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중독 예방

Search Result 152,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전염병 예방관리

  • Yang, Eun-Ju
    • 학교보건
    • /
    • s.22
    • /
    • pp.126-138
    • /
    • 1999
  • 전염성 질환의 발생이 계속 감소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우리나라 일부 지역에서 전염성 질환이 산발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학교 급식의 확대 실시에 따른 학교에서의 세균성 이질 등 집단 환자 발생의 빈도가 예년보다 증가되고 있는 실정을 감안할 때, 전염병 관리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따라서 학교보건 관계자가 전염병 발생의 역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들 질환을 관리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전염병 및 식중독 예방에 대해 간단히 기술하였다.

  • PDF

Big Data Study about the Effects of Weather Factors on Food Poisoning Incidence (기상요인과 식중독 발병의 연관성에 대한 빅 데이터 분석)

  • Park, Ji-Ae;Kim, Jang-Mook;Lee, Ho-Sung;Lee, He-J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3
    • /
    • pp.319-327
    • /
    • 2016
  • This research attempts an analysis that fuses the big data concerning weather variation and health care from January 1, 2011 to December 31, 2014; it gives the weather factor as to what kind of influence there is for the incidence of food poisoning, and also endeavors to be helpful regarding national health prevention. By using R, the Logistic and Lasso Logistic Regression were analyzed. The main factor germ generating the food poisoning was classified and the incidence was confirmed for the germ of bacteria and viru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Logistic Regression, we found that the incidence of bacterial food poisoning was affected by the following influences: the average temperature, amount of sunshine deviation, and deviation of temperature. Furthermore, the weather factors, having an effect on the incidence of viral food poisoning, were: the minimum vapor pressure, amount of sunshine deviation and deviation of temperature. This study confirmed the correlation of meteorological factors and incidence of food poisoning. It was also found out that even if the incidence from two causes were influenced by the same weather factor, the incidence might be oppositely affected by the characteristic of the germs.

해외정보 - 계란생산 위생관리 가이드북

  • Yun, Byeong-Seon
    • KOREAN POULTRY JOURNAL
    • /
    • v.44 no.8
    • /
    • pp.148-153
    • /
    • 2012
  • 본고는 최근 일본 농림수산성 소비 안전국에서 살모넬라 등의 식중독균을 예방하기 위해 농가에서 안전한 계란생산을 위해 해야할 일을 정리하여 발표한 내용을 발췌, 번역, 게재한 것이다.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Preventing COVID-19 in Childcare Centers, Institutional Foodservices and Restaurants (COVID-19 확산방지를 위한 보육시설, 집단급식소 및 식품접객업소 생활방역 매뉴얼 개발)

  • Lee, Seung-Wan;Chang, Hye-Ja;Han, Areum;Lee, Sun-Young;Kim, Sung-Il;Bahn, Kyeong-Nyeo
    • Journal of the FoodService Safety
    • /
    • v.1 no.1
    • /
    • pp.37-44
    • /
    • 2020
  • The virus isolated from patients with severe pneumonia of unknown etiology in Wuhan City, Hubei province in China was termed SARS-CoV-2 and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named the disease caused by this virus as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The COVID-19 infection has spread rapidly and become a pandemic. In July 2020, there were 13.25 million infected patients and over 570,000 deaths worldwide, and 13,711 infected patients and 294 deaths were reported in South Korea. Since the primary mode of transmission of COVID-19 is through respiratory droplets, the importance of preventive measures, including social distancing, has become important in daily life. In response to the continuous spread of COVID-19, this study developed three guidelines for preventing COVID-19 for the food service industry including childcare centers, institutional foodservices and restaurants by the integration of the manual of controlling foodborne illness. These are included the COVID-19 prevention action methods for food deliverers, for food service administrator, for foodservice works and for customers. All guidelines were designed for easy understanding using illustrations and have been systematically explained subject wise. Thus, these COVID-19 prevention guidelines can be appropriately applied depending on the specific situation and workplace. In addition, they are worthy as educational materials that contribute to the food safety.

Norovirus Food Poisoning and Laboratory Surveillance for Viral Gastroenteritis (바이러스성 식중독의 특성 및 예방법)

  • Jee, Young-Mee
    • Food Industry And Nutrition
    • /
    • v.11 no.3
    • /
    • pp.6-11
    • /
    • 2006
  • 바이러스성 식중독은 장염을 일으키는 원인 병원체 중 노로바이러스에 의해 흔히 발생하며 이외에도 아스트로바이러스나 로타바이러스에 의한 집단 설사 사례가 국내에서 보고된 바 있다. 노로바이러스는 식중독과 관련하여 특히 오염된 식수와 굴 등 어패류의 생식을 통한 감염 사례가 많이 보고되어 있으나 사람 간 전파도 흔히 일어나는 전염력이 매우 높은 바이러스이다. 국내에서는 1999년 이후 보고가 되고 있으며 최근 집단 급식과 관련된 대형 식중독 사례들이 보고되면서 학교급식이 사회적인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2000년 이후 질병관리본부는 바이러스성 설사의 국내 발생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의 17개 시도보건환경 연구원과 노로바이러스를 포함한 4종의 바이러스성 장염원인 병원체에 대한 전국적인 실험실 감시체계를 운영한 결과 바이러스성 병원체가 확인된 사례의 약 18%에서 노로바이러스가 검출되었고, 집단설사 사례에서는 대부분 노로바이러스가 원인병원체로 확인되었다. 또한 노로바이러스의 조기 검출을 위해 질병관리본부는 2004년 중 노로바이러스 유전자 검출 kit를 자체적으로 제작하여 이를 전국의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을 연계한 감시체계에서 적극 활용함으로써 노로바이러스 집단설사사례의 조기 검출이 가능하게 되었고 지역내 노로바이러스 검출율을 높이는데 기여하였다. 국립보건연구원은 2003년과 2006년에 발생한 대규모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사례 이외에도 산발적으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사례들을 조기에 탐지하고 국내에서 검출되는 설사바이러스 유전형 분포양상과 새로운 유전자형이나 변이주를 조기에 검출하고자 전국적인 노로바이러스 실험실 감시망을 강화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집단설사 발생시 각 사례의 연관성을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는 실시간 분자역학적 유전자 분석체계를 단계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실험실 감시체계 운영과 함께 집단 식중독 유발 병원체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질병관리본부는 노로바이러스를 포함한 설사 유발 병원체를 신고대상 병원체로 지정(2006.06.12)하여 병원체 검출시 보고하도록 하고 관련 지침을 마련하였다. 노로바이러스가 지정전염병 병원체로 추가로 지정됨에 따라 집단 사례 및 실험실 감시사업을 통해 검출되는 병원체에 대한 보고가 강화되고 전파 방지와 2차 감염 사례 감소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전국의 실험실 감시망을 연결하는 국가 차원의 노로바이러스 실시간 분자역학적 분석체계 도입을 통해 노로바이러스 2차 감염을 줄이고 대규모 집단발병 및 유행의 조기 차단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 PDF

Outbreak Pattern Forecasting of Food-borne Disease in Group Food Services in Korea (미래 집단급식 식중독 발생 양상 예측)

  • Jo, Seo-Hee;Kim, Cho-Il;Ha, Sang-Do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24 no.1
    • /
    • pp.19-26
    • /
    • 2009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nalyze the hygienic problems of group food services and to predict the outbreak patterns of future food-borne diseases. A delphi survey with 20 experts identified the main causes of food-borne outbreaks in group food services as improper hygienic management of raw food materials, washing of worker's hands, dividing the spaces and unsanitary retail storage. Vibrio parahaemolyticus, Escherichia coli (EPEC), non-typhoid Salmonella serotype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ETEC), norovirus, and the hepatitis A virus all have potential to cause outbreaks of food-borne disease. We analyzed the daily food use and the possibility of food-borne outbreaks in school food services for fruits, milk, fish, pork, eggs, and meat as raw food materials, and bibimbab, soybean sprouts muchim, spinach namul, cucumber sengchae, jabchae, and pork bulgogi as prepared food items. Frozen (${\leq}\;-20^{\circ}C$) and refrigerated ($0{\sim}10^{\circ}C$) processed foods are popular items in group food services. Their storage, heating, and chemical sanitization methods are potential sources of food disease outbreaks. Our results can be applied to a well-organized hygiene control system and can be used to develop menus for preventing food-borne outbreak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Key Word Search Frequencies Related to Food Safety Issue and Foodborne Illness Outbreaks (식중독 사고 발생과 식품 안전 관련 검색어 빈도와의 상관성 분석 연구)

  • Lee, Heeyoung;Jo, Heekoung;Kim, Kyungmi;Youn, Hyewon;Yoon, Yohan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32 no.2
    • /
    • pp.96-100
    • /
    • 2017
  • Through the increasing use of internet and smart device, consumers can search the information what they want to find. The information has been accumulated and become into a big data. Analyzing the big data regarding key words associated with foods and foodborne pathogens could be a method for predicting foodborne illness outbreaks, especially in school food service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correlations between key words associated with foods and food safety issues. Frequencies of the key words for foodborne pathogens and food safety issues were searched using an internet portal site from January 1, 2012 to December 31, 2014. In addition, foodborne outbreak data were collected from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for the same period of time.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the time having maximum key word frequencies of foods and foodborne pathogens, and the time for foodborne illness outbreak occurred. In addition, the search frequencies for foods and foodborne pathogens were generally increased right after foodborne outbreaks occurred. However, in some cases foodborne outbreaks occurred after the search frequencies for certain seasonal foods increased These results could be useful in food safety management for reducing foodborne illness and in food safety communication.

안전한 먹거리

  • Korea Alliance to Defeat AIDS
    • RED RIBBON
    • /
    • s.68
    • /
    • pp.12-13
    • /
    • 2006
  • HIV는 감염인의 모든 생활에 간섭한다. 건강관리뿐만 아니라 먹거리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식중독 등 음식물을 통해 감염되는 질병이 감염인에게는 더 심각하고 회복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고기, 가금류(오리, 닭 등), 생선류를 날 것으로 혹은 덜익힌 상태로 먹을 경우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 생과일, 야채도 깨끗이 씻지 않고 먹을 경우도 안심할 수 없다. 물 또한 마찬가지이다. 그렇다면 감염인은 먹거리나 마실 물의 경우 어떤 점에 주의를 해야 하는지 살펴보도록 하자.

  • PDF

기능성 식이섬유 소재의 생산기술

  • 김종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Conference
    • /
    • 2000.05a
    • /
    • pp.5-7
    • /
    • 2000
  • 국내에서의 식이섬유의 이용은 대부분 저분자량의 수용성 식이섬유를 이용한 음료형태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밀기울, 귀리, 옥수수 껍질 등으로 부터 얻는 불용성 식이섬유는 제과 및 제빵등에 이용되어 오고 있다. 수용성 식이섬유는 혈중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며, 불용성 식이섬유는 변비예방과 장기능 증진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대장암과 변비같은 장질환 환자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산 미이용 자원으로부터 불용성 식이섬유의 기능성 향상과 활용기술을 개발하는 것은 식품산업적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국내에서 소비되고 있는 폴리덱스트로스와 올리고당과 같은 기능성 당류의 대부분이 외국에서 수입하여 국내에 보급되고 있기 때문에 큰 외화지출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내산 미곡 부산물인 밀기울 식이섬유 세포벽의 불용성 구조를 수용성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변형기술과 얻어진 수용성 식이섬유 소재의 특성을 소개하고자 한다. 즉, 밀기울 세포벽의 수용화를 위한 가공처리는 압출성형 공정에 의하여 실시하였으며, 수용화가 수반되는 압출성형 조건에 따른 식이섬유 소재의 이화학적 특성과 수용화가 일어난 세포벽 성분의 분해기작에 대한 연구결과를 정리하였다. 그리고, 현행 올리고당과 식이섬유의 산업적 생산공정에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효소처리, 산성하에서의 감압가열, 고점도 원료물질의 이송, 생물공학적 공정제어, 반응시간, 잔여 효소의 불활성화 및 재활용, 제조원가 상승 등과 같은 것을 해결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효율적인 압출반응공정의 조건과 생산된 소재 glucooligosaccharide, fructooligosaccharide, galactooligosaccharide 등의 특성에 대하여 논하여 보기로 한다.경우가 많지 않다. 또한 그 발생 경위나 원인요소에 대해서는 일반에게 공개되지 않고 있어, 우리가 실천하여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는 정보가 함께 제시되지 못하는 형편이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최근 수년간 외국에서 학교급식을 비롯한 집단급식 등에서 발생한 식중독 사례를 중심으로 고찰, 분석하였다. 이로부터 식중독 발생에 기여한 주요 원인을 찾아내고 여기서 얻어지는 교훈을 토대로 식중독 발생을 예방 및 최소화할 수 있는 실천적 대처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중의 E. coli O157:H7이 연관되어있다는 보고도 있다. 목장 방문시 원유를 마신 어린이에서 HUS가 유발하였고, 균분리 결과, 농장의 소와 어린이에서 유사한 E. coli O157:H7이 분리된 바 있다. 본 연자들은 베로톡신 유형, plasmid profiles, RFLP 분석, phage type을 기초로하여 소에서 분리된 E. coli O157:H7이 사람유래주와 매우 유사함을 확인하였다.mm 및 2-6mm 난포에서의 101개(67.8%) 및 47개(50.0%) 보다 매우 낮게 나타났다. 전체 회수 난포란수도 4등급이 59.1%(149/252)로써 1, 2, 3등급의 0.4% (1/252), 7.6%(19/252) 및 32.9%(83/252)보다 높게 나타났다. 1회 평균 회수 난포란은 $\leq$2mm 난포에서 4.8$\pm$3.7개로써 2-6mm(3.0$\pm$3.4개) 및 $\geq$6mm (0.3$\pm$0.6개)보다 높았으며, 1회당 평균 8.1$\pm$5.1개의 난포란을 회수하였다. investigation can be separated into sa

  • PDF

Toxin Genes and Antibiotic Resistance of Food Poisoning Bacteria Isolated from Food Service Equipment in Childcare Centers (어린이집 급식설비에서 분리된 식중독 미생물의 독소 유전자 및 항생제 내성)

  • Eun-yeong Kim;Chae-Young Kim;Ji-Yu Im;Jung-Beom Kim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39 no.3
    • /
    • pp.266-272
    • /
    • 2024
  • This study assessed the contamination level of food poisoning bacteria on handles of food service equipment in childcare centers to prevent food poisoning and analyzed toxin genes and antibiotic resistance of isolated strains. The isolates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101 childcare centers in Jeollanam-do. Four strains of Bacillus cereus and two strains of Staphylococcus aureus were isolated on the handles of food service equipment (refrigerators and freezers). The toxin genes of B. cereus were detected as nheA, nheB, nheC, entFM, and cytK. No toxin genes of S. aureus were detected. B. cereus showed resistance to β-lactam antibiotics, such as ampicillin and cefepime. S. aureus also showed resistance to antibiotics such as ampicillin and cefepime. Therefore, microbial safety and hygiene management, such as periodic sterilization of handles, should be strengthened to prevent food poisoning caused by cross-contamination of food service equipment handles in childcare cen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