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용유지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22초

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한 식물성 유지의 지방산의 정량 정성 및 산화안전성 평가

  • 박남영;조희정;전진영;김진숙;이지영;이치호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4년도 제34차 추계 국제 학술대회
    • /
    • pp.416-42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식용으로 많이 쓰이는 식물성 유지인 콩기름, 올리브유, 고추씨기름을 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해 각 유지별 지방산의 정성, 정량하였으며 이들 유지의 산화 안정성 평가를 위하여 산화적 반응의 기작의 생성물인 휘발성 분해 산물인 Pentanal 생성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1. Soybean oil의 지방산 조성은 불포화 지방산은 87.79%, 포화지방산은 12.21%를 차지했으며 Olive oil의 지방산 조성은 불포화 지방산은 82.77%, 포화지방산은 17.23%를 차지했다. Hot pepper oil의 지방산 조성은 불포화 지방산은 85.42%, 포화지방산은 14.58%를 차지했다. 2. 콩기름, 올리브기름, 고추씨기름의 pentane의 함량은 43.4, 30.4, 19.7nL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고추씨기름이 다른 유지에 비해 산화에 대하여 안정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실험에 선택된 콩기름, 올리브유, 고추씨기름에는 포화 지방산보다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었고, 특히 체내에서 합성이 불가능해 식품으로 섭취해야만 하는 필수 지방산의 함량이 높아 체내 생체 활동에 유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산패도 비교 평가에서는 hot pepper seed oil이 olive oil이나 soybean oil보다 낮은 산패도를 나타내어 다른 유지보다 산화 안정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n Vitro Digestion에서 팜핵경화유와 시어버터 혼합 비율에 따른 가수분해율 변화 (Change of Hydrolysis Rate on Hydrogenated Palm Kernel Oil and Shea Butter Blendings Using In Vitro Digestion System)

  • 이현화;신정아;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0호
    • /
    • pp.1205-1215
    • /
    • 2017
  • 본 실험은 가공식품에서 폭넓게 이용되고 있는 식용유지인 hydrogenated palm kernel oil(HPKO)과 대칭형 triacylglycerol(TAG)로 주로 구성된 shea butter 및 두 유지의 blends를 대상으로 가수분해율을 비교하여 어떤 특성이 가수분해율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녹는 온도가 서로 유사한 HPKO와 shea butter의 blending 비율을 다르게 할 경우 in vitro digestion에 의한 가수분해율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Shea butter의 complete melting point는 $34.5^{\circ}C$였으며, HPKO는 $39.5^{\circ}C$였다. In vitro digestion 실험 결과 shea butter blending 비율이 높아질수록 가수분해율이 낮아졌으며 2:8, 1:9(HPKO : shea butter) blending 유지는 shea butter와 비슷한 가수분해율을 보였다. HPKO에서 유래된 medium chain triacylglycerol(MCT)로 이뤄진 medium-medium-medium(MMM)은 가수분해율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shea butter에서 유래하는 long chain fatty acid로 구성된 saturated-unsaturated-saturated(SUS)나 saturated-saturated-unsaturated(SSU)는 유지의 가수분해와 음의 상관관계를 가졌다. 또한, HPKO에서 유래된 lauric acid, myristic acid와 palmitic acid는 TAG 내 위치에 상관없이 함량이 높아질수록 가수분해율이 높아졌으며, shea butter에서 유래되고 비교적 탄소수가 긴 oleic acid의 경우 분포되는 위치에 상관없이 유지 내 함량이 많을수록 가수분해율이 낮아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반면 stearic acid의 경우에는 sn-1, 3에 위치한 함량에 따라 가수분해가 저해되는 경향을 보였다. 인체 내에서의 소화 과정은 매우 복잡하고 많은 요인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단편적으로 어떤 유지 특성들이 가수분해율에 영향을 미치는지 단언할 수 없다. 그런데도 본 실험에서의 결과는 난 소화성 유지 개발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고, 식품 산업에 이용될 때 영양학적으로 유익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레토르트 파우치 해조면의 품질안정화를 위한 최적살균조건

  • 이용우;염동민;여생규;이동호;김동수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36-137
    • /
    • 2001
  • 젤리형 해조면류의 유통 및 저장 중에 면가락이 건조되거나 동결하였을 경우 수분이 조직으로부터 분리되어 면의 굵기가 가늘어지면서 딱딱해져 식용하기에 부적당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포장을 할 때 적당량의 보존수를 첨가하여 저온 유통을 하여야 한다. 보존수의 첨가 후 저온 유통이 잘 유지될 경우에는 저장 6개월까지는 품질안정성에 문제는 없다. (중략)

  • PDF

커피찌꺼기로부터 오일 추출 및 바이오디젤 생산 연구 (Coffee Grounds Oil Extraction and Bio-diesel Production Study)

  • 김덕근;김성민;최병윤;박순철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250.1-250.1
    • /
    • 2010
  • 최근 석유공급 불안정성과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한 수단으로 바이오연료의 공급이 전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바이오디젤의 보급 활성화는 식물성 기름의 가격 상승과 수급 불안정 문제, 그리고 식량자원과의 충돌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국내 바이오디젤 생산 원료로 사용되는 대두, 유채, 해바라기, 팜 등은 모두 식용시장과 수급 균형을 형성하고 있어 바이오디젤의 생산이 증가하게 되면 식용 오일 시장의 수급균형이 깨져 오일곡물 가격의 변동을 초래하게 될 것이다. 과거에는 수거비용을 들여 폐기하던 폐식용유 마저 이제는 돈을 주고 구입해야하는 실정에 다다랐다. 바이오디젤 생산비의 70~80%를 차지하는 원료유의 부족 현상에 따라 바이오디젤 업계에서는 soapstock, trapped grease, 폐식용유 등의 저급유지 활용 방안을 강구하고 있으며 자트로파와 같은 비식용 작물의 해외플랜테이션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커피찌거기에 남아 있는 오일을 속슬렛추출장치를 이용해 추출하고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을 수행하여 반응 특성과 커피오일 바이오디젤의 지방산 조성을 알아보고 바이오디젤 원료유로서의 사용가능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석유에테르를 용매로 속슬렛 추출장치를 이용해 추출시 원료대비 약 17%(w/w)의 오일을 추출할 수 있었다. 추출된 오일의 산가는 18.79mgKOH/g으로 매우 높아 직접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이 불가능하다. 고체 산 촉매 하에서 전처리 반응을 실시하여 유리지방산을 전환 제거한 후 염기촉매를 이용해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한 결과 약 80%의 바이오디젤(FAME) 함량을 얻을 수 있었다.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 리놀레익산(Linoleic acid, C18:2), 올레익산(Oleic acid, C18:1), 팔미틱산(Palmitic acid, C16:0)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이 중에서도 리놀레익산이 44.17%로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다. 이는 커피찌꺼기 추출 오일이 바이오디젤 원료유로 활용 가능성을 나타내는 결과로, 색소성분 등의 불순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증류정제 전단계에서의 바이오디젤 순도와 생산 수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뽕나무 오디를 이용한 cyanidin-3-glucoside 함유 천연식용색소 개발 (The Development of Natural Pigment with Mulberry Fruit as a Food Additive)

  • 김현복;김선림;고성혁;석영식;김용순;성규병;강필돈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18-22
    • /
    • 2011
  • 뽕나무 오디함유 천연색소 C3G의 식용색소화 및 안정생산을 위한 최적 전처리 조건은 0.1 % citric acid-70% EtOH로서 오디로부터 제조한 순수 오디색소 분말의 수율은 8%이었다. 실제 농가에서 오디 색소 추출시 추출 시간 및 제조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추출 방법을 개발하였다. 오디색소 추출시 품종의 선택이 중요하므로 C3G 함량이 높은 품종을 선택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오디 색소 분말은 알코올, 물 및 밀가루 등 식품 재료나 가공방법에 상관없이 적색소의 특성이 유지되므로 다양한 식품에 적용하여 고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 식용유지 산업의 발자취 (History of edible oils and fats industry in Korea)

  • 신효선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0권4호
    • /
    • pp.65-81
    • /
    • 2017
  • In Korea, sesame oil has been used as a flavor source mainly by edible oil since ancient times, and it has been used by domestic screw pressing. In the 1960's, the demand for edible oils and fats increased significantly due to the improvement of national income and changes in food consumption patterns. In the early 1970's, a few edible oil manufacturing companies with modern solvent extraction and refining plants were established. In Korea, edible oil manufacturers account for more than 85% of employees with 50 or fewer employees. In Korea, there is a very shortage of raw materials for edible oils and fats, domestic production of edible oil is decreasing year by year and import volume is continuously increasing. While importing the edible oil bearing ingredients including soybean and extracted oil in the past, recently mainly imports crude oil and refines it in Korea. Soybean oil, palm oil and tallow account for 70~90% of total imported edible oils. Due to the recent well-being trend, the demand for olive, canola and grapeseed oils as household edible oil has increased and the production of blended oil has been greatly increased. Since the late 1980's, people have recognized edible oil and fat as a food instead of seasoning ingredient and have increased their edible oil and fat intake in Korea. Since the early 2000's, refined oil and fat products produced in Korea have been exported and is increasing every year.

음양곽 추출물 중의 항산화성분의 분리 및 성질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nt Components in Epimedium koreanum NAKAI extract)

  • 김성렬;김진환;김승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535-540
    • /
    • 1992
  • 음양곽(Epimedium koreanum N.)의 methanol 추출물을 각종 식용유지에 첨가하여 $75^{\circ}C$에서 저장하면서 과산화물가의 변화를 측정하므로서 항산화성을 검토하였던 바 유지의 종류에 따라 효력에 차이를 나타내었고 lard와 corn oil에 대한 항산화 효과가 인정되었으며, 특히 lard에 대하여는 항산화 효과가 켰으며 첨가농도에 따라 효과가 증대되었다. 음양곽 추출물을 $180^{\circ}C$에서 120분간 가열하였을 때에도 66% 이상의 항산화성이 잔존하였으나 대두유에 첨가하여 광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자외선 조사에 의하여 급격히 산화가 촉진되었다. 음양곽 methanol 추출물 중의 유효 항산화 성분은 tocopherol류와 flavonoid류로 추정되었으며 ${\alpha}$, ${\beta}$, ${\gamma}$ and ${\delta}-tocopherol$의 함량은 각각 21.61, 1.48, 5.50 및 3.75 mg%이었다.

  • PDF

칡뿌리의 항산화 성분 (Anitoxidative components of pueraria root)

  • 오만진;이가순;손화영;김성렬
    • 농업과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52-64
    • /
    • 1990
  • 식물체로부터 유용한 천연항산화제를 검색코저 갈근 중의 항산화성분을 추출하여 silica gel column chromagography, TLC, HPLC로 분리동정한 후 가장 항산화능이 강한 성분을 IR 및 GC-MS로 확인하고 항산화성분을 수종의 유지에 첨가하여 그 항산화 효과를 검토하였다. 갈근 분말로부터 4단계의 용매 추출에 의하여 얻어진 추출물의 수율은 2.54%이였고 linoleic acid기질에 대하여 0.1% 첨가하였을 때 ${\delta}$-tocopherol 100 ppm 첨가구와 비슷한 항산화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갈근 중에 가장 강한 항산화성분은 puerarin으로 확인 동정되었다. 돈지에 대하여 puerarin의 항산화효과는 ${\delta}$-tocopherol 보다 강하였고 ${\delta}$-tocopherol 보다 약하였다. 또한 식용유지에 puerarin을 100 ppm 농도로 첨가하여 $145^{\circ}C$에서 가열처리 하였을 때 산가의 측정에 의한 항산화효과는 대두유에서 가장 낮았고 돈지에서 가장 높았으며 Co.value TBA value, anisidine value의 측정에 의한 항산화효과는 팝유에서 가장 높았으며 대두유, 면실유에서는 거의 인정되지 않았다.

  • PDF

제주 자원식물의 잠재적 가치

  • 정용환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0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4-4
    • /
    • 2010
  • 식물자원은 예로부터 인류의 생활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인류에게 삶의 터전을 제공하였으며 쾌적한 환경을 유지시켜 주는 기반이 되었음은 물론 인류의 생존을 위한 많은 재화를 공급하여 왔다. 이러한 식물자원의 가치는 인간생활의 기초적 의 식 주 뿐 만 아니라 질병치료를 위한 재료로도 활용되고 있다. 제주도는 지리적으로 아열대권 생물자원의 확보 및 관리가 용이한 위치에 있어 아열대 자원 및 동북아섬 자원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전진기지로서 최적지이며, 난대, 온대, 한대 및 아고산대에 걸쳐 2,100여종의 식물자원이 분포하는 생태계 보고로 알려져 있다. 특히, 진시황이 불로초를 찾아 신하를 보낸 곳이 제주도라고 전해지고 있는 만큼 이는 제주가 많은 자원식물이 분포하고 있음이 그 옛날에도 알려져 있었다는 증거라 할 수 있다. 제주에 분포하거나 재배되는 식물 중 약용 및 식용 식물자원으로 잠재적 가치를 갖고 있는 식물은 550여 분류군으로서, 양치식물 43종류, 나자식물 6종류, 단자엽식물 31종류, 쌍자엽식물 370종류 등이다. 이러한 자원식물 중 상록성 목본 31종류, 낙엽수 105종류, 만경류가 51종류, 초본류(1년초 또는 다년초)가 358종류이며, 뱀톱, 천남성, 박새 등 독성을 가지는 식물도 43종류가 포함되어 있다. 비록 기존 알려진 약용 및 식용 식물자원이 산업적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고는 하나 그 약효나 효능의 검정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나머지 자생식물까지 포함하면 상당수의 제주 자생식물이 자원식물로 사용될 수 있는 잠재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삶의 질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집중하고 있으며, 자원식물 유래 천연물을 소재로 한 향장품 및 건강기능성 식 의약품을 포함한 기능성 상품은 안전성이 보장되며 우수한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자원식물을 소재로 한 기능성 상품의 개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지역도 청정지역 제주에 자생하고 있는 자원식물의 잠재적 가치를 활용하여 미래 제주 창출을 위한 신산업육성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제주 자원식물들의 잠재적 가치를 활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건강 뷰티 생물산업을 지역전략산업으로 추진하면서 제주 자원식물들의 새로운 잠재적 가치를 조명하고 있어 이에 대한 지역내 추진노력 및 관련 산업현황 등을 정리하여 몇가지 견해를 제기하고자 한다.

  • PDF

식용유지의 가열시 와송 추출물이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song(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Extract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Edible Oil During its Heating)

  • 이수정;신정혜;서종권;성낙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2-18
    • /
    • 2009
  •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된 와송의 열수추출물을 대두유 및 돈지에 0.1, 0.5 및 1.0 g/100 mL의 농도로 첨가하고 $180^{\circ}C$에서 가열하는 동안 유지의 산화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유지의 색도는 가열시간이 경과될수록 증가되었으며, HWE 첨가구에서 색도가 다소 높았다. 아니시딘가는 가열시간이 경과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48시간 가열 후 0.5 및 1.0 g/100 mL의 HWE 첨가구, 1.0 g/100 mL의 FWE 첨가구를 제외하면 모든 실험구에서 대조구보다 낮았다. 돈지에서는 시료의 첨가량에 관계없이 모든 실험구에서 대조구보다 낮았다. 산가는 가열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대두유에서 시료의 첨가량에 따른 유의차는 없었으며, 가열 48시간 이후 HWE 첨가구가 FWE 첨가구에 비해 다소 낮았다. 과산화물가도 HWE 첨가구가 FWE 첨가구보다 낮았다. TBA가는 대두유에서 가열 24시간 이후에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돈지에서는 가열전기간 동안 대조구보다 낮았다. 따라서 와송 열풍건조시료는 동결건조 시료에 비해 항산화능이 우수하며, 돈지의 가열시 산화안정성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