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품안전보도

Search Result 1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and Food Incidents in Korea (식품안전 사건 사고와 기후요소와의 관련성)

  • Lee, Jong-Hwa;Kim, Young-Soo;Baek, Hee-Jung;Chung, Myung-Sub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 /
    • v.2 no.4
    • /
    • pp.297-307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s relation of food safety incidents with climate. Therefore food safety incidents and climate data during 1999 to 2009 have been analyzed. In situ observations of monthly mean temperature, maximum temperature, minimum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relative humidity in 60 observation stations of Korean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have been used in this study. Food safety incidents data have been constructed by searching media reports following Park's method (2009) during the same period. According to the Park's method, 729 events were collected. To analyze its relations, food safety incidents data have been classified into chemical, biological, and physical hazards.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have been applied to analyze the relations. The correlation of food safety incidents has negative one with precipitation (-0.48), and positive one with minimum temperature(0.45). Precipitation has been correlated with biological and physical hazards more than chemical hazard. Temperatures (mean temperature, maximum temperature, and minimum temperature) have been correlated closely with chemical hazard than others. Food safety incidents data has been interblended with human behavior factor through decision-making processes in food manufacturing, processing, and consumption phases of "farm-totable" food processing. Act in the preventing damage will be obvious if the hazard were apparent. Therefore abnormal condition could be more dangerous than that of apparent extreme events because apparent events or extreme events become one of alarm over hazards. Therefore, human behavior should be considered a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for analysis of food safety incid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etter case study for food safety researches related to climate change.

청주지역 주부들의 수입식품 이용실태 및 분별능력

  • 김기남;박은진;손은미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074-1075
    • /
    • 2003
  • WTO 출범 이후 우리나라 국민의 식생활 중 수입식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급속히 늘어나면서 수입식품 자체의 위해성과 수입농산물에 관한 지식이나 정보가 소비자들에게 부족하여 올바른 구입과 소비가 어렵게 되어 피해를 당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주지역 주부들을 대상으로 수입식품 이용과 인식도 및 수입식품 분별능력의 조사를 통하여, 교육의 필요성여부를 검토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청주시에 거주하는 주부 183명이었고, 조사기간은 2003년 3월 1일부터 3월 15일까지였다. 조사내용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 식품구입시 태도, 수입식품 구입 경험, 수입식품에 대한 인식도, 수입식품과 국산식품의 분별력 테스트로 구성되었으며, 인식도는 5점 척도에 의해 조사되었다. 사용된 통계처리 방법은 SAS program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Chi-square 또는 ANOVA로 검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산과 수입산 표시의 확인여부는 응답자의 92.3%가 확인한다고 응답하였고,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99.5%가 국내산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주된 이유로는 ‘수입산은 유해물질이 많으므로’라는 응답이 46.3%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수입식품 구입경험의 유무로는 92.3%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구입동기에 대해 ‘수입산이 시중에 많아 쉽게 구입할 수 있기 때문에’라는 응답이 61.6%로 가장 많았다. 또한 수입식품을 국산식품으로 혼동하여 구입한 경험으로는 응답자의 76%가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혼동한 이유로는 ‘수입식품과 국산식품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아서’ 49.6%, ‘수입산과 국내산의 표시가 명확하지 않아서’ 41%를 차지했다. 국내산과 수입산 표시에 대한 신뢰도는 89.7%가 대체로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하지 않는 이유로는 ‘허위표시에 대한 보도를 많이 접해서’가 56.l%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수입식품의 인식도를 품질, 가격, 포장 용기, 맛, 조리편리성, 안전성, 건강에 미치는 영향의 7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는데, 수입식품의 품질과 맛에서 국내산과 비슷하거나 나쁘다고 인지하였고, 가격은 수입식품이 싸다고 인지하고 있었으며 연령과 유의성을 보였다(p <0.01). 포장 용기와 조리편리성에 대해서는 국내산과 비슷하거나 좋다고 인지하고 있었으며, 조리편리성은 학력과 유의성이 높게 나타났다(p < 0.01). 안전성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나쁘다고 인지하고 있었다. 수입식품과 국산식품의 분별정도는 66.1%가 구별하는 능력이 언다고 응답하였다. 분별정보를 얻는 경로로는 ‘TV 및 라디오 프로그램’이 61.7%로 가장 많았다. 수입식품에 관한 교육을 받을 의향에 있어서 61.5%가 ‘예’라고 응답하였고, 필요한 교육에 대해 ‘국산식품과 수입식품의 분별법에 관한 내용’이 75.4%로 가장 많았다. 수입식품 분별력 테스트에 있어서는 40점 만점에 평균이 13.6 $\pm$ 7.4점으로 낮았고, 분별력이 가장 좋은 품목은 고사리(53.6%), 분별력이 가장 낮은 품목은 고춧가루(40.4%)로 나타났다. 분별정도에 있어서 ‘매우 잘 구별한다’고 응답한 사람일수록 분별력 점수가 높게 나타나 주부들이 자신의 분별능력에 대해 매우 잘 인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p<0.001).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대부분의 응답자가 수입산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으나 대부분 구입경험이 있고, 분별력 점수도 낮은 편이었다. 따라서 국내 소비자들의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는 수입식품과 국내식품의 특징 및 분별법에 대한 대중매체를 통한 홍보와 이에 대한 교육의 기회가 확대되어져야 하겠다.

  • PDF

Heavy Metals and Cosmetics (화장품과 중금속)

  • 김영소;정혜진;장이섭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 /
    • v.28 no.1
    • /
    • pp.15-30
    • /
    • 2002
  • 최근 화장품 사용인구의 증가와 안전성에 대한 관심 증대에 따라 화장품 중 유해성분 함유에 대한 논란이 종종 있어왔다. 화장품에 대한 전문적 지식이 없는 사람들에 의하여 진행된 잘못된 정보로 인하여 화장품 중에 포함된 모든 중금속이 인체에 심각한 영향을 초래한다는 등의 오해를 불러와 관련 업계에 적지 않은 피해를 주기도 하였다. 이에 본 자료에서는 구체적 근거자료와 연구 논문들을 기반으로 유해한 중금속, 안전하여 사용이 공인된 중금속 등을 조사하여 화장품에서의 중금속의 개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국내에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제2000-27호에 화장품에 포함되었을 때 유해한 중금속으로 납, 비소 및 수은을 명시하고 그 규제농도를 규정하고 있다. 규제 중금속은 아니지만 피부에 알러지를 일으키는 중금속으로는 니켈이 있는데 화장품 중 몇몇 제품군에서 소량(수∼수십ppm) 이 검출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일상으로 사용하는 각종 귀금속, 시계, 안경테, 클립, 지퍼 등의 금속 용품에 포함된 니켈의 양(수∼수십%)에 비하여 매우 적은 양이며 정상적인 사람에게는 무해하다. 실제 대다수의 니켈 알러지는 화장품이 아닌 귀금속이나 시계 등의 금속류 제품 등에 의하여 유발된다. 또한 많은 종류의 중금속 화합물이 화장품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크롬, 망간, 비스머스, 구리, 철, 코발트, 티타늄, 아연 등의 화합물이 있으며 이들은 각종 화장품 공정서 및 원료집 등에 수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중 코발트와 크롬이 피부에 유해하다는 몇몇 보고가 있지만, 이는 이들 원소의 수용성염형태의 특정 화합물인 cobalt chloride와 chromate 및 dichromate의 염에 관한 것으로 화장품에서 사용되는 불용성 산화물인 cobalt aluminum oxide, cobalt titanium oxide, cobalt blue, chromium oxde greens 및 chromium hydroide green 등, 국제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안전한 중금속 화합물과는 그 특성 및 독성이 판이하게 다르다. 따라서 화장품에서는 매우 안전한 중금속 화합물만이 사용된다. 업계는 유해 중금속에 관해서는 규제에 입각한 엄격한 품질관리에 힘쓰고 중금속의 화학적 분자구조(수용성염 vs 불용성산화물)를 구별할 수 있는 분석방법 개발에 주력하여야 한다. 그리고 안전한 화장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잘못된 인식과 보도로 인하여 안전한 화장품이 유해한 것으로 오도되는 것을 막아야 할 것이다.

Characteristics of Puffer Fish Poisoning Outbreaks in Korea (1991-2002) (대한민국에서 복어독에 의한 식중독 발생 특성)

  • Kim, Ji-Hoe;Gong, Qing-Li;Mok, Jong-Soo;Min, Jin-Gi;Lee, Tae-Seek;Park, Jeong-Heum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18 no.3
    • /
    • pp.133-138
    • /
    • 2003
  • The data on outbreaks of puffer fish poisoning during 1991 to 2002 in Korea were gathered from press reports, and characterized information collected. During the period, a total of 32 outbreaks of puffer fish poisoning was reported. These outbreaks caused 111 persons to become poisoning, among the cases 30 persons were fatal. The mean case fatality rate was 27.0%, and most of deaths (93.3%) were the male of above 29 years old. Patient number of below 4 persons per a poisoning accident occupied 75.0% of total outbreaks; 65.8% of total cases; and 66.7% of total deaths) was occurred in the months, November through January. Most of puffer fish poisoning (75.0% of total outbreaks; 68.5% of total cases; and 73.3% of total deaths) were found along the south coastal area of Korea, including Busan, Gyeongsangnam-do, Jeollanam-do and Jeju-do. Over than 80% of puffer fish poisoning outbreaks occurred at fishing boat and home where privately made food was cause, and outbreaks in restaurants accounted for 15.6%. Most commonly implicated foods were Guk, boiled soup with puffer fish meat and spices.

The Research of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Water Fluoridation Program for Residents of Haeundae-Gu, Busan (부산광역시 해운대구민의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에 대한 의식 조사연구)

  • Jeon, Eun-Suk;Lee, Hye-Jin;Bae, Soo-Myung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6 no.1
    • /
    • pp.47-53
    • /
    • 2006
  • This study is performed both for notification of knowledge level about water fluoridation program for residents of Haeundae, Busan and for finding out the purpose of solving methods of problems which could appeared in water fluoridation program, it has resulted by the survey of 460 Haeundae citizens from August 5, 2005 thru 20th of same month. 1. The drinking water for Haeundae Residents is occupied of 42.8% of the purified water and 31.3% of public tap water, among these, the cooking water is consist of 48.3% of the tap water and 35.4% of the purified water. 2. 35.7% of participants has already known about the water fluoridation program, but 42.0% hasn't, 22.4% were no answer. 3. For the question why water fluoridation program has done 42.0% answered for caries prevention, 32.3% for disinfection of tap water and 15.0% for tap water purification. 4. For water fluoridation program, 78.0% approved and 22.0% disapproved, among reasons 51.0% of approvals were caries prevention and 38.6% of disapproval were that fluorine can be harmful for the human body. 5. There is a fact that fluorine is contained in food, beverage, water, and air, only 21.3% has notified that fact, on the other hand 78.7% hasn't, among teens, 93.5% doesn't know the fluorine containing facts. 6. In the safety notification rate of water fluoridation program, 39.3% notifies it safe, 55.7% showed unknown response, and the speech 28.3% may be the best way to notify it.

  • PDF

The Effects of Hazardous Substances Generation and Media Reports on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Aquatic Products (식품안전 위해물질의 발생 및 언론보도가 수산물 생산, 유통 및 소비에 미치는 영향)

  • Moon, Seong-Ju;Kang, Jong-Ho
    • The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 /
    • v.52 no.4
    • /
    • pp.29-43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occurrence of hazardous substances such as vibrio, norovirus, radioactivity, shellfish posion, hepatitis A, etc. and media reports, and whether the occurrence of hazardous substances and media reports affect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aquatic product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ccurrence of hazardous substances and media reports according to hazardous substances. Second, it suggests seen that the occurrence of hazardous substances and media reports can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production and the prices of aquatic product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occurrence and reporting of hazardous substances had different effects on the distribution margin of aquatic products due to the complexity and rigidity of the distribution structure. Fourth, consumers feel a threat to aquatic products safety and significantly reduce consumption when hazardous substances occu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concerns about one item may lead to a decrease in consumption of domestic and imported aquatic products that are not related at all to the occurrence of hazardous substances. In conclusion, aquatic products are exposed to various hazardous substances such as vibrio, norovirus, radioactivity, shellfish posion, and hepatitis A. It was found that the occurrence of hazardous substances and its media reports could cause damage to the fishery sector.

A Survey on the Perception and Usage Status of Dietitians in Food Service Business for Meat Products (단체급식소 영양사의 육가공품에 대한 인식 및 이용실태 조사)

  • Yong, Eun-Zu;Choi, Youn-Sang;Lee, Keun-Taik
    •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
    • v.29 no.1
    • /
    • pp.121-131
    • /
    • 2009
  •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usage status for meat products of dietitians in the food service business in Seoul and Gangwon province. 32.8% of dietitians decided the menu reflecting the taste of students. Most of the dietitians (89.2%) checked the manufacture date of the processed meat products when they were supplied. To address the question as to whether they could distinguish the difference among ham, pressed ham, and sausage, most of them answered; 'can distinguish a little' (47.5%) or 'can't distinguish' (36.7%). The most frequently provided processed meat products were ham (33.9%), followed by sausage (21.7%). However, it is assumed that the dietitians might have mistaken the pressed ham for the classic ham. The most common frequency of the serving processed meat product in the food services was once a month (41.6%). Most desired aspect of quality improvement for the processed meat products was answered as 'hygiene/safety' (31.5%), and followed by 'higher quality' (26%). In conclusion, the improvement of the product quality and the strengthening of public information would be prerequisites for expanding the use of processed meat products in the food services and business-to-business (B2B) market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