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찬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14초

마쓰리(祭)와 신찬(神饌): 이세신궁과 천황의 제사를 중심으로 (Matsuri and Shinsen : Centering on the Rites of Ise Shrine and Emperor)

  • 박규태
    • 종교문화비평
    • /
    • 제32호
    • /
    • pp.13-54
    • /
    • 2017
  • 12만 개소에 달하는 일본 신사(神社)의 총본산이라 할 만한 미에현 이세시(伊勢市) 소재 이세신궁(伊勢神宮)은 황조신 아마테라스(天照大神)를 모시는 내궁(內宮=황대신궁(皇大神宮)) 과 식물신 도요우케(豊受大神)를 모시는 외궁(外宮=풍수대신궁(豊受大神宮))으로 이루어져 있다. 흔히 천황가의 조상신이라 말해지는 태양의 여신 아마테라스를 제사지내는 신사라는 점에서 역사상 천황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왔다. 일본 신도에서 신에게 바치는 음식물 즉 신찬을 다루는 본 연구는 연간 약 1,500회나 거행되는 상기 이세신궁의 마쓰리 중 매일 조석으로 행해지는 일별조석대어찬제(日別朝夕大御饌祭)를 비롯하여 가장 대표적인 대제(大祭)인 신상제(神嘗祭, 간나메사이), 20년마다 한차례씩 행해지는 식년천궁제(式年遷宮祭),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고대 이래현대에 이르기까지 천황이 집전하는 각종 제사 가운데 가장 중요한 신상제(新嘗祭, 니이나메사이) 및 대상제(大嘗祭, 다이죠사이)를 주요 분석대상으로 삼고 있다. 이때 본고의목적은 기본적으로 신찬의 유형과 주요 특징 및 그 신화적 배경과 역사적 변천과정 등을개략적으로 살펴본 후, 구체적으로 상기 마쓰리에 등장하는 신찬의 품목과 절차 등을 검토하면서 궁극적으로 신찬의 사회적, 종교적, 정치적, 문화적 의미를 규명하는 데에 있다. 가령 신도 신찬의 사회적 의미는 농경사회적 특징, 고대 식생활과의 관계, 일본요리와의연관성, 현대사회에 있어 신찬의 의미 및 그것과 관련된 신불(神佛)관념의 문제등을 중심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신찬은 특히 신성, 생명, 재생의 관념과 밀접하게 결부되어 있다는 점에서 그 종교적 의미를 말할 수 있다. 한편 고대일본에서 정치는신에 대한 제사를 뜻하는 '마쓰리고토'라고 불렸으며, 천황의 최대 역할은 바로 신을 모시는 데에 있었다. 다시 말해 일본에서 정치란 신에게 신찬과 공물을 바치고 그 가호를 기원하는 데에서 시작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신찬이 본래 정치와 밀접하게 연루되어 있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고는 고대 한일간 문화교류의 뚜렷한 흔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신찬의 문화적 의미를 조명하고 있다.

개화기 사범학교 『교육학』 교재 연구 - 기무라 도모지(木村知治)의 『신찬교육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ducation textbook at Normal School in Modern Korea)

  • 한용진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45-63
    • /
    • 2012
  • 본 연구는 근대 개화기 사범학교의 교육과정에 포함된 '교육' 과목에 주목하여, 당시 발간된 최초의 서구식 교육학 교재인 "신찬교육학"의 학문적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성사범학교에서 과목명으로 '교육'이라는 용어가 처음 나타난 것은 "한성사범학교규칙"(1895.7.23)이다. 둘째, 기무라 도모지(木村知治)의 "신찬교육학"은 그 발행일자가 "한성사범학교규칙" 반포와 맞물려 1895년 7월에 간행되었다는 점에서 한성사범학교의 교재로 사용되기 위하여 간행된 것이며, 그는 조선 정부에 고용된 인물로 추정된다. 셋째, "신찬교육학"의 교육학적 성격은 1890년대 중반 이후 헤르바르트 교육학의 교수론에 대한 관심보다는 그 이전의 사조인 스펜서와 페스탈로치 등의 실리적 교육설의 영향을 더 받고 있다고 보여진다. 넷째, 이 책은 서론에서 덕육을 강조하는 삼육론을 주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고종의 교육입국조서와 상통하지만, 덕체지의 순서가 아니라 덕지체의 순서이며, 또한 본론에서는 지덕체의 순서로 기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