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용유지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22초

충남 도서지역의 민속식물 (Native Plants of the Islands of Chungcheongnam-do)

  • 손동찬;박범균;김태훈;강현모;김태이;김균태;고성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03-623
    • /
    • 2012
  • 본 연구는 충남 도서지역의 민속식물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1년 3월부터 10월까지 수행되었다. 4개 시 군 지역에 속하는 17개 도서지역에서 주민 50여명을 대상으로 작성된 조사야장 905매의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충남 도서지역에서 파악되고 수집된 민속식물은 84과 219속 246종 3아종 22변종 3품종의 총 274분류군이었다. 조사야장에 따른 274분류군에 대한 용도별 이용현황은 식용 169분류군, 약용 134분류군, 관상용 67분류군, 향신료 17분류군, 향료 7분류군, 연료 7분류군, 유지 6분류군, 염료 5분류군, 밀원 4분류군, 섬유 3분류군, 수지 1분류군, 기타 26분류군으로, 식용으로의 이용 빈도가 가장 높았다. 연령별 표준식물명과 지방명의 일치도는 50대가 가장 높았으며, 60대가 가장 낮았다.

경상남도 지역의 민속식물 이용현황 (The Usage of Regional Folk Plants in Gyeongsangnam-do)

  • 임형탁;홍행화;손현덕;박명순;남보미;권보경;이철호;정규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19-429
    • /
    • 2011
  • 본 연구는 경상남도 지역에서 이용되는 민속식물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9년 3월부터 11월까지 수행되었다. 17개시(광역시) 군지역의 52개소에서 주민 60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조사야장 293장의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경상남도 지역에서 파악되고 수집된 민속식물은 총 73과 157속 168종 2아종 11변종 1품종의 총 182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식용 129종류, 약용 41종류, 염료 3종류, 향료 2종류, 향신료 2종류, 관상용 2종류, 섬유 6종류, 유지 2종류, 기타 25 종류로서 식용으로의 이용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이용 부위로는 잎, 전체, 열매, 뿌리 순으로 나타났다.

동결건조 커피의 순차용매 분획별 특성과 항산화 효과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ntioxidant Fractions Extracted from Freeze-Dried Coffee by Various Solvents)

  • 이주원;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09-116
    • /
    • 1996
  • 동결건조 커피의 순차용매 분획물별 항산화력과 이화학적 성질을 대비하여 그 유효 분획물의 항산화특성을 고찰하였다. 동결건조 커피를 극성도의 크기에 따라 9가지 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각 분획물을 식용유지에 첨가하여 Rancimat과 oven test로 항산화 효과를 시험하였다. 용매별 추출 수율은 분획물의 극성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분획물의 항산화력은 acetone>ethanol>ethyl acetate>methanol>50% methanol>water 분획물의 순이였으며, 대두유보다 돈지에서 더욱 효과적이었다. 각 분획물의 항산화력은 갈색도와 환원력의 강도 및 유기산 함량과는 관련이 없었으나 총phenol, 산도 및 caffeine을 포함한 총질소함량과 깊은 관련이 있었다. 또한, 각 분획물의 UV-visible spectra는 $200{\sim}220\;nm$, $260{\sim}280\;nm$$320{\sim}340\;nm$ 범위의 봉우리로 구분되었으며, 이중 $320{\sim}340\;nm$ 부근이 각 분획물의 항산화력의 크기와 일치하였다.

  • PDF

한국에서 상용되는 식용유지로 사육된 흰쥐의 체내 지방대사 및 면역능력에 대한 연구 (The Effect of Sesame Oil, Perilla Oil and Beef Tallow on Body Lipid Metabolism and Immune Response)

  • 김우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2권1호
    • /
    • pp.42-53
    • /
    • 1989
  • The research was designed to study the effect of different fat sources and levels on Body lipid metabolizm and immune responses in Sprague-Dawely strain male rats. These effect of different fat sources compared with sesame Oil, Perilla oil and Beet tallow. Fat sources were divided into 3 groups respectively 7%, 15%, 30% fat level on diet weight basis. The experimental period was 54days. 1) The body weight gain was significantly low in NF group. In Sesame oil group and perilla oil group, low fat level groups were higher than medium, high fat level groups. But in Beef tallow group, high fat level groups were higher than low and Medium groups. 2) The weight of liver, kidney and epididymal fat ped tend to increse with increasing body weight. 3) The contents of triglyceride and total lipid in serum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dietary fat sources and Perilla oil group was the lowest. 4) The contents of triglyceride and total lipid in live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dietary fat levels and high fat level group was higher than low fat level group. 5) Perilla oil group, compared with Beef tallow group, showed the higher excretion of cholesterol through feces and the higher deposit of cholesterol in liver. Therefore serum cholesterol level of Perilla oil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Beef tallow group. But eventhough Sesame oil is vegetable oil, Sesame oil did not showed an effect like Perllia oil on serum cholesterol level. 6) Weight of thymus decreased with fat levels particularly in vegetale oil. And it had on effect on mitogen response, mitogen response decreased with fat level in vegetable oil. But in Beef tallow, there was no difference in fat level.

  • PDF

한국산(韓國産) 식물식용유지(植物食用油脂)의 성분(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4보(報) : 참깨와 들깨종자중(種子中)의 Sesamol의 정량(定量)-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Korean Edible Oils and Fats -Part 4. Determination of Sesamol in Sesame and Perilla Seeds-)

  • 황성자;고영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3권4호
    • /
    • pp.177-186
    • /
    • 1980
  •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compare the sesamol contents in the methanol extracts and unsaponifiable matters from raw and baked seeds of Korean sesame and perilla by thinchrography. The oil and sesamol contents of sesame seeds were higher than those of perilla seeds. The contents of sesamol in raw and baked sesame seeds were 0.22 and 0.096% respectively in methanol extracts and 0.41 and 0.29% respectively in unsaponifiable matters. The sesame contents in raw and baked perilla seeds were 0.0022 and 0.0043% respectively in methanol extracts and not detected in unsaponifiable matters.

  • PDF

한국산 식물식용유지의 성분에 관한 연구 - 제 5 보- :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에 의한 참깨와 들깨종자중의 지방산 분석 -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Korean Edible Oils and Fats - Part 5 : Analysis of Fatty acids in sesame and perilla oil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황성자;고영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5권1호
    • /
    • pp.15-21
    • /
    • 1982
  • In this work, the quantitative estimation of fatty acids in sesame and perilla oil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was investigated. The analysis of fatty acids were separated by HPLC using a differential refractometer as a detector. With micro Bondapak $C_{18}FFAA$ column and acetonitril, chloroform and tetrahydrofuran mixture as a solvent.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s, sesame oil was composed mainly of linoleic and oleic acids 49.6 % and 34.7%. In perilla oil, the amounts of oleic, linoleic and linolenic acids were 13.6%, 14.5% and 63.8%, respectively.

  • PDF

한국산 식물식용유지의 성분에 관한 연구 - 제 6 보 : 참깨와 들깨종자유 중의 천연산화방지제에 관한 연구 -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Korean Edible Oils and Fats - Part 6 : A Study on the Natural Antioxidants of sesame and perilla seeds -)

  • 황성자;고영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5권1호
    • /
    • pp.30-38
    • /
    • 1982
  •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compare the natural antioxidants in the acetonitril extracts of raw and baked seeds of Korean sesame and perilla by thin layer and gas chromatography. The sample was dissolved in n-pentane and extracted with acetonitril and the acetonitril extract was separated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using silica gel. The spots were detected by spraying with 2, 6 -dichloroquinone -4-chlorimide, phosphomolybdic acid and dimethylamine as chromogenic reagents. Natural antioxidant, such as ${\delta}-tocopherol$ detected in raw and baked sesame and perilla seed oil by TLC and sesamol was detected only in raw and baked sesame seed oil by GC.

  • PDF

한국산 식물식용유지의 성분에 관한 연구 -제 7 보-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흰깨 검은개 들깨중의 아미노산 조성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Korean Edible Oils and Fats -Part 7- Amino Acid Composition of white Sesame, Black Sesame and Perilla Se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김혜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9권3호
    • /
    • pp.190-198
    • /
    • 1986
  • The result of the analytical experimental by HPLC on amino acid which is contained in such samples as white-raw-sesame, white-roast -seasame, black -raw -sesame, black-roast-sesame, raw-perilla seed and roast-perilla seed is as follows ; In the six smaples, the amino acid contents in raw seeds were all higher than those in roasted seeds, and the contents of alutamic acid and lysine were more reduced in roasted seeds than in raw seeds. All the amino acid contents except threoninewere highest in raw perilla seed. The amino acids which the six samples contain to a higher degree were in order of glutamic acid (18 %-21%), threonine(16%-19%), glycine (8%-9%), leucine(77.5%), aspartic acid (7%-7.4%), while methinine (1-2%) was contained least in all six samples followed by Isoleucine(3%).

  • PDF

우리나라 식용유지방산 자원식물의 단백질 , 유분함량 및 지방산 조성 (Protain , Oil Content and Fatty Acids in Edible Oil Crop in Korea)

  • 이상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23-233
    • /
    • 1989
  • Recently, researches on oil crops Ln Korea were breeding on edible oil crops such as rapeseed sesame, peanut , periLla.Numerous varieties were released as a result of ective breedingworks on edible oil crops, that is 7 rape varieties including Yu-dal, Mokpo-11, Yongdang, Nozeogchae, Naehan, Yeongsanyuchae and Ch-eongpungyuchae (hybrid),5 varieties sesame including Suweon-5,9,21,Kwangsan99ae and Dabaekggae, 5 peanut varieties including Seodun-tangkonT,Yeonghotangkong, 01tankong , ShinpungtanTkong and SaedI-tanGkong, 3 periLLa varietLes including Daegu, Suweon8 and 10,res-pectively. This varietLes showed a good oil quality with high o-Leic and LinoLeic acids content, but periLLa oil seemed to be un-suitable for a edible use, since about 53 Percent of Its fatty a-cids was in the from of unsaturated LinoLenic acid.

  • PDF

공액리놀레산 함유 디글리세라이드 식용유지 조성물의 rat에 대한 단회 경구투여독성 및 항비만 효과 (Acute Oral Toxicity and Anti-obesity Effect of Diglyceride Preparation Containing Conjugated Linoleic Acid in Rat)

  • 홍순기;박채규;이미자;정신교;이영호;현선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20-325
    • /
    • 2009
  • 단회 경구 투여 독성 평가를 위해 암 수 rat을 이용하여 시험물질 2,000 mg/kg과 5,000 mg/kg을 투여한 후 14일 동안 관찰한 결과, 투여에 기인한 사망례 및 체중변화, 특이한 일반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암컷 대조군 및 시험물질 2,000 mg/kg 투여군에서 투여 1일에 연변외 점액변이 관찰되었으나, 이는 투여에 기인한 일시적인 변화로 사료된다. 투여 2일부터는 암컷 대조군과 시험물질 투여군에서 특이한 일반증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부검 시 암컷 대조군 및 암 수 시험물질 투여군에서 투여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는 육안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수컷 대조군 1례의 부검결과, 부고환, 정낭 및 양측 고환에서 소형 소견 관찰되어,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실시한 결과, 부고환, 정낭 및 고환의 위축 소견이 관찰되었으나, 이는 자연 발생적인 소견으로 사료된다. 이상으로 공액리놀렌산이 함유된 디글리세라이드 식용유지 조성물을 rat에 단회 경구투여한 결과, $LD_50$값이 rat kg당 5,000 mg 이상으로 판단되며, 단회 경구 투여에 대한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항비만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obese Zucker rat에 saline, soybean oil, DG, DG+CLA를 8주간 투여한 후 효과를 비교하였다. 체중변화의 경우 DG+CLA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투여 후 3주째부터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체중 감소를 나타냈다. 1일 식이효율측정의 결과, soybean oil, DG 및 DG+CLA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1일 식이 효율의 증가를 나타냈다. 혈중지질분석의 결과, 총콜레스테롤 수치에서 soybean oil, DG 및 DG+CLA 투여군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총콜레스테롤 함량이 감소되었으며, 중성지방 수치는 soybean oil 및 DG 투여군에서만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다. 지방조직무게 측정 결과, DG+CLA 투여군은 신장주위지방무게를 제외한 부고 환주위지방, 갈색지방 및 내장지방무게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지방조직무게가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obese Zucker rat에 대한 5 mL/kg의 DG+CLA 경구투여는 CLA의 주요 이성질체인 c9, t11-CLA와 t10, c12-CLA가 hormone sensitive lipase와 carnitine palmitoyl transferase의 활성을 증가시켜 지방 분해를 촉진시켜 체내 지방의 축적을 막으며, 중성지방 콜레스테롤과 같은 지질 대사에 영향을 주어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