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경근 조절 능력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3초

가상현실 기반 자세조절 융합 훈련이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 축구선수들의 균형과 점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Virtual Reality Based Neuromuscular Postural Control Fusion Training on Balance Ability and Jump Performance of Soccer Player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 양대중;박승규;엄요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357-36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기반 신경근 자세조절 융합 훈련을 이용하여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축구선수들의 균형 능력과 점프 수행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축구선수는 가상현실 기반 신경근 자세조절 융합 훈련군 15명과 일반적인 트레드밀 훈련군 15명으로 나누어 8주간 주 3회, 30분간 시행하였고, 균형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Biorescue를 이용하여 신체 중심 이동면적, 총 궤적길이, 안정성 한계를 측정하였다. 점프 수행력을 측정하기 위해 Counter movement jump with arm swing과 제자리 멀리 뛰기를 측정하였다. 균형 능력 비교에서는 신체 중심 이동면적과 총 궤적 길이 및 안정선한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점프 수행력 비교에서는 Counter movement jump with arm swing과 제자리 멀리 뛰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에 따라 가상현실 기반 신경근 자세조절 융합 훈련이 일반적인 트레드밀 훈련 보다 균형 능력과 점프 수행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도구나 수기를 이용한 연부조직 가동술이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TM using Instrument or Manual Therapy on Muscle Activity)

  • 김충유;강종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200-205
    • /
    • 2020
  • 본 연구는 도구를 이용한 연부조직 가동술(IASTM)과 도수 근막이완술(MFR)이 위팔두갈래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20대 성인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모든 대상자는 3일 동안 실험에 참석하여 위팔갈래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첫 날은 중재 전 근활성도 값을 측정하였고, 남은 이틀은 임의의 순서로 각각의 수기요법을 중재 후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모든 근활성도 값은 대응t검정과 독립t검정을 통해 비교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두 중재(IASTM, MFR) 모두 중재 전후로 유의하게 위팔두갈래근의 근활성도가 증가하였고, 중재 후 집단간 근활성도 값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두 수기요법(IASTM, MFR) 모두 신경근 조절 능력의 증진에 효과적임으로 사료된다.

편마비 중재에 신경생리학적 접근기법의 분석 (Analysis of Neurophysiological Approaches to the Intervention of Hemiplegia)

  • 신홍철;강정구;황환익;오정국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427-437
    • /
    • 2000
  • 편마비 환자의 물리치료는 장애 결과를 완화시키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신경생리학적 개념을 기초로 한 중재 접근 방법 중 편마비 환자에게 신경 발달 치료와 신경근 균형 접근 기법의 중재 효과를 비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와 전라북도에 소재한 종합병원 및 정형외과 의원에 입원 및 통원하고 있는 47-71세의 연령 범위에 있는 편마비 환자 30명 이다. 중재 집단의 기능적 능력 향상을 평가하기 위해 편마비 환자를 위한 운동 평가 척도와 수정된 바델 척도를 평가도구로 사용하였다. 편마비 환자의 기능적 능력 향성을 평가도구에 의해 측정된 결과를 분석한 바 운동평가 척도 항목중 바로누운 자세에서 옆으로 눕기와 앉아서 균형 취하기 영역에서, 수정된 바델 척도 항목 중 식사하기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편마비 환자의 손상 부위, 손상 형태, 마비 부위 등의 손상의 본질에 따른 대상의 선정과 운동 조절 형태에 관한 지식 그리고 신경학적 결함 정도를 심도있게 다루어 기능적 능력 향상의 임상적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중요하다.

  • PDF

3D프린터로 제작된 PLA재질의 도구와 기성품인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도구 사이의 연부조직 가동술에 의한 근활성도 차이 (Differences in muscle activity by IASTM between a tool made of PLA made with a 3D printer and a ready-made tool made of stainless steel)

  • 김충유;강종호;태원규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218-223
    • /
    • 2020
  • 본 연구는 3D프린터로 제작된 PLA재질의 도구와 기성품인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 도구 사이의 연부조직 가동술에 의한 근활성도 차이를 관찰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20대 성인 10명이 참석하였고, 모든 대상자는 각각 PLA재질의 도구를 사용하여 연부조직 가동술을 받은 PLA 집단과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도구를 사용한 Stainless 집단에 모두 참여하여 도구를 이용한 연부조직 가동술(IASTM)을 받았다. 모든 대상자는 중재 후 근활성도의 측정을 통해 %MVIC가 측정되었고, 이를 Mann-Whitney U검정을 통해 집단간 비교를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재 후 위팔 두갈래근의 %MVIC 값은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IASTM의 적용에서 도구의 재질에 따라 근활성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이는 3D프린터로 제작된 PLA재질의 IASTM 도구가 스테인리스로 제작된 기성품과 신경근 조절 능력에서 유사한 결과를 도출해 냄으로 보인다. 이에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환자군을 대상으로 도구의 실효성에 대해 검증할 것이다.

신경근 재교육이 편마비 환자의 인지와 기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Neuromuscular Reeducation on the Cognitive and Functional Assessment for Hemiplegic Patients)

  • 신홍철;김웅각;이소준;강정일;백현희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7-17
    • /
    • 2002
  • 편마비 환자의 인지 기능과 운동 및 신체적 기능에 관련된 변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인지 기능이 편마비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과 인지 영역의 손상이 편마비 환자의 독립적 기능 및 수준 향상의 예언 인자로서의 고려해야 할 개념을 검사나 평가 척도로 비교, 분석 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라북도에 소재한 한방병원에 입원 및 통원하고 있는 52-73세의 연령 범위에 있는 편마비환자 20명 이다. 편마비 환자의 기능적 능력, 운동 회복, 신체적 기능 그리고 인지적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편마비 환자를 위한 임상적 결과 변인 척도, 운동 평가 척도와 바델 척도 그리고 기능적 독립성 측정 척도를 평가도구로 사용하였다. 편마비 환자의 신체적, 운동 그리고 기능적 능력 상태를 평가도구에 의해 측정된 결과를 분석한 바 운동, 신체적 그리고 인지적인 영역과 기능적 독립 측정 척도 및 바델 척도와 관련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편마비 환자의 신체적, 인지적 결함이나 손상 부위, 손상의 본질에 따른 대상의 선정과 운동 조절 형태에 관한 지식 그리고 인지와 신경학적 결함 정도를 심도있게 다루어 기능적 능력 향상의 임상적 효과를 높이고자 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 PDF

자세조절능력에 따른 뇌-척수 신경 반응기전의 역학적 해석 (Studies in Biomechanical Properties on Brain-spinal Cord Response Mechanism by Human Posture Control Ability)

  • 유경석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8권6호
    • /
    • pp.449-459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외발서기 동작 시 취득한 운동역학데이터로부터 주파수분석의 기법을 통하여 인체 운동명령신호가 어떻게 자세조절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 자세역학의 토대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체조경력 10년 이상의 운동신경이 우수한 국가대표상비군(n=6)과 일반인(n=6)을 대상으로 발바닥 압력중심점(CoP)의 궤적데이터를 FFT신호처리기법에 의한 저주파대역Rambling (RM)과 고주파대역 Trembling (TR)의 주파수분석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눈뜨고 외발서기와 눈감고 외발서기 동작을 중심으로 두 집단 간 자세조절능력의 안정화지수 평가에서 독립표본 t검증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이러한 차이는 저주파대역 RM의 주요주파수 f1과 고주파대역 TR의 주요 주파수 f2의 최대진폭의 출력 차이로 밝혀졌다(p<.05). 특히 자세송환피드백에 관여하는 고유주파수인 저주파수대역에서는 주요주파수가 8-9 Hz 대역에서 뇌지시 하 안정적 자세조절의 운동기전을 행하는 운동명령으로 확인하였으며, 120-135 Hz의 고주파수대역에서는 자세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한 반사적 근반응의 적응성을 보이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자세조절의 중추신경계 운동조절에 관여하는 고유주파수와 최대진폭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됨으로서 외발서기 시 발바닥 압력조절에 의한 신호파형의 운동명령이 자세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임플란트 저작능에 영향을 주는 신경학적 원인에 대한 고찰 (Discussion of Neurologic Factor Influencing on Chewing Ability of Implant)

  • 김태선;윤준호;김성회;김지환;이재훈;심준성;문홍석;박영범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3호
    • /
    • pp.269-276
    • /
    • 2012
  • 임플란트 보철물의 저작능력과 관련되어 다양한 요인들이 존재하며 여기에 관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대부분의 후향적 연구에서는 임플란트 저작력이 다른 유형의 보철물과 비교해서도 우수한 것으로 결론 내리고 있다. 그러나 임상적으로 임플란트 보철치료 후에 저작능력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환자들이 간혹 있으며 이러한 저작의 불만족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여러 가지 원인들 중 신경학적 원인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Pubmed database에서 Implant chewing ability, masticatory ability 등의 임플란트 저작과 관련된 검색어를 사용하여 검색 후 임플란트 보철물의 저작능력에 관련된 요인들 및 임상과 관련된 논문들을 선택하고 고찰하였다. 저작능력에 관한 정의, 저작능력에 관련된 요인들에 대해 고려하였으며 이러한 요인들 중 신경학적 원인과 관련된 내용을 분석 평가하였다. 치주인대(Periodontal Ligament: PDL)의 기계적감각수용기(Mechanoreceptor)는 저작운동 시 치아로부터 얻은 정보를 뇌간으로 전달하여 저작운동의 조절에 관여한다. 임플란트의 경우 치주인대의 부재로 인해 저작운동 시 저작운동 적응 능력이 떨어지며 특히 딱딱한 음식을 저작 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진다. 저작근, TMD의 mechanoreceptor 또한 저작운동에 관여하기 때문에 치주인대의 기계적감각수용기 부재를 보상할 가능성도 있으며 임플란트 주변 조직에 있는 nerve fiber가 감각능력에 관여할 수 있을 가능성에 대한 보고도 있으니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던지기 선수에서의 재활 (Rehabilitation of the Throwing Athlete)

  • 윤태현;문영래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77-82
    • /
    • 2007
  • 투수의 견관절은 관절의 가동성과 안정성 사이에서 섬세한 균형이 요구된다. 이 균형은 쉽게 깨질 수 있어 손상으로 진행하게 된다. 성공적인 비수술적 치료의 제 1단계는 정확한 진단적 접근이다. 잘 설정되고 여러 단계에 걸친 방법으로 접근하는 재활을 시행함으로써 통증을 유발하는 염증 상태 개선 및 근육의 균형을 회복 관절의 유연성을 개선하고, 고유수용체 감각과 신경 근육 조절 능력을 개선하게 되어 효과적으로 운동 선수를 복귀시켜 줄 것이다. 이 글에서는 던지기 선수의 근골격계의 특이한 형태 변화와 특정 손상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재활 프로그램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자세조절 특성 (A Study of Postural Control Characteristics in School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이형수
    • 재활복지
    • /
    • 제14권3호
    • /
    • pp.225-256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자세조절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각, 안뜰감각 그리고 몸감각을 조합하여, 실험 조건에 따라 자세유지를 위하여 어떤 감각을 활용하고 있는지, 부적절한 감각자극에 대해서 통합시스템에서 어떻게 반응하는지, 외부 동요에 대해 신경근육의 자세조절 전략 시 동원되는 근육의 수축 개시시간과 개시순서를 각각 측정하여, 지적장애 아동의 자세조절 특성을 살펴보고, 나아가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분석하여 자세조절능력 향상 프로그램에 적용 시 방향을 제시해주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성별과 연령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 26명과 일반아동 26명의 아동으로부터 자세조절능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자세조절과 감각계와의 관계를 파악한 평형점수와 감각활용 분석, 엉덩관절 전략에 의지하는 자세조절 전략, 근수축 개시지연과 근수축 개시순서의 변화 등을 종합해 볼 때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자세조절의 문제는 운동시스템, 감각시스템, 통합시스템의 자세조절 시스템 전반에 걸친 총체적인 문제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자세조절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운동시스템, 감각시스템, 통합시스템을 포함하는 포괄적 자세조절 훈련 프로그램의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자세조절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다양한 감각을 제공하여 주고, 제공된 감각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감각훈련과 함께 고위중추에서 입력된 감각들을 정상적인 자세조절 발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훈련 시켜주어야 한다. 적응 반응을 계획하고 조직화하여 의미 있는 활동을 통해 중추신경계의 처리능력을 향상시키는 치료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자세조절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안정성 한계를 넓힐 수 있는 신경발달학적 치료와 함께, 근골격계에서 빠른 근수축 반응과 효율적인 근수축 개시순서를 유발 할 수 있도록 고유수용성 운동조절 프로그램, 자세반응 촉진 프로그램과 같은 훈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반회신경 문합과 후윤상피열근 절제가 발성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IES ON THE EFFECT OF RLN ANASTOMOSIS REMOVAL ON PHONATION)

  • 김영모;이영구;이정식;이준열;김광문;김기령;홍원표;최홍식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1년도 제25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1-12
    • /
    • 1991
  • 편측 성대마비의 음성개선을 위하여 현재까지 알려진 치료방법은 teflon 또는 silicone 주입술, 외과적 성대 내전술, 갑상연골 성형술, 신경재식술, 등이 있으며, 근래까지는 Teflon 또는 Gelform 주입술이 제일 효과적인 방법이라 알려져 있으나, 이는 음의 높낮이 조절능력의 한계가 있고, 신경재식술의 결과 역시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저자는 발성기능의 생리학적인 측면에서, 보다 효과적인 음성개선의 방법을 찾기 위하여, 사람의 후두와 비교적 유사한 특성을 가진 개를 사용하여 실험을 하였다. 반회신경을 절단하여 편측 성대 마비를 유발한 뒤, 동측의 유일한 외전근인 후윤상피열근을 절제후 절단된 신경을 문합하여, 성대의 외전근 작용의 소실과, 발성시에 주로 작용하는 내전근만의 작용을 유도하여, 공동운동의 차단과, 내전운동의 향상을 기대하였다. 본 실험에 앞서, 임의적으로 신경을 자극시킬 수 있는 신경자극기와, 주위조직으로부터 신경만을 분리하여 자극할 수 있는 전극을 개발하여 사용하였으며, 또한 성대의 발성음을 임의대로 유발시킬 수 있는 생체 내 후두발성 모형(in vivo laryngeal phonation model)을 Moore(1987, 1988)등이 발표한 모형을 토대로 자체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은 13마리의 개를, 반회신경 절단군(3 마리), 반회신경 절단 및 후윤상피 열근 절제군(3 마리), 후윤상피열근 절제군(3 마리), 반회신경 문합 및 후윤상피 열근 절제군(4 마리)등으로 나누어 실험하였으며, 3 개월 후, 현수후두경, 후두 내시경, videolaryngoscopy, 신경자극 검사 등으로 성대의 내전운동 및 위치 변화의 관찰, 발성음의 음향분석 및 갑상피열근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반회신경 절단군과 반회 신경 절단 및 후윤상피열근 절제군은, 수술후 3 개월에 성대의 움직임이나 각도의 변화가 없었으며, 음향분석 결과 발성음이 아닌 잡음만이 포착되었다. 즉, 절단된 신경의 문합 없이 후윤상피열근 절제 만으로는 음성개선은 기대할 수 없었다. 2. 후윤상피열근 절제군에서는 수술 후 3 개월에 정상적인 성대의 내전운동이 관찰되었으며, 음향분석상 기본주파수 동요율 및 발성음의 강도는 약간의 증가를 보였다. 즉, 반회신경이 절단되지 않은 상태에서 후윤상피 열근 만을 절제하면, 발성음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3. 반회신경을 절단후 문합하고 후윤상피열근을 절제한군 에서는 수술후 3 개월에, 성대의 정상적인 내전운동을 보였고, 음향분석상 수술직후에는 잡음만이 포착되었으나, 3 개월 후에는 잡음이 아닌 발성음을 들을 수 있었으며, 이 발성음의 기본주파수 및 강도는 수술전보다 감소되어 있었으나, 기본주파수 동요율은 증가되어 있었다. 즉 이 술식으로 인한 뚜렷한 발성음의 향상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편측 신경 절단으로 인한 성대마비시, 절단된 신경을 봉합하고 성대의 유일한 외전근인 후윤상피열근을 절제하면, 공동운동의 차단과, 내향운동의 향상으로, 음성개선에 효과적이라고 사료되었으며, 이 방법이 편측 성대마비 환자의 효과적인 음성개선의 치료방법의 하나로 응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