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경작용제

검색결과 190건 처리시간 0.019초

KHI-6의 일반적 특징과 해독 효과 고찰

  • 이미숙
    • 국방과기술
    • /
    • 2호통권264호
    • /
    • pp.43-53
    • /
    • 2001
  • 우리 군도 2000년 6월 전략화 심의를 통과한 후, 2006년부터 도입될 신형 해독제 주사기인 KHI-6에 대한 개발을 업체가 추진하고 있다. 이 HI-6 과련 해독제는 기존 PAM 관련 KMARK-1 보다 Soman 신경 작용제에 해독 능력이 증강되고, LD50 수치가 높고(자체 독성이 낮음을 의미), 이원화 자동 주사기로써 간편성을 더한다고 한다. 이에 우리도 신형 해독제 주사기에 대한 기본 구조와 해독 효과, 장점과 단점, 도입에 관련된 사전 지식, 외국군의 운용 실태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 PDF

삼차신경 일차구심 뉴런의 전압의존성 이온통로에 대한 capsaicin과 eugenol의 작용 (EFFECT OF EUGENOL AND CAPSAICIN ON THE VOLTAGE-DEPENDENT ION CHANNELS OF TRIGEMINAL AFFERENTS)

  • 김주연;박상진;최기운;최호영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5권3호
    • /
    • pp.407-420
    • /
    • 2000
  • 삼차신경절의 뉴런이 구강악안면영역에서의 촉각, 입각, 온도각 및 통각 등 다양한 감각을 중추신경계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신경전달에 있어서 이온통로는 감각정보를 전달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특히 소디움 통로는 활동전위의 발생에 중요하다. 소디움 통로는 tetrodotoxin-sensitive(TTX-s) 및 tetrodotoxin-resistant(TTX-r) 통로로 나누어지는 데 이 중 TTX-r 통로에 발생되는 tetrodotoxin-resistant sodium current(TTX-r $I_{Na}$)는 capsaicin에 민감한 일차구심신경세포에서 유해자극에 의해 통각신호를 발생시키고 전달하는데 중요하다. 또한 칼슘 통로는 시냅스 전도에 있어서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한편 치과영역에서 치수의 진정 목적으로 eugenol이 흔히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eugenol의 그 작용 기전에 대해서 현재까지 이온 통로에 대한 상세한 결과가 없는 실정이며 최근의 보고에 의하면 eugenol이 capsaicin 수용기를 통하여 감각신경에 대한 억제작용을 나타낸다고 한다. 따라서 본 실험은 eugenol과 capsaicin이 흰쥐의 삼차신경절의 TTX-r $I_{Na}$와 칼슘통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eugenol이 capsaicin 수용기를 통하여 작용하는지를 검증하고자 시행되었다. 삼차신경절 뉴런은 100~150g의 흰쥐의 삼차신경절로부터 외과적으로 절제하여 통법의 화학적 및 기계적 처리를 통해 단일세포로 분리하였고 이를 whole-cell patch clamp 방법을 이용하여 시행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1mM의 dugenol은 흰쥐 삼차신경절 뉴런의 TTX-r $I_{Na}$와 HVA $I_{Ca}$를 억제하였다. 2. $1{\mu}m$의 capsaicin은 흰쥐 삼차신경절 뉴런의 TTX-r $I_{Na}$와 HVA $I_{Ca}$를 억제하였다. 3. Capsazepine은 capsaicin의 HVA $I_{Ca}$에 대한 억제작용을 차단하였다. 4. Capsazepine은 capsaicin의 HVA $I_{Ca}$에 대한 억제작용을 차단하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eugenol과 capsaicin은 tetrodotoxin-resistant sodium current(TTX-r $I_{Na}$)와 high voltage-activated calcium current(HVA $I_{Ca}$)를 모두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작용이 통각의 발생과 시냅스 전달과정을 차단하여 치수 진정 목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eugenol의 작용기전으로 판단된다. 한편 capsaicin의 길항제인 capsazepine을 전처치하였을 때에도 eugenol의 HVA $I_{Ca}$에 대한 억제효과는 변화가 없었다. 이와같은 결과로 보아 HVA $I_{Ca}$에 관한 한 eugenol은 capsaicin 수용기를 통하여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서 Amantadine의 치료적 효과 : 2증례 및 고찰 (Therapeutic Effect of Amantadine in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 Two Cases and Review)

  • 정한용;이소영;김양래
    • 생물정신의학
    • /
    • 제8권1호
    • /
    • pp.156-161
    • /
    • 2001
  • 두부 외상을 받은 환자는 여러 가지 다양한 병태생리학적인 과정을 통해 뇌손상을 받으며 이로 인해 다양한 신경정신과적인 장애를 나타낸다. 두부외상을 받은 두 명의 환자에서 이에 대한 약물학적인 접근으로 amantadine을 사용하였고 증세의 호전을 경험하였다. 이에 대한 이론적인 근거로는 amantadine은 전연접(presynaptic)과 후연접(postsynaptic)에서 도파민 신경전달(dopamine neurotransmission)을 증진시켜 인지기능과 전두엽 기능장애에서 발생되는 특징적인 정신 행동학적인 증상을 호전시키고, NMDA 수용체 길항제(NMDA receptor antagonist)로 작용하여 흥분성 독성물질(excitotoxic substrate)에 의한 이차적인 신경손상을 차단하는 신경보호제(neuroprotective agent)로 작용한다. 이와 같이 amantadine은 급성과 만성 외상성 뇌손상 환자 모두에서 나타나는 인지, 기분과 행동장애의 치료에 효과적이고 안전하며 비싸지 않은 가격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이 영역에서 더욱 많은 대조군 연구가 필요하고, 나아가서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 호전을 위한 약물학적인 개입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가려움증의 신경전달 경로 (The Neurotransmitter Pathway of Itching)

  • 조정원;김지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600-610
    • /
    • 2017
  • 가려움증의 분류는 수용체성 가려움증(Pruritoceptive itch), 신경병증 가려움증(Neuropathic itch), 신경성 가려움증(Neurogenic itch), 심인성 가려움증(Psychogenic itch)의 신경생리학적 기전에 따른 4가지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최근 임상적인 기준을 통해 분류하기도 한다. 가려움증의 신경전달 경로는 히스타민-의존 경로와 히스타민-비의존 경로 2가지로 나뉘며 각 가려움증 매개체마다 서로 다른 수용체와 신경펩티드가 작용한다. 히스타민, BAM8-22, chloroquine 등의 가려움증 매개체는 히스타민-의존 경로를 통해 신호가 전달되며 cowhage spicule, 단백분해효소(protease), TSLP (Thymic stromal lymphopoietin) 등의 매개체가 히스타민-비의존 경로와 관련있다는 보고가 있다. 이러한 가려움증 매개체, 수용체, 신경펩티드는 가려움증 치료의 대상이 된다. 가려움증과 통증은 대표적인 유해자극으로서 과거에는 두 감각이 하나의 유해자극수용체를 통해 전달된다는 주장이 있었지만 최근 밝혀진 바에 따르면 가려움증과 통증은 독립적인 신경전달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두 신경체계는 서로 억제작용을 한다. 가려움증 뉴런의 선택적 소집단이 존재한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연구들이 이 주장에 무게를 싣고 있다. 또한 가려움증과 통증의 상호 길항작용에 대해서도 다양한 기전으로 설명되고 있다. 최근에도 새롭게 연구되는 매개체와 수용체들이 많은 연구들을 통해 밝혀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히스타민 4 수용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이는 T 세포 같은 면역세포 자체에 발현되어 있어 이 H4 수용체를 차단하는 치료제는 말초의 매개체를 차단하는 기존의 히스타민 수용체 차단제와는 달리 가려움증 만성화에 중요한 염증 반응 자체를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유용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가려움증의 기본적인 발생 기전에 대한 이해와 새로운 가려움증 매개체에 대한 연구는 효과적인 치료법의 개발로 이어질 것이며 이것이 가려움증 연구가 나아갈 바로 생각한다.

이달의 과학자 - 한림대 의대 약리학교실 '서홍원'교수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32권8호통권363호
    • /
    • pp.28-29
    • /
    • 1999
  • 한림대 의대 약리학교실 서홍원교수는 마약성분이 없고 부작용도 적은 강력한 진통제 개발에 땀을 흘리고 있다. 신경약리 및 신경과학 분야가 주 전공인 서교수는 마약과 같은 성분으로 우리 몸 안에서 통증을 없애주는 엔도르핀의 진통작용과 엔도르핀을 생성시키는 Opioid peptide유전자 발현 조절기전에 대한 연구를 발표하여 학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마약성 성분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강력한 진통제의 탄생을 기대한다.

  • PDF

반회신경 문합과 후윤상피열근 절제가 발성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IES ON THE EFFECT OF RLN ANASTOMOSIS REMOVAL ON PHONATION)

  • 김영모;이영구;이정식;이준열;김광문;김기령;홍원표;최홍식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1년도 제25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1-12
    • /
    • 1991
  • 편측 성대마비의 음성개선을 위하여 현재까지 알려진 치료방법은 teflon 또는 silicone 주입술, 외과적 성대 내전술, 갑상연골 성형술, 신경재식술, 등이 있으며, 근래까지는 Teflon 또는 Gelform 주입술이 제일 효과적인 방법이라 알려져 있으나, 이는 음의 높낮이 조절능력의 한계가 있고, 신경재식술의 결과 역시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저자는 발성기능의 생리학적인 측면에서, 보다 효과적인 음성개선의 방법을 찾기 위하여, 사람의 후두와 비교적 유사한 특성을 가진 개를 사용하여 실험을 하였다. 반회신경을 절단하여 편측 성대 마비를 유발한 뒤, 동측의 유일한 외전근인 후윤상피열근을 절제후 절단된 신경을 문합하여, 성대의 외전근 작용의 소실과, 발성시에 주로 작용하는 내전근만의 작용을 유도하여, 공동운동의 차단과, 내전운동의 향상을 기대하였다. 본 실험에 앞서, 임의적으로 신경을 자극시킬 수 있는 신경자극기와, 주위조직으로부터 신경만을 분리하여 자극할 수 있는 전극을 개발하여 사용하였으며, 또한 성대의 발성음을 임의대로 유발시킬 수 있는 생체 내 후두발성 모형(in vivo laryngeal phonation model)을 Moore(1987, 1988)등이 발표한 모형을 토대로 자체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은 13마리의 개를, 반회신경 절단군(3 마리), 반회신경 절단 및 후윤상피 열근 절제군(3 마리), 후윤상피열근 절제군(3 마리), 반회신경 문합 및 후윤상피 열근 절제군(4 마리)등으로 나누어 실험하였으며, 3 개월 후, 현수후두경, 후두 내시경, videolaryngoscopy, 신경자극 검사 등으로 성대의 내전운동 및 위치 변화의 관찰, 발성음의 음향분석 및 갑상피열근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반회신경 절단군과 반회 신경 절단 및 후윤상피열근 절제군은, 수술후 3 개월에 성대의 움직임이나 각도의 변화가 없었으며, 음향분석 결과 발성음이 아닌 잡음만이 포착되었다. 즉, 절단된 신경의 문합 없이 후윤상피열근 절제 만으로는 음성개선은 기대할 수 없었다. 2. 후윤상피열근 절제군에서는 수술 후 3 개월에 정상적인 성대의 내전운동이 관찰되었으며, 음향분석상 기본주파수 동요율 및 발성음의 강도는 약간의 증가를 보였다. 즉, 반회신경이 절단되지 않은 상태에서 후윤상피 열근 만을 절제하면, 발성음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3. 반회신경을 절단후 문합하고 후윤상피열근을 절제한군 에서는 수술후 3 개월에, 성대의 정상적인 내전운동을 보였고, 음향분석상 수술직후에는 잡음만이 포착되었으나, 3 개월 후에는 잡음이 아닌 발성음을 들을 수 있었으며, 이 발성음의 기본주파수 및 강도는 수술전보다 감소되어 있었으나, 기본주파수 동요율은 증가되어 있었다. 즉 이 술식으로 인한 뚜렷한 발성음의 향상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편측 신경 절단으로 인한 성대마비시, 절단된 신경을 봉합하고 성대의 유일한 외전근인 후윤상피열근을 절제하면, 공동운동의 차단과, 내향운동의 향상으로, 음성개선에 효과적이라고 사료되었으며, 이 방법이 편측 성대마비 환자의 효과적인 음성개선의 치료방법의 하나로 응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Histamine, 5-Hydroxytryptamine 및 이들 길항물질(拮抗物質)이 흰쥐의 자궁근(子宮筋) 운동성(運動性)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istamine, 5-Hydroxytryptamine and Their Antagonists on the Uterine Motility in the Rat)

  • 유규연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7-22
    • /
    • 1988
  • 평골근(平滑筋)으로 된 자궁근(子宮筋)은 자동성(自動性)을 가지고 있어서 신경지배(神徑支配)와 관계(關係)없이 근자체(筋自體)로 운동(運動)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자궁근(子宮筋)의 형태적(形態的) 및 기능적(機能的) 정상상태유지(正常狀態維持)에는 estrogen의 작용(作用)이 불가결(不可缺)한 요소(要素)로 되어 있으며 이 estrogen의 작용(作用)에 의하여 histamine의 자궁근(子宮筋)에 대한 (작용)作用이 수용체(受容體)의 어떤 기전에 의한 것인지를 알기 위하여 본(本) 연구(硏究)는 histamine과 5-hydroxytryptamine 및 이들 길항물질(拮抗物質)들의 자궁근(子宮筋) 운동성(運動性)에 대한 수축(收縮) 및 이완작용(弛緩作用)을 조사(調査)하였다. 자궁근(子宮筋)의 운동성(運動性)은 physiograph를 통(通)해 자궁수축(子宮收縮)의 빈도(頻度)와 크기를 기록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5-hydroxytryptamine에 대한 phenoxybenzamine의 억제작용(抑制作用)은 phenoxybenzamine의 길항성(拮抗性)의 결과(結果)이다. 2. histamine은 $H_1$-receptor를 통해서 흰쥐의 자궁평활근(子宮平滑筋)의 운동성(運動性)은 증가(增加)한다. 3. 반면 histamine은 $H_2$-receptor를 통해서는 자궁평활근(子宮平滑筋)의 운동성(運動性)을 이완(弛緩)시켰다. 4. 흰쥐의 자궁근(子官筋)에서 $H_2$-receptor 차단제(遮斷劑)가 $H_1$-receptor 차단제(遮斷劑)의 작용(作用)보다 더욱 강하였다.

  • PDF

건강가이드: 어는 날 갑자기 찾아오는 우울감 중년의 불청객 갱년기

  • 김선주
    • 월간당뇨
    • /
    • 통권257호
    • /
    • pp.68-69
    • /
    • 2011
  • 인체가 성숙기에서 노년기로 접어드는 시기에 찾아오는 두 번째 사춘기 '갱년기', 여성의 경우 생식 기능이 없어지고 월경이 정지되면서 신체의 작용에 여러 가지 장애가 나타난다. 화끈거리는 얼굴, 신경과민과 심한 감정 변화 등 내 몸에 찾아오는 이상.변화가 두렵기 마련이다. 그러나 최근 평균 수명이 80세에 가까워지면서 갱년기를 기준으로 제2의 인생을 설계하고 있다. 갱년기극복으로 폐경과 함께 잃어버린 여성으로서의 상실감과 자신감을 되찾아 보자.

  • PDF

인체 정관의 약리학적 검색 -아드레날린성 및 콜린성 수용체의 공존과 Diazepam의 작용- (Pharmacological Studies on Human Vas Deferens -Coexistence of Adrenergic and Cholinergic Receptors, and Effect of Diazepam-)

  • 김원준;이광윤;하정희;박동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89-195
    • /
    • 1988
  • 인체 정관 평활근에서 각종 자율신경전달체 수용체의 유무를 조사하고 benzodiazepine계의 진정-항불안제인 diazepam이 평활근 운동성에 미치는 작용을 관찰하기 위하여, 32내지 45세의 건강한 지원자로부터 정관절편을 얻었다. 정관 절제술은 국소마취하에 시행되었고, 정관절편의 수축력 측정은 등장성장력측정기에 의하였다. 적출장기실험조 내에서 정관절편의 자율수축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norepinephrine에 대한 반응성은 $33^{\circ}C$에서 가장 예민하였던 바, 이 norepinephrine에 의한 농도의존적 수축력증가작용은 알파-아드레날린성 차단제인 phentolamine에 의해 억제되었다. 또 인체 정관절편은 본 실험의 조건하에서 isoproterenol 의하여 수축하였고, 이 수축작용은 베타-아드레날린성 차단제인 propranolol 의하여 완전히 제거되었다. 동시에 인체 정관절편은 acetylcholine에의해서도 비교적 강하게 수축하였고, 이 수축작용은 콜린성 무스카린성 차단제인 atropine에 의하여 완전히 억제되었다. Diazepam은 norepinephrine에 의한 수축을농도 의존적으로 억 제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인체 정관 평활근은 체온보다 낮은 $33^{\circ}C$에서 그 활동성이 가장 강하고, 자율신경에 대하여서는 아드레날린성 및 콜린성 수용체가 공존하고 있으며, diazepam은 그 수축력을 약화시킨다고 사료된다.

  • PDF

ATP-의존성 $K^+$ Channel 차단제인 Glibenclamide의 중추적 이뇨작용에 대한 신장 신경제와의 Cromakalim의 영향 (Effects of Renal Denervation and Cromakalim on Central Diuretic Action of Glibenclamide, an ATP-dependent $K^+$ Channel Blocker, in Dogs)

  • 고석태;임광남;정경희
    • 약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74-681
    • /
    • 199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nal denervation and cromakalim, a K+ Channel opener, on central diuretic action of glibenclamide, an ATP-dependent K+ Channel blocker, in dog. Diuretic action of glibenclamide administered into the vein was weakened markedly by renal denervation and pretreatment of of cromakalim. Above results suggest that central diuretic action of glibenclamide is mediated by renal nerves and K+ Channel localized in kidne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