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신경활성

Search Result 714, Processing Time 0.04 seconds

Sintering Process and it's Applications of Electric-stone Tourmaline (Tourmaline 전기석의 소결특성과 응용)

  • 소대화;전용우;박정철;장동훈;김정회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3.05a
    • /
    • pp.778-781
    • /
    • 2003
  • 투어멀린(Tourmaline)은 비대칭 쌍극자를 가진 유극성 결정체로 광물 중에서 영구적으로 전기분극의 특성을 띄고 있는 유일한 물질로써 일명 "전기석"이라고 알려져 있고, 자체의 미약전류(약 0,06mA)와 함께 음이온 및 원적외선의 발생으로 최근 들어 우리 주변에서 건강과 환경을 위한 관심고조의 대상인 육방정계의 압전성 및 초전성을 띄는 붕규산염(주요성분: Mg, Fe, B, Si, Ca)으로, 원석(면역지수 ~1000)에 비해 수백 배의 효력이 있는 투어말린 세라믹(면역지수 ~418,000)을 비롯하여 이것을 이용한 새로운 아이디어 신상품들이 계속 개발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물분자를 만나면 수소(H$^{+}$)와 수산기(OH$^{-}$)로 전기분해하여 친수기와 소수기 부분으로 구분하며, H$^{+}$와 OH$^{-}$는 각각 $H_2O$와 결합하여 활성이 강한 hydronium ion(H$_3$O$^{+}$ 과 계면활성 작용이 있는 hydroxyl ion(H$_3$O$_2$$^{-}$)을 생성하며, 물속에서 계속 불안정한 상태로 존재하는 수산기는 hydroxyl (-)ion을 형성하여 약 알카리성(pH~7.4)을 띄고 물의 클러스터 세분화와 미네랄을 공급해 줌으로 체내에 들어오면 살균, 항균능력이 있는 면역기능을 갖게 되며, 혈액을 정화하고 자율신경을 자극하여 교감신경의 흥분을 억제한. 이와 함께 전기분극을 띈 투어멀린 입자는 다른 물질에 비하여 경이적 수치의 원적외선을 발생하여 강력한 열 효과와 높은 침투력으로 인체의 혈액순환 촉진과 혈전용해 작용으로 건강과 활력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어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따라서 유익한 이용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투어멀린을 유용한 타 물질과 혼합물을 구성하여 성형 또는 EPD 전착하여 소결한 뒤, 소결체의 특성을 분석하여 그 응용성을 개발, 확보하였다.

  • PDF

Study on the Change of Catecholamine, Arginine Vasopressin and V1 Vasopressin Receptor Release in the Stressed Rat Brain

  • Kim, Tae-Gyun;Kim, Jee-Hee;Kim, Seung-Hee;Kang, Seog-Youn;Ki, Kyung-Chung;Huh, Young-Buhm;Lee, Song-De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7.04a
    • /
    • pp.85-85
    • /
    • 1997
  • 스트레스가 유발된 랫드의 대뇌에서 Vasopressin-catecholamine pathway의 활성도를 알아보기 위해 면역화학염색법으로 vasopressin 호르몬의 분비와 catecholamine의 생성변화를 tyrosine hydroxylase (TH) 효소의 발현변화로 규명하고, arginine vasopressin (AVP)과 V1 vasopressin receptor의 유전자 발현변화를 in situ hybridization 방법을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수컷 SD rat를 7시간동안 stress cage에 넣어 16$\pm$1$^{\circ}C$의 물에 수침구속 스트레스를 준 후 대조군과 함께 관류고정하여 brain을 적출하였다. Brain의 hypothalamus 부위를 중심으로하여 동결절편하여 면역조직화학 염색과 in situ hybridization을 시행하였다. TH 면역조직화학 염색에서 대뇌의 줄무늬체 부위의 꼬리조가비핵에서와 시상하부 부위의 내측등쪽시상하부와 흑색질부위에서 스트레스군이 대조군에 비해 TH 면역염색성이 증가되어 관찰되었으나 시상하부 부위의 시삭위핵, 뇌실주위핵, 뇌실옆핵에서는 두 군간의 큰 면역염색성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AVP 면역조직화학 염색에서는 시삭위핵에 많은 수의 AVP 양성 신경세포체들이 밀집되어 있으며 뇌실옆핵에서는 스트레스군에서 AVP 면역염색성이 약간 증가되어 관찰되었으나 신경섬유의 분포양상은 비슷하였다. 중간융기에서는 모두 강한 염색성의 신경섬유들이 관찰되어 두 군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AVP 유전자에 대한 in situ hybridization 결과 시삭위핵의 신경세포에서 AVP mRNA 양성반응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다른 시상하부핵에서는 관찰할 수 없었으며, V1 vasopressin receptor에 대한 in situ hybridization 결과는 두 군의 대뇌에서 모두 양성반응을 관찰할 수 없었으며 V1 vasopressin receptor 유전자의 조직별 발현정도와 스트레스에 의한 발현량 조절을 관찰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 PDF

(Searching Effective Network Parameters to Construct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for Object Detection) (물체 검출 컨벌루션 신경망 설계를 위한 효과적인 네트워크 파라미터 추출)

  • Kim, Nuri;Lee, Donghoon;Oh, Songhwai
    • Journal of KIISE
    • /
    • v.44 no.7
    • /
    • pp.668-673
    • /
    • 2017
  • Deep neural networks have shown remarkable performance in various fields of pattern recognition such as voice recognition, image recognition and object detection. However, underlying mechanisms of the network have not been fully revealed. In this paper, we focused on empirical analysis of the network parameters. The Faster R-CNN(region-bas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was used as a baseline network of our work and three important parameters were analyzed: the dropout ratio which prevents the overfitting of the neural network, the size of the anchor boxes and the activation function. We also compared the performance of dropout and batch normalization. The network performed favorably when the dropout ratio was 0.3 and the size of the anchor box had not shown notable relation to the performance of the network. The result showed that batch normalization can't entirely substitute the dropout method. The used leaky ReLU(rectified linear unit) with a negative domain slope of 0.02 showed comparably good performance.

Antioxidant effect of Aspalatone on KA-induced neurodegeneration in rat. (카인산 유발 신경세포 변성 모델에 대한 Aspalatone의 항산화 작용.)

  • Kim, Jin;Nam, Sung-Won;Gu, Chang-Hwi;Kim, Hyung-C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5.04a
    • /
    • pp.95-95
    • /
    • 1995
  • 뇌신경 변성 / 퇴행과 관련된 중요한 병인론 중의 하나는 변성 과정에서 형성된 유리기(free radical)로 인한 항산화계의 평형 소실로 알려져 있다. Aspalatone (APT)의 예상되는 항산화 효능을 검정하기 위하여 본 실험에서는 Kainic acid (KA) 유발 뇌변성 모델을 적용하였다. KA 모델은 변연계의 간질성 경련과 신경세포 변성에 대하여 재현성 있는 병변 모델을 제공해 주며, 이와 같은 신경세포의 병독 기전에 산소 유리기가 관여함이 강력히 시사되고 있기 때문이다. KA 투여로 인하여 지속적이고도 전형적인 간질성 경련이 관찰되고 1일 이내에 높은 치사율을 보였으나 APT으로 인하여 그 간질성 경련 행위와 비율이 억제되고 KA 유발 치사율도 억제되었다. 최종 KA 투여 3일 후에 얻어진 흰쥐 해마 및 대뇌 피질에서 항산화 효소인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Cat.),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및 과산화지질의 지표인 Malondialdehyde (MDA)를 검정하였다. 대조군에 비하여 KA는 뇌조직의 SOD-1을 유도하였으나, Cat.와 GSH-PX의 활성은 현저히 유도되지 않았고, 반면에 MDA 치는 현저히 증가하였다. 즉, Cat., GSH-PX와 같은 $H_2O$$_2$중화제가 동반 유도하지 않는 SOD의 유도는 세포내 축적되는 $H_2O$$_2$로 인하여 Fenton/Haber-Weiss 반응을 가속화하여 과산화지질화를 촉진함을 시사한다. APT 병용 투여로 SOD는 현저히 유도되지 않았으나 특히 Cat.가 현저히 유도되어지고 MDA는 억제되었다. 이와 같은 생화학적인 결과는 다음의 형태학적인 소견과 일치한다. Fos 관련 항원 (FRA)와 SOD-1을 면역세포화학 (Immunocytochemistry)적 방법으로 이중 표식 (double-labelling) 하였다. FRA는 KA로 인한 신경세포의 자극에 대한 지표로 응용하였고, SOD-1은 퇴행성 뇌질환에서 산화적 손상의 지표로 사용하였다. KA 투여로 해마의 dentate gyrus (DG) 내에 강한 면역환성 (immunoreactivity)이 나타났고 pyramidal cell layer (PCL)와 glia에 SOD-1이 강하게 염색되었다. APT 병용 투여로 상당수의 경련이 일어나지 않은 흰쥐는 해마의 DG에 FRA가 경미하게 염색되었고, PCL에 SOD-1도 경미하게 나타났으나, 경련이 나타난 쥐에서는 KA만을 투여한 흰쥐와 구별되지 않았다. 이상의 APT의 항산화 효과는 KA로 인한 뇌세포 변성 개선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할 것으로 사료되나, 보다 명확한 APT의 기전을 검색하고 직접 임상에 응응하기 위하여는 보다 다양한 실험 조건이 보완되어야 찰 것으로 생각된다.

  • PDF

Expression of Calponin 3 in the Striatum Following 3-Nitropropionic Acid-induced Neurotoxicity (선조체에서 3-nitropropionic acid 투여 후 calponin 3의 발현 연구)

  • Choi, Yun-Sik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3 no.1
    • /
    • pp.125-130
    • /
    • 2013
  • Calponin 3 is an F-actin-binding protein and plays a key role in regulating spine plasticity and synaptic activity in neurons. Unlike the other subtypes, calponin 1 and 2, which are expressed in smooth and cardiac muscle cells, calponin 3 is highly expressed in the brain.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spatiotemporal expression pattern of calponin 3 following repeated administration of 3-nitropropionic acid in mice. The repeated administration of 3-nitropropionic acid generated necrotic neuronal cell death in the striatum. Calponin 3 was up-regulated in the neuroprotective penimbral region from 1.5 days after the last injection and thereafter. Double immunofluorescence study revealed that calponin 3 was induced in GFAP-positive astrocy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lponin 3 induction in the neuroprotective penumbral area following 3-nitropropionic acid intoxication may play a key role in reactive astrogliosis in the striatum.

Protective Effect of Neuronal Cell on Glutamate-induced Oxidative Stress from Viola mandshurica Extracts (Glutamate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제비꽃 추출물의 영향)

  • Lee, Mi-Ra;Han, Chang-Suk;Han, Dong-Youl;Park, Eun-Ju;Lee, Seung-Cheol;Park, Hae-Ryong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51 no.1
    • /
    • pp.79-83
    • /
    • 2008
  • The present study describes glutamate which is known as excitatory neurotransmitter is related with oxidative damages and the Viola mandshurica extracts. Showed protective effects against glutamate-induced cytotoxicity. The protective effect of antioxidant on the glutamate treated N18-RE-I05 cells was determined by a MTT reduction assay.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methanol, ethanol, and acetone extracts from V. mandshurica against glutamate-induced cytotoxicity was assessed by the results of an MTT reduction assay. Among the three extracts, the acetone extract showed the highest protective effect by the results of an lactate dehydrogenase release assay.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V. mandshurica extracts could be a new potential candidate against glutamate-induced oxidative stress.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y and Marker Compounds in Eucommiae Cortex Samples from Regional Groups (지역별 두중(杜仲)의 지표성분 및 항산화 활성 비교)

  • Yu, Ok Cheol;Choi, Sung Ryul;Joo, Hwan Soo;Han, Chang;Moon, Hye Yeon;Jung, Hwa Jin;Jung, Chan Hun
    •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 /
    • v.33 no.6
    • /
    • pp.29-34
    • /
    • 2018
  • Objectives : It is necessary to manage herbal medicines based on effectiveness by comparing the efficacy of herbal medicines by region. In this study, we compared anti-oxidative activity and marker compounds of Eucommiae Cortex by regional groups. Methods : Eucommiae Cortex grown and harvested in Gangjin, Sancheong, Yeongwol, Jangsu, and Jecheon were used. Eucommiae Cortex was extracted in distilled water at $100^{\circ}C$ for 3 hours, and filtered. filtered. Extract samples were freeze-dried at $-80^{\circ}C$.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y in Eucommiae Cortex samples from regional groups was measured in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between regional groups of Eucommiae Cortex. In addition,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are pinoresinol diglucoside concentration by regional groups. Results : HPLC analysis found that pinoresinol diglucoside concentration, widely known as the marker compound of Eucommiae Cortex, was the highest in Gangwon Yeongwo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nti-oxidative activity of Eucommiae Cortex between regional groups as discovered in DPPH, ABTS and FRAP assays.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was the highest in Jeonbuk Jangsu.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was the highest in Jeonbuk Jangsu and Chungbuck Jecheon. FRAP was the highest in Jeonbuk Jangsu. Conclusions : Although pinoresinol diglucoside concentration was high, anti-oxidative activity was not proportionately high. Pinoresinol diglucoside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in Gangwon Yeongwol. Anti-oxidative activity was the highest in Jeonbuk Jangsu.

Effects of electromagnetic stimulation on neurogenesis and neuronal proliferation in rat hippocampal slice culture (실험 쥐 해마조직배양에서 전자기 자극이 신경조직발생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

  • Kim, Deok-Soo;Choi, Eung Sang;Chae, Soo Ah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49 no.5
    • /
    • pp.558-564
    • /
    • 2006
  • Purpose : Transcranial electromagnetic stimulation(TMS) is a noninvasive method which stimulates the central nervous system through pulsed magnetic fields without direct effect on the neurons. Although the neurobiologic mechanisms of magnetic stimulation are unknown, the effects on the brain are variable according to the diverse stimulation protocols. This study aims to observe the effect of the magnetic stimulation with two different stimulation methods on the cultured hippocampal slices. Methods : We obtained brains from 8-days-old Spague-Dawley rats and dissected the hippocampal tissue under the microscope. Then we chopped the tissue into 450 µm thickness slices and cultured the hippocampal tissue by Stoppini's method. We divided the inserts, which contained five healthy cultured hippocampal slices respectively, into magnetic stimulation groups and a control group. To compare the different effect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magnetic stimulation, stimulation was done every three days from five days in vitro at 0.67 Hz in the low stimulation group and at 50 Hz in the high stimulation group. After N-methyl-D-aspartate exposure to the hippocampal slices at 14 days in vitro, magnetic stimulation was done every three days in one and was not done in another group. To evaluate the neuronal activity after magnetic stimulation, the $NeuN/{\beta}$-actin ratio was calculated after western blotting in each group. Results : The expression of NeuN in the magnetic stimulation group was strong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especially in the high frequency stimulation group. After N-methyl-D-aspartate exposure to hippocampal slices, the expression of NeuN in the magnetic stimulation group was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whereas the expression in the magnetic non-stimulation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 We suggest that magnetic stimulation increases the neuronal activity in cultured hippocamal slices, in proportion to the stimulating frequency, and has a neuroprotective effect on neuronal damage.

Immunoregulatory Mechanism of Polysaccharides from Natural Plant Resources (신기술 신소재/해외기술 - 천연소재 유래 다당체의 면역조절 기작)

  • Cho, Chang-Won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26 no.3
    • /
    • pp.178-187
    • /
    • 2013
  • 분자단계에서 천연소재 유래 다당체는 면역 세포 표면(예, 대식세포)에 있는 한가지 또는 여러가지 수용체(${\beta}$-glucan 수용체, mannose 수용체, complement 수용체 3, Toll-like 수용체, scavenger 수용체)와 면역 반응을 시작하기 위하여 결합할 수 있고, 그 후에 신호전달을 위하여 cytokine과 second messenger($Ca^{2+}$, cAMP, cGMP, NO 등등)들을 생성한다. 그 결과로 선천면역과 적응면역을 유도하여 다양한 질환에 영향을 미친다. 추가적으로 다당체들의 면역조절은 신경내분비 체계의 조절과도 연관되어 있다. 최근 수많은 천연소재유래 다당체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다양한 연구를 통해 정확한 약효, 낮은 독성과 부작용을 가진 일단의 다당체가 발견되어 현재 임상에서 암 치료에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사실들은 면역증진 다당체들이 항 종양치료를 위한 새로운 치료제로서 큰 시장을 개척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현재 다당체에 대한 연구는 다음과 같은 취약점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다당체의 생리활성에 대한 정해진 비교기준이 없다. 특별히 임상 환경에서는 이러한 연구들이 중국, 일본, 한국과 일부 다른 동양국가들에 국한되어 있어 유럽이나 미국에서의 연구 자료가 결여되어있다. 둘째 현재 연구에 사용되고 있는 대다수의 천연소재 유래 다당체는 순수한 다당체가 아닌 천연 그대로의 것을 사용하고 있어 소재로부터 유래하는 다른 활성성분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을 수 있어 순수 다당체가 면역체계에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지 진단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셋째 면역조절 경로에서 다당체의 정확한 신호전달 경로가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고, 또한 동물과 임상실험에서 다당체가 작용하는 수용체 및 신호전달 경로에 대한 상반되는 결과가 발표되고 있기도 하다. 따라서 다당체의 면역조절활성에 대한 연구에 있어 다음과 같은 점들에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첫째 다당체의 구조와 활성간의 상관관계를 밝혀야 할 것이다. 특히 다당체의 세부 구조 및 활성 부위를 밝혀낸다면 분자수준의 면역조절 기작을 명확히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면 다당체의 구조를 변형시켜 활성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며, 또한 활성이 증가된 다당체를 합성하는 일도 가능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beta}$-glucan과 lentinan과 같은 정제된 다당체의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효과적인 동물실험 및 임상실험 protocol을 확보하고 연구결과들에 대한 database를 구축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노력들이 성공적으로 수행된다면 천연소재유래 다당체들이 가까운 장래에 암 치료를 포함한 다양한 질병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면역조절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Properties of Compressive Strength of Mortar Based on High-activated Blast Furnace Slag using the Slag by-product as an Activator (슬래그부산물을 자극제로 활용한 고활성 고로슬래그 미분말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발현 특성)

  • Lee, Bo-Kyeong;Kim, Gyu-Yong;Koo, Kyung-Mo;Shin, Kyoung-Su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4 no.1
    • /
    • pp.37-44
    • /
    • 2014
  • Recently, many efforts related to the utilization of industrial by-products have been made to reduce carbon dioxide emission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Of these various efforts, concrete incorporating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BFS) provides many advantages compared to conventional concrete, such as high long-term compressive strength, improved durability and economic benefits because of its latent hydraulic property, and low compressive strength at early curing ag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ompressive strength of high-activated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blended mortar with slag by-product S type(SBP-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revealed that incorporating high-activated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would affect the compressive strength of mortar. It was found that increasing the Blaine fineness and replacement ratio of slag by-product S type shows high compressive strength of mortar at early curing age because of its high $SiO_2$ and CaO contents in the slag. It is confirmed that an increase of curing age does not affect the compressive strength of mortar made with slag by-product S type at a high curing temperature. Moreover, it is possible to develop and design concrete manufactured with high-activated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as binder considering the acceleration curing conditions and mix propor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