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생아 집중치료실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1초

신생아 집중치료실 퇴원아의 청성뇌간반응(ABR) 결과에 미치는 위험인자 및 경과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 results in NICU graduates)

  • 최희정;이태호;오기원;김행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12호
    • /
    • pp.1301-1307
    • /
    • 2006
  • 목 적 : 신생아기의 청력 소실은 그 빈도가 높으며 조기 발견 및 조기 치료가 예후를 결정하는데 중요하다.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했던 신생아들은 일반 신생아에 비해 청력 소실의 빈도가 더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했던 신생아를 대상으로 청력 소실의 발생 빈도와 위험 인자 및 청력 소실의 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2년 7월부터 2005년 6월까지 3년간 경북대학교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환아를 대상으로 ABR 검사를 시행하여 이들의 청력 소실 정도와 이와 관련된 임상 소견을 조사하고 추적 관찰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연구 기간 동안 ABR 검사를 받은 환아는 474명으로 총 입원아의 54.0%였고, 검사를 받은 신생아의 13.5%인 64명이 ABR 검사에 이상 소견을 보였다. 이들 64명의 귀 128례의 청력 소실의 양상은 편측 정상이 37례(28.9%)이고 경증, 중등도, 중증 및 초중증 청력 소실이 각각 43례(33.6%), 36례(28.1%), 2례(1.6%) 및 10례(7.8%)로 중증 이상의 청력 소실 빈도는 9.5%였다. 미숙아, 저출생 체중아 및 극소 저출생 체중아, 신생아 가사, 두부 안면 기형 및 amikacin의 15일 이상 사용이 ABR 비정상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P<0.05). 고빌리루빈혈증 환아에서 최고 빌리루빈 수치, 광선치료의 기간과 교환수혈의 시행 여부 모두 ABR 정상군과 비정상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BR 비정상군 중 15명에서 생후 $8.8{\pm}4.4$개월에 시행한 추적 ABR 검사는 80.0%에서 호전 혹은 정상화되었다. 결 론 :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했던 신생아는 청력 소실의 위험이 높으므로 이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청력 평가와 관리가 필요하다.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퇴원한 정상 체중아와 저출생 체중아의 재입원에 관한 비교 (Comparison of Rehospitalization during the First Year of Life in Normal and Low Birth Weight Infants Discharged from NICU)

  • 민세아;전명원;유선희;이오경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12호
    • /
    • pp.1503-1511
    • /
    • 2002
  • 목 적 : 출생 후 첫 1년은 유병율과 사망율이 높은 시기이고, 특히 저출생 체중아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했던 미숙아나 저출생 체중아에 대한 추적관찰이나 예후에 대한 연구가 많이 되어왔었다. 그러나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환아의 약 반 수정도가 정상 체중아임에도 불구하고 정상 체중아에 대한 추적관찰은 국내뿐 아니라 국외에서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저자들은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서 치료를 받고 퇴원한 정상 체중아와 저출생 체중아의 생후 1년 동안의 재입원율과 재입원 원인을 알아보고 재입원에 영향을 미친 주산기 인자들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년간 전주 예수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치료 후 생존하여 퇴원한 2,500 gm 이하의 저출생 체중아 131명과 2,501 gm 이상인 정상 체중아 302명을 대상으로 입원병력지 및 외래 추적관찰 기록을 검토하였고, 또한 전화를 통하여 정보를 얻었다. 본원 입원 중 다른 병원으로 전원한 경우는 포함하지 않았고 또한 입원 중 사망한 환자도 포함하지 않았다. 저출생 체중아의 경우 다시 1,500 gm 미만군, 1,500-1,999 gm군, 2,000-2,500 gm 군으로 세분하였고, 정상 체중아군과 같이 재입원 빈도와 재입원 원인 질환, 재입원 당시의 연령을 비교하였다. 또한 저출생 체중아와 정상 체중아를 재입원군과 비입원군으로 나누어 아기의 성별, 재태주령, 인공호흡기 치료 유무 및 기간, 뇌실 내 출혈, 패혈증,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의 입원기간, 부당 경량아, 선천성 기형, 산모의 연령과 교육 수준 등 여러 주산기 인자들과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1) 정상 체중아의 21.2%(64/302)가 총 76회의 재입원(1.19회/명)을 하였고, 저출생 체중아는 23.0%(30/131)가 총 37회(1.23회/명)의 재입원을 하였으며, 두 군간의 재입원율이나 재입원 횟수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재입원 원인으로 호흡기계 질환이 저출생 체중아군과 정상 체중아에서 각각 36.0%, 32.1%로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하였으며, 그 외 원인으로 저출생 체중아에서는 위장관계 질환(26.0%), 요로감염(6.0%), 외과적 문제(6.0%), 심장질환(6.0%) 등이 있었고, 정상 체중아에서는 위장관계 질환(26.2%), 요로감염(11.9%), 외과적 문제(10.7%), 심장질환(7.1%), 선천성/발달장애(1.2%) 등의 순이었다. 3) 재입원시의 연령은 저출생 체중아와 정상 체중아 모두 1-3개월 사이에서 가장 많은 빈도(35.1%, 31.6%)를 차지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4) 산모의 연령과 교육 수준은 저출생 체중아와 정상 체중아 모두에서 재입원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P>0.05). 5) NICU에서 퇴원한 생존 환아들에서 재입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주산기 인자들에는 인공호흡기 치료 유무, 6일 이상의 인공호흡기 치료, 선천성 기형의 존재 등이 있었고, 재태 연령, 출생체중, 성별, 출생시 부당 경량아, 뇌실 내 출혈, 패혈증, 신생아 집중 치료실 입원 기간 등은 의미있는 관계가 없었다. 정상 체중아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보였으나 저출생 체중아에서는 재입원과 의의있게 연관된 주산기 인자는 없었다. 결 론 :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생존하여 퇴원한 환아들에서 정상 체중아나 저출생 체중아 모두 생후 1년동안 비슷한 재입원율을 보였으며, 정상 체중아에서는 재입원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인공호흡기 치료 유무, 6일 이상의 인공호흡기 치료, 선천성 기형의 존재 등이 있었으나 저출생 체중아에서는 의의있게 연관된 주산기 인자가 없었다. 따라서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하는 정상 체중아들도 퇴원 후 추적관찰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 태도, 간호활동 (Breastfeeding Knowledge, Attitude, and Nursing Practice of Nurse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 라진숙;채선미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9권2호
    • /
    • pp.76-84
    • /
    • 2013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 태도, 간호활동을 파악하고,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과 모유수유 특성에 따른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간호활동의 차이를 확인하고, 이들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방법 자가보고식 설문조사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서울과 대전, 대구의 총7개 대학병원의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 153명으로 자료수집 하였다. 결과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은 59.3%의 정답율을 나타냈다. 그리고 모유수유에 대한 태도는 5점 척도에서 평점 $3.70{\pm}0.41$으로 다소 긍정적으로 확인되었다. 모유수유 간호활동은 중간정도로, 평점 $3.26{\pm}0.74$이었다. 모유수유 지식은 모유수유 태도(r=.554, p<.001) 및 모유수유 간호활동(r=.203, p=.002)과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모유수유 태도와 간호활동도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243, p=.002).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모유수유 지식과 태도, 간호활동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를 위한 모유수유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지지한다.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 사례를 통해 본 신생아 집중치료실(NICU) 공간 구성 및 면적 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and area planning of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through the case of regional neonatal intensive care centers)

  • 이기환;박서원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30권1호
    • /
    • pp.7-17
    • /
    • 2024
  • Purpose: This study is to present basic data and standards for calculating the space composition and area required when planning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Methods: Review domestic and foreign facility standards and regulations related to the current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select a regional neonatal intensive care center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s a case hospital, and organize a space program for the construction plan of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through analysis of characteristics such as facility size and function composition. Results and Implications: The size, facility area, and detailed room 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in Korea were confirmed, and essential rooms and appropriate areas were derived when planning the construction of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Korea's legal facility standards related to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are lower than the actual hospital status and overseas standards, and the facility standards of the medical law need to be improved.

상급종합병원의 신생아 집중치료실(NICU) 설치 위치 및 기능 배치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Location and Functional Arrangement Characteristics of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NICU) in a Certified Tertiary General Hospital)

  • 이기환;박서원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30권3호
    • /
    • pp.35-44
    • /
    • 202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basic data on installation location, functional connection, and arrangement to be considered when planning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in a certified tertiary general hospital. Method: Review the facility standards rela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such as laws and guidelines, and select a Certified Tertiary General Hospital as a case hospital among the Neonatal Intensive Care Regional Center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o analyze the placement characteristics of major NICU components such as the location of the NICU installation, the connection of movement between adjacent facilities and functions, and the treatment room and accessory room. Results and Implications: NICU is a facility for critically ill babies among newborns and needs to consider more about infection and patient management compared to adult intensive care units, which not only install close to delivery-related facilities to enable immediate action after childbirth, but also divide the treatment room into open rooms and allow access to the attached rooms through dedicated corridors to minimize movement in the treatment room.

신생아의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원에 대한 어머니 경험 (A Mother's Experience of Hospitalization of Her Newborn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최은아;이영은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407-419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describe the meaning and essence of a mother's experience of hospitalization of her newborn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Methods: This study employed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a mother whose newborn was hospitalized in the NICU,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Results: Five main themes and 19 formulated meanings were indentified. The 5 themes were 'drowning in pain', 'just look outside the glass door', 'being a pillar', 'a deepening attachment', and 'prepare for nurturing with hop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 of a mother with a newborn in the NICU. These results can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hat provide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to the mother and family.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를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응급기도 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a Simulation-based Emergency Airway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for Nurses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김민정;김성희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5권4호
    • /
    • pp.518-527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n educational intervention by evaluating neonatal emergency airway management knowledg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nfidence in clinical performance after developing and operating a simulation-based neonatal emergency airway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for nurses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30 nurses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6 to 15, 2018 and analyzed using IBM SPSS version 22.0. Results: The results of the pretest and posttest for each education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neonatal emergency airway management knowledge, critical thinking,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nfidence in clinical performance. Conclusion: The simulation-based neonatal emergency airway management training program was an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 that enhanced neonatal emergency airway management knowledg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nfidence in clinical performance among nurses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program described i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improving nursing quality by enhancing the ability of nurses to cope with emergencies in practice. It can also be used for education for new nurse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nurses' practices.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 입원한 신생아에서 장내 세균에 의한 장관 집락화와 관련된 위험 인자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Gastrointestinal Tract Colonization by Enterobacteriaceae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 김민지;정유진;홍유라;배일권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272-279
    • /
    • 2011
  • 목적: 최근 신생아 집중 치료실(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에 입원한 신생아들의 병원내 감염 중 그람 음성 간균(Gram negative bacilli, GNB)에 의한 패혈증이 증가하고 있다. NICU에서 정기적인 대변의 감시 배양을 통해 GNB에 의한 장관 집락화가 같은 균에 의한 패혈증으로 이행되는 지를 확인하고, 집락화된 GNB 병원균의 종류를 확인하며 집락화에 관여하는 위험인자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7년 10월부터 2008년 5월까지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86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아에게 총 3회의 대변 채집을 계획하였는데, 출생 후 첫 대변과 2주 간격으로 2회 채집을 계획하였다. 장관의 GNB 집락화와 관련된 위험 인자들은 대상 환아들의 의무기록을 열람하거나 연관된 논문의 고찰을 통해 설정하였다. 결과: 86명의 환아 중 22명(25.6%)이 GNB에 의한 장관 집락화가 있었으나 이 환아들을 퇴원까지 추적하였을 때 GNB로 인한 패혈증은 없었다. Pseudomonas aeruginosa, Enterobcter cloacae, Citrobacter freundii가 가장 많이 분리되었다. 분리된 GNB 중 약 89% (32/36)는 amikacin에 감수성이 있었다. GNB 에 의한 장관 집락화의 가능성은 집락화 당시 수유량이 적을 때 증가한 반면, 첫 수유 시기가 지연될 때 그 가능성은 감소하였다. 결론: 저자들은 NICU에 입원한 신생아에서 장관 감시배양을 통해 장관에 집락화된 GNB를 확인하였으나 연구에 포함된 환아에서 GNB에 의한 패혈증이 발생하지 않았으므로 집락화가 패혈증으로 이행되는 지를 확인할 수는 없었다. 집락화시 적은 수유량(feeding volume at colonization day)이 집락화의 위험요인이었으므로 장관 영양의 진행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장관의 GNB 집락화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집단 발생한 Acinetobacter septicemia (Outbreak of Acinetobacter septicemia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김묘징;이혜진;손상희;허재원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5호
    • /
    • pp.494-499
    • /
    • 2006
  • 목 적: Acinetobacter baumannii는 숙주 저항력이 저하된 고위험군에서 주요 원내 감염균으로 잘 알려져 있으나 A. baumannii 이외의 Acinetobacter species의 경우 드물게 감염과 연관된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등 임상적 중요성과 원내 감염원으로써의 역학에 대해 알려진 바가 적다. 저자들은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A. baumannii가 아닌 것으로 확인된 Acinetobacter species에 의해 집단 발생한 패혈증 11례를 경험하였기에 이에 대한 임상적, 역학적 특징을 알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 2004년 2월 4일부터 24일까지 일신기독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감염되었던 환아의 혈액에서 Acinetobacter species가 배양된 11례를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을 조사하였고, 집단 발생의 역학을 조사하기 위해 두 차례에 걸쳐 의료진 및 환경 검체에 대한 배양을 실시하였으며,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통해 환아에서 배양된 균주가 동일 균주인지를 알고자 하였다. 결 과: 임상 양상은 발열, 수유 부진, 복부 팽만, 설사, 혈변, 구토, 빈호흡, 무호흡 등 다양하였으나 다른 원인에 의한 감염증과 비슷하였다. 집중 치료를 요하는 중증 경과를 보인 경우가 없었고 항생제 치료에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며 회복되어 A. baumannii 감염증에서 흔히 보이는 중증의 임상 증상과 높은 사망률(11-57%)과 비교하여 경한 경과를 보였다. 도관 관련 균혈증 2례, 도관 관련 균혈증 의증 9례로 말초 정맥 도관이 중요 유발 인자로 고려되었다. 감염의 역학을 알고자 두 차례에 걸쳐 의료진의 손과 환경 검체에 대한 배양 검사를 실시하였으나 동일 균주를 분리하는데는 실패하였다. 결 론: 우리의 연구를 통해 A. baumannii 이외의 Acinetobacter species의 경우 상대적으로 비병원성으로 여겨졌으나 임상 증상이 동반되면서 환자에서 배양되면 감염의 원인균임을 알 수 있었다.

미숙아에서 수혈 후 백혈구수의 변화 (The Change of White Blood Cell Count Following Transfusion in Preterm Neonates)

  • 윤수영;이금주;정귀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3호
    • /
    • pp.325-330
    • /
    • 2002
  • 목 적 :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치료 중인 미숙아에서 적혈구 수혈 후의 백혈구수의 변화를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 정도가 신생아 감염을 의미할 만한 정도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년 1개월간 본원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서 농축 적혈구를 수혈 받은 환아 33명(총 수혈횟수 48회)을 대상으로 수혈 전후의 백혈구수, 호중구수, 대호중구수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적혈구 수혈 후 최초 8시간(제 1기)에 백혈구와 호중구가 각각 평균값이 $1.33{\times}10^3/mm^3$(P=0.03), $0.55{\times}10^3/mm^3$(P=0.05 )증가하였으나, 수혈 후 17-24시간(제 3기)에는 수혈 전과 큰 차이가 없었다. 대호중구수는 모든 대상 환아에서 수혈 전후에 큰 변화가 없었다. 결 론 : 적혈구 수혈 후 일시적으로 호중구 상승에 의한 백혈구 상승이 나타나지만, 24시간경에는 수혈전 수치에 가까워지고, 초기의 그 상승 정도가 크지 않아 신생아 감염으로 혼동되지는 않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