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체 부위

Search Result 550,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일부 폐경전 성인여성의 골밀도와 신체계측 및 식이인자에 관한 연구

  • 임화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71-1071
    • /
    • 2003
  • 본 연구는 폐경전 성인여성들의 골격상태를 알아보고 신체계측 및 식이섭취실태가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성인여성 61명을 대상으로 신체계측을 실시하고 24시간 회상법으로 영양소 및 주요 식품군의 식품섭취실태를 조사하고 DEXA를 사용하여 요추와 대퇴부 3부위의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1)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37세였으며, 평균 신장과 체중은 158.17cm, 54.55kg였으며, 평균 BMI와 WHR은 21.82, 0.78로 대상자들의 비만도는 정상이었다. 2) 평균 골밀도는 요추(L24) 1.04 g/$\textrm{cm}^2$, 대퇴경부 0.76g/$\textrm{cm}^2$, 대퇴전자부 0.66g/$\textrm{cm}^2$, 와드삼각부 0.69g/$\textrm{cm}^2$이었다. 3) T-score로 판정시 요추(L24)의 경우 골다공증군 3.28%, 골감소증군 14.75%, 대퇴경부의 경우 골다공증군 9.84%, 골감소증군 52.46%, 대퇴전자부의 경우 골다공증군 1.64%, 골감소증군 34.43%, 와드삼각부의 경우 골다공증군 6.56%, 골감소증군 45.90%였다. 4) 영양소중 칼슘(78.75%), 철분(69.75%) 및 비타민 A(92.17%) 영양소의 1일 평균 섭취량은 영양권장량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5) 신체계측 및 영양소섭취량과 골밀도와의 상관관계분석에서 신체계측에서 체중(p < 0.05), 엉덩이둘레(p < 0.01), 제지방함량(p < 0.05), 총수분함량(p < 0.05)이 높을수록 요추골밀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영양소섭취량은 골밀도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6) 주요 식품군의 식품섭취실태와 골밀도와의 상관관계분석에서 버섯군의 식품섭취횟수(p < 0.05, p < 0.05)가 많을수록 요추(L3, L24)의 골밀도가 각각 유의하게 높았으며, 유지류군의 섭취식품수(p < 0.05)가 많을수록 와드삼각부의 골밀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곡류군의 섭취식품수(P < 0.01, p < 0.05, p < 0.05)가 많을수록 대퇴부 3부위 (대퇴경부, 대퇴전자부 및 와드삼각부)의 골밀도가 각각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폐경전 성인여성의 경우 요추보다는 대퇴부 3부위의 경우 골다공증이나 골감소증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대퇴경부에 있어서 골다공증이나 골감소증의 비율이 가장 높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요추와 대퇴부 3부위의 골밀도는 영양소섭취량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체중, 엉덩이둘레 등의 신체계측요인과 곡류군, 버섯군 및 유지류군 등의 주요 식품군의 식품섭취실태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성인여성에 있어서 골밀도손실을 예방하기 위해 평상시 적절한 체중유지와 아울러 식생활지침에 있어서 주요식품군별로 적절한 섭취식품의 수, 섭취량 및 섭취빈도에 대한 영양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남녀 노년층의 자아존중과 기성복만족에 대한 신체 만족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of Body-Cathexis to Self-Esteem and Satisfaction with Beady-To-Wear of Elderly Men and Women)

  • 황진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1권8호
    • /
    • pp.1417-1426
    • /
    • 1997
  •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층 남성과 여성의 자아존중과 기성복만족에 대한 신체만족도의 관계 및 남녀의 차이점을 알아보는 것이다. 나이 55세 이상의 미국 남부에 거주하는 302명의 남성과 여성에게 설문지가 배부되었고, 50명의 남성과 58명의 여성이 자료분석에 이용되었다. 신체만족도는 신체 5 부위(얼굴, 하체, 신장, 체중, 토르소)로 나뉘어 측정되었고, 자아존중은 Rosenberg의 자아존중 척도가 사용되었으며, 기성복에 대한 만족은 기성복의 맞는 정도와 스타일에 대하여 측정되었다. 그 결과 노년층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있어 자아존중은 신체만족도와 관련이 있었지만 남성보다 여성에게 있어 자아존중은 신체만족도와 더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만족도와 기성복에 대한 만족은 노년층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있어 관련이 있었으나 여성이 남성보다 체중에 대한 만족이 기성복만족과 더 깊은 관련이 있었다.

  • PDF

전역 및 부분 특징 정보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Gesture Recognition using Global and Partial Feature Information)

  • 이용재;이칠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2권8호
    • /
    • pp.759-768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다중 혼합 특징 정보를 저 차원 제스처 심볼로 구성하여 제스처를 인식하는 알고리즘에 대해 기술한다. 기존의 기하학적인 특징 기반 방법이나 외관기반 방법에서는 깔, 다리의 위치나 몸의 형상 정보만을 특징 값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유사한 신체 동작이나 신체 부위의 움직임에 따라 애매한 결과를 나타내었지만 제안한 방법은 신체의 어느 부위가 움직이는지를 나타내는 부분특징정보(partial feature information)와 전체적인 신체의 형상을 표현하는 전역특징정보(global feature information)를 이용함으로써 동작의 구분뿐만 아니라 유사한 동작을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비교적 적은 계산량과 높은 인식률 때문에 감시 시스템이나 지적 인터페이스 시스템 같은 여러 응용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신체인지도 및 신체만족도에 따른 선호스타일과 착용스타일 비교

  • 이경림;박숙현;이영주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5-67
    • /
    • 2003
  • 사람들은 자신이 선호하는 스타일의 의복을 착용하기를 원한다. 하지만 다수의 사람들이 자신의 체형 부위별로 본인이 생각하기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실제로는 선호하는 스타일이 아닌 자신의 체형을 커버하는 디자인의 의복을 착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장류 착용 경험이 많고 사회 활동을 많이 하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신체인지도 및 만족도에 따른 아이템(재킷, 팬츠, 스커트)별 선호스타일과 착용스타일에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가를 살펴보고,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는 요인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중략)

  • PDF

물리치료 중재가 뇌졸중 환자의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on Body Composition in Stroke Patients)

  • 강정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47-54
    • /
    • 2007
  • 뇌졸중의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에 따라 뇌출혈과 뇌경색, 마비부위 그리고 성별을 중심으로 신체조성 변화의 차이를 조사해 뇌졸중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뇌졸중 환자의 발병 원인과 특성에 알맞는 중재를 실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으며, 물리치료를 실시하여 뇌졸중 환자의 체성분 변화를 검증한 결과 물리치료 실시 후 남자 환자 집단과 좌측 부위 마비 환자 집단에서 근육량의 변화를 보여, 뇌졸중 환자의 신체조성의 변화를 위해서는 물리치료를 적용하고, 앞으로의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며, 지속적인 물리치료 재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동작 검출과 피부색 검출을 이용한 손 검출 (Hand Detection Using Motion Detection and Skin Detection)

  • 이상협;손금영;김상민;김현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2호
    • /
    • pp.297-298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손을 보다 효과적으로 인식하기 위해 동작 검출과 피부색 검출을 이용하여 인식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단순히 피부색만을 이용하여 손을 인식하는 경우 피부색과 유사한 색상의 물체나 다른 신체 부위를 인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동작 검출을 이용하여 움직이는 물체만을 손이라고 가정하였다. 이렇게 가정을 하고 피부색 검출과 동작 검출을 이용하여 인식하는 경우 신체부위를 제외하고는 거의 검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인식된 영역마다 뼈대를 찾아 손을 검출한다. 조명이나 주변 환경에 최대한 영향을 적게 받기위해 시스템을 설계하였으며 단순 피부색 검출을 이용한 손 검출보다 좋은 성능을 발휘하며 손가락의 개수와 손 모양, 손 추적까지 응용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