we analyze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newly-built Hanok in Bukchon focused on a spatial area-ratio, the number of rooms, L/D/K configur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Have increased the number of residents, the family members are also increased. In this study, the major formed case is 3 residents and two-generation family. 2) In the most cases, R area-ratio is the highest, next to L/D/K integrated area-ratio. While the examples that the L/D/K integrated area-ratio is lower than R area-ratio, or is also higher than R area-ratio are appeared. These examples can present that it has a tendency to secure the necessary room depending on the attribution of residents. 3) L/D/K is classified into four types of connection. And the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number of rooms are as follows. L+DK is the most common type, next to LDK>LD+K>L+D+K. And L+DK is widely distributed in each sized area. And particularly, it is appeared mostly in 3R.

현황조사 사례를 통해 본 한옥(韓屋)의 새로운 경향 연구 -1990년 이후 밀양지역 신축 한옥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the New Trend on the 'Han-Ok' - the Cases on Milyang Area built since 1990 -)

  • 장유경;유재우;이세진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93-96
    • /
    • 2011
  • 'Hanok(韓屋)' is the settlement that our ancestors completed for our lives through multiple verifications. Thus, there exists our nation's identity and a variety of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elements are included in that settlement. Even though the dwelling planning of Hanok has been introduced by the modern trends of traditional style, it can not present the type of various space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area and living characteristics and it shows a disparity in our real life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traditional Hanok's elements which are not fit into contemporary housing without filtration. To solve these problems, it must need to study on cases based on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Hanok and analysis on characteristics. For the Hanok to meet the development of modern residence, there needs to study on many fields such as plan, complex, structure, material. Among them,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the preliminary data for the improvement of Hanok's effectiveness by understanding and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focusing on the natural transformation of Hanok which are currently building in Milyang Area. Also, as the second step of this study,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based on the present situation of New Hanok in Kyeongnam province by expanding the range.

  • PDF

페로니켈슬래그 순환자원을 활용한 점토기와의 성능평가 (Study of Characteristics of Clay Roof Tiles Using Ferro Nickle Slag Recycled Resources)

  • 김순호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81-291
    • /
    • 2021
  • 건설산업의 환경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건축 자재의 친환경성을 강화하고 내구수명을 연장하여 신축 및 철거를 최소화의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많은 한옥의 지붕마감 공법이 제안되었지만 현재는 경제성, 무게, 내구성 등의 문제점으로 기존공법을 사용하는 추세이다. 한옥 건물의 지붕재로 사용되는 점토기와의 제조방법에 경주에서 생산된 기와용 점토와 고령토와 S사의 재활용 FNS(Ferro Nickel Slag)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여 한국전통 점토기와의 개발 특성과 재료를 연구하고 관련 기초자료를 제시한다.

단열 기준에 따른 기둥-보 목조주택의 단열 상세 및 에너지 성능 (Insulation Details and Energy Performance of Post-Beam Timber House for Insulation Standards)

  • 김세종;박주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6호
    • /
    • pp.876-883
    • /
    • 2015
  • 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한옥의 전통건축기술을 바탕으로 한국형 기둥-보 목조주택인 ?그린 프로젝트를 2006년부터 진행해오고 있다. 최근에는 에너지 절약 기술요소를 적용하여 건물의 에너지성능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강화된 단열기준에 따른 기둥-보 목조벽체의 단열상세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건물 에너지 절감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건물외피의 열관류율은 현행법 수준과 저에너지주택인 패시브하우스 수준인 두 단계로 나누었으며 건물에너지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건물의 기밀성능은 국내 신축 목조주택 수준인 $3.0h^{-1}$과 패시브하우스 수준이 $0.6h^{-1}$ 두 단계로 나누어 열관류율과 기밀성능의 조합에 따라 4가지 경우에 대한 건물에너지 성능 평가가 이루어졌다. 대상건물은 서울에 위치하였으며 에너지 성능은 상용 건물에너지성능 평가 프로그램인 CE3가 사용되었다. 강화된 열관류율에 따라 시뮬레이션을 진행한 결과 연간 난방에너지 요구량은 $14kWh/(m^2{\cdot}a)$ 절감효과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