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생 구조

Search Result 1,02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Development of Vegetation Structure after Forest Fire in the East Coastal Region, Korea (동해안 산불 피해지에서 산불 후 경과 년 수에 따른 식생 구조의 발달)

  • 이규송;정연숙;김석철;신승숙;노찬호;박상덕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7 no.2
    • /
    • pp.99-106
    • /
    • 2004
  • We developed the estimation model for the vegetation developmental processes on the severely burned slope areas after forest fire in the east coastal region, Korea. And we calculated the vegetation indices as a useful parameter for the development of land management technique in the burned area and suggested the changes of the vegetation indices after forest fire. In order to estimate the woody standing biomass in the burned area, allometric equations of the 17 woody species regenerated by sprouter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our results, twenty year after forest fire need for the development to the normal forest formed by 4 stratum structure, tree, sub-tree, shrub and herb layer. The height of top vegetation layer, basal area and standing biomass of woody species show a tendency to increase linearly, and the ground vegetation coverage and litter layer show a tendency to increase logarithmically after forest fire. Among vegetation indices, Ive and Ivcd show a tendency to increase logarithmically, and Hcl and Hcdl show a tendency to increase linearly after forest fire. The spatial variation of the most vegetation factors was observed in the developmental stages less than the first 5 years which were estimated secondary disaster by soil erosion after forest fire. Among vegetation indices, Ivc and Ivcd were the good indices for the representation of the spatial heterogeneity in the earlier developmental stages, and Hcl and Hcdl were the useful indices for the long-term estimation of the vegetation development after forest fire.

Vegetation of Mok-do Island: Its Spatial Distribution and Monitoring for Vegetation Conservation (목도의 식생: 그 보전을 위한 식물군락의 공간분포와 모니터링)

  • Kim, Jong-Won;Jegal, Jae-Cheol;Lee, Byeong-Yeol;Lee, Yul-Gyeong;Mun, Gyeong-Hui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4 no.5
    • /
    • pp.259-265
    • /
    • 2001
  • This paper describes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remnant forest vegetation (Natural Monument No. 65) in the Mok-do island of Ulsan city and its relation to ecological long-term monitoring. Syntaxonomical classification and actual vegetation map were depicted in very fine scale 1:800 for better understanding spatial distribution and vitality of individual trees and communities. A total of 111 species and 13 plant communities occurred on the 19,166 ㎡ area.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of Machilus thunbergii is a representative vegetation type, which covers 37.4% of the island area. Evergreen coniferous forest of Pinus thunbergii covers 18.6% of the island. These two forests occurred at different parts of the island, i.e., the former at the rearward and the later at the frontward of island against marine. 95.7% of trees analysed was determined as critically and absolutely monitored individuals. From a conservation perspective the Mok-do vegetation is extremely vulnerable, which must be long-termly monitored using an assessment of tree vitality and a fine scale map of vegetation.

  • PDF

Introducing multi-layer structure for the better estimation of evapotranspiration (증발산 산정 향상을 위한 다층 구조 도입)

  • Choi, Kwanghun;Paik, Kyungroc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65-65
    • /
    • 2022
  • 울창한 숲에도 어느 정도 햇빛은 들 듯이, 태양복사에너지는 식생의 잎과 흙에 모두 미치며, 그로 인해 증산과 증발이 각각 발생한다. 이러한 사실을 반영하는 것은 현존하는 증발산 산정 방법을 개선하여 더 나은 증발산 추정치를 구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증발 표면을 수직적으로 흙층(soil layer)과 잎층(canopy layer)으로 나눠진 다층 구조로 바라보고, 각 층에서 증발산을 계산하는 방법을 도입했다. 증발 표면을 수직 상에서 구분했기에 각 층의 환경 조건은 그 층을 대표하는 높이에서 관측된 기상자료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식생 활기에 따른 각 층의 복사에너지 유입량과 기공의 여닫힘에 따른 Bowen 비를 통해 식생이 증발산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Fluxnet에서 제공하는 공분산 방법(eddy covariance method)으로 측정한 자료를 참고하여 다층 구조가 실제 증발산 산정에 타당한가를 논했다. 시스템 내 변화는 주어진 조건에서 엔트로피가 최대로 생성되는 방향으로 발생한다는 Maximum Entropy Production (MEP) 이론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증발산 산정법을 통해 각 층의 증발산을 계산했으며, 관측 증발산을 토대로 잎층과 흙층에 유입된 복사에너지의 크기를 비교했다. 결과적으로 잎층에 계산된 복사에너지 흡수능이 낙엽수림의 변화 주기를 잘 반영하는 것을 확인했으며 다층 구조를 도입하는 것이 증발산 산정 향상과 수문-식생 관계를 고려한 증발산 분석에 적절한 접근법임을 보였다.

  • PDF

Analysis of Riparian Vegetation for the Location Character-Focus on Relationship between Microtopographical Feature and Soil Character- (하반 식생의 입지 적정성 분석-미지형 토양환경을 중심으로-)

  • 안홍규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5 no.2
    • /
    • pp.193-200
    • /
    • 2001
  • 본 연구는 하반식생이 일정 지역에 정착할 때 밀접하게 관여하는 토양환경에 주목하였으며, 특히 하반 미지형 이라는 특수 지역에서 생각할수 있는 미지형 형성의 토양구조와 하반미지형이 식물에 미치는 토양수분, 그리고 식생과의 관계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결과 각 미지형마다 그 퇴적상태가 다르며 이에따라 하반식생도 달리 나타났다. 또한 모두 조사구에 서 모래층 밑에는 반드시 자갈층의 단계를 반복하고 있는데 이는 반복된 과거의 홍수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미지형을 고려한 식생을 도입하여야 하며, 토양수분과 지라수위와 식생과의 관계는 하천마다 다르므로 현지 지형에 맞는 식생 도입이 요구된다. 앞으로 보다 지속적, 장기적 현장조사와 하천 수문, 수리학적 data의 축정에 따른 하반식생과 입지환경요인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의 축적이 필요하며, 이에 기초한 식생호안공법의 개발이 향후과제라 할 수 있다.

  • PDF

Improvement of Two-Layer Model for Open-Channel Flows with Submerged Vegetation (침수식생 개수로 흐름에 관한 2층모형의 개선)

  • Choi, Sung-Uk;Jang, Ji-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41-241
    • /
    • 2011
  • 일반적으로 식생흐름의 층 적분 모형은 층의 수에 따라 2층 및 3층 모형으로 구분한다. 즉, 전체 수심을 식생영역과 상부영역으로 구분하는 2층 모형과 식생영역을 바닥 조도의 영향 유무에 따라 내부 및 외부 식생영역으로 구분하는 3층 모형으로 나뉜다. 본 연구에 사용된 수리실험 자료는 기존의 연세대학교에서 수행한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각 모형의 정확성을 예측해 보았다. 다양한 실험조건에 적용한 결과, 3층 모형이 식생영역에서 유속의 변화를 고려할 수 있지만 레이놀즈응력의 영향에 민감하고, 적분된 유속은 2층 모형에 의한 예측 결과가 더욱 정확하였다. 3층 모형에서는 내부 식생영역의 결과는 전체흐름구조에 미미한 영향을 미치므로 무시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식생영역에서 유속 변화가 고려되는 수정 2층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2층 모형과 3층 모형의 장점을 취합하여 수정된 2층 모형의 방정식을 바탕으로 모형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2층 모형, 3층 모형, 수정 2층 모형의 유속 분포를 비교 분석하여 모형을 검증하였다.

  • PDF

Assessment of Site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Structure of Forest Vegetation in Naejang-san National Park Using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정준상관분석을 통한 내장산국립공원 산림식생구조의 입지환경 평가)

  • Kim, Tae-Geun;Cho, Young-Hwan;Oh, Jang-Geu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6 no.4
    • /
    • pp.561-569
    • /
    • 2013
  • This study examines locational environment factors that may affect the vegetation structure in the forests of Naejang National Park. To that end, we selected LAI (Leaf Area Index), diameter at breast height, and tree height as structural variables as well as altitude above sea level, gradient, slope direction, soil moisture, topographic location, and amount of solar radiation as locational environment factors, using the method of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in order to find out correlation between them. As to the simple correlation between the locational environment factors and structural variable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relatively low (0.6). The values of LAI, measured along the ridge with higher altitudes, decreased as the soil moisture and solar radiation increased. However, LAI increased as the gradient increased and the slope direction faced the north (farther from the east). In respect of the diameter at breast height, the diameter decreased as the altitude and gradient increased. But the diameter increased as the moisture and solar radiation increased. The tree height decreased as the moisture increased and the site was closer to the ridge. These various correlations show a variety of locational environment factors in the national park, implying that the structural variables are affected by complex locational environment factors. This study conducted a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on locational environment factors which may affect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the result showed that LAI increased and tree height & diameter at breast height decreased as the solar radiation & moisture decreased and altitude increased. Although more factors that may affect vegetation structure (e.g. climate)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vegetation structure, which can adapt to more unfavorable conditions in terms of solar radiation, moisture, and higher altitudes, could be inferred in a statistical way. The results of this study, especially the locational environment factors based on DEM, can be used for assessing diversity of vegetation structure in a forest and for monitoring the structure in a national park on a regular basis so as to establish more effective maintenance plans of a park.

Planting Managements for Improvement of Species Diversity in Recreational Forest - A Case Study of Chukryongsan Recreational Forest, Gyeonggi-do - (자연휴양림의 종다양성 증진을 위한 식생관리 방안 연구 - 경기도 축령산자연휴양림을 사례로 -)

  • Lee, Tae-Sun;Lee, Kyong-Jae;Choi, Byuong-Un;Park, Seok-Cheol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4 no.4
    • /
    • pp.351-362
    • /
    • 2010
  • This study was supposed to offer vegetation plans for functional improvement of the recreational forest by researching Mt. Chukryong which is located at Oebang-li Sudong-Myon Namyangju Kyong-gi Province in Korea. In this study, artificial vegetation and natural vegetation near trails in recreational forest were researched through biodiversity analysis. From this analysis process, a typical management improvement of the biodiversity functions were examined by reviewing functions biotope condition, vegetation structure and wild bird community condition. Typical vegetation system was divided into four detail parts: Managed artificial Pinus koraiensis forest, Not managed artificial Pinus koraiensis forest, Natural deciduous forest and Not managed deciduous forest. As a result of the vegetation structure, the numerical value of the deciduous forest species diversity was higher than that of artificial Pinus koraiensis, and the numerical value of the managed condition was higher than that of not managed condition. As a result of a habitat structure analysis of the wild bird community, managed Pinus koraiensis forests were inadequate structure for wild birds to habit in there because the forests had weak structure layers, but unmanaged deciduous forest and unmanaged Pinus koraiensis that had diverse layers was proper places for birds to in habit. Thus, based on the functional analysis of biodiversity, management patterns of the target area were concluded in two manners: conserving management and restoring management. Deciduous forest protection target areas included natural deciduous forest area and managed deciduous forest area, ecological restoration target area included unmanaged artificial Pinus koraiensis area and restoring management target area includes managed artificial Pinus koraiensis.

Reconfiguration of Physical Structure of Vegetation by Voxelization Based on 3D Point Clouds (3차원 포인트 클라우드 기반 복셀화에 의한 식생의 물리적 구조 재구현)

  • Ahn, Myeonghui;Jang, Eun-kyung;Bae, Inhyeok;Ji, 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0 no.6
    • /
    • pp.571-581
    • /
    • 2020
  • Vegetation affects water level change and flow resistance in rivers and impacts waterway ecosystems as a whol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have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species, shape, and size of any river vegetation. However, it is not easy to collect full vegetation data on-site, so recent studies have attempted to obtain large amounts of vegetation data using terrestrial laser scanning (TLS). Also, due to the complex shape of vegetation, it is not easy to obtain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canopy area, and there are limitations due to a complex range of variables. Therefore, the physical structure of vegetation was analyzed in this study by reconfiguring high-resolution point cloud data collected through 3-dimensional terrestrial laser scanning (3D TLS) in a voxel. Each physical structure was analyzed under three different conditions: a simple vegetation formation without leaves, a complete formation with leaves, and a patch-scale vegetation formation. In the raw data, the outlier and unnecessary data were filtered and removed by Statistical Outlier Removal (SOR), resulting in 17%, 26%, and 25% of data being removed, respectively. Also, vegetation volume by voxel size was reconfigured from post-processed point clouds and compared with vegetation volume;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margin of error was 8%, 25%, and 63% for each condition, respectively. The larger the size of the target sample, the larger the error. The vegetation surface looked visually similar when resizing the voxel; however, the volume of the entire vegetation was susceptible to error.

Improvement of River Revetment in Kangwon (강원도 하천호안공법 개선방안)

  • Park, Sang-Deog;Choi, Han-Kyu;Choi, Jong-In;Choi, Heung-Sik;Hong, Jong-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485-490
    • /
    • 2009
  • 강원도의 약 89%가 산지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강원지역 주민의 거주지는 대부분 홍수 피해를 강하게 받는 계곡이나 하천변에 잡고 있으며 매년 반복되는 홍수의 피해 위험이 높다. 따라서 홍수 시 생활공간을 보호하기 위한 제방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은 강원도의 하천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점이다. 호안공법은 일반적으로 하천의 생태계나 경관적인 측면에서 부정적인 경우가 많은 인공시설물이기 때문에 최근에는 자연과 어울리는 친자연형 호안공법을 추구한다. 본 연구는 강원도 내 1개 국가하천 6개 지점, 214개 지방하천 2,760개 지점에 대한 하천 호안공법의 종류, 식생상태, 하천특성, 호안파괴 특성 등을 조사하고 하천호안공법 적용 하천특성과 호안공법, 식생 등의 관계를 분석하여 강원도형 호안공법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강원도에 설치된 호안공법은 망태형, 붙임형, 블록형, 쌓기형, 옹벽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영동지역은 망태형 25%, 옹벽형 20.1.%, 블록형 18.3%를 차지하고 있으나 영서지역 하천은 쌓기형 32.9%, 망태형 19.2%, 옹벽형 16.6%를 나타내고 있다. 두 지역에서 옹벽이 16%이상을 차지하는 것은 하천경사가 급하고 만곡 수충부가 많아 홍수 시 구조적인 안정성이 큰 옹벽을 통한 호안보호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옹벽을 제외하면 하천평면이 호안공법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오히려 하천경사나 하천재료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호안파괴의 원인은 홍수 시 하상의 세굴이다. 그러나 옹벽호안은 국부적인 하상세굴에도 콘크리트 구조특성으로 쉽게 파괴되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보 하류지점에 설치된 돌망태 호안은 하상저하와 보에 의한 유향변동으로 발생된 강한 수충현상에 의해 파괴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호안의 식생 활착은 블록형, 망태형, 쌓기형 호안의 순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망태형이나 쌓기형 호안은 영동지역보다는 영서지역에서 높은 식생 피복도를 나타냈으며, 이는 하천의 경사와 호안의 침수빈도와 관계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식생블록형 호안은 지역 구분 없이 식생피복도가 높고 하천경사나 재료특성에도 불구하고 강원도의 하천호안공법으로 우수한 기능을 한다. 시급히 식생을 도입하고자 하는 경우 식생블록형 호안이 추천되며 호안공의 안정성과 식생의 다양성 측면에서는 망태형 호안공법이 추천된다.

  • PDF

Numerical simulations of vortex development behind a circular patchof vegetation patch (원형식생 하류의 와류발달 수치모의)

  • Kim, Hyung Suk;Park, Moon 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95-395
    • /
    • 2015
  • 하천 내 식생은 수리학, 지형학 및 생태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식생은 하천 수생물들의 서식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필터와 같은 역할을 함으로써 부유사에 의한 하천오염물의 퇴적을 유발하여 하천의 수질을 개선시킨다. 더욱이, 하천 내 흐름 및 난류구조를 변경시킴으로써 식생주변의 유사 퇴적량 및 분포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결국 하천의 지형을 변화시킨다. 개수로의 식생에 대한 영향은 주로 실험 및 수치모델을 이용하여 연구되었고 전단면이 식재된 조건에서 식생의 항력계수, 식생역내의 부유사 및 확산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식생역 내의 전단력이 감소하여 부유사퇴적이 증가하고 식생역과 비식생역 사이의 운동량 교환에 의해 부유사 퇴적이 증가함을 보였다. 그러나 개수로에서 존재하는 유한한 크기의 식생에 의한 흐름 및 유사분포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침수하지 않은 원형 식생 주변에서 발생하는 흐름특성을 수치모의 하였다. 침수하지 않은 원형식생 하류에서 발생하는 흐름을 계산하기 위해 2차원 수치모형을 적용하였다. 식생에 의한 저항을 고려하기 위해 운동량 방정식에 식생항을 추가하였고 $k-{\varepsilon}$ 난류모형을 적용하였다. 수치모의 조건은 Zong and Nepf (2012)의 수리실험을 참고하여 수로의 길이는 12 m, 폭은 1.2 m로 설정하였다. 0.13 m 수심을 갖는 개수로에 0.22 m 지름을 갖는 원형식생을 상류경계로부터 1.0 m 떨어진 곳에 설정하였다. 식생의 밀도($6{\sim}77m^{-1}$)를 변화시키면서 원형식생 하류의 흐름거동을 분석하였다. 식생밀도가 높은 경우에는 원형식생 양 측면에서 유발된 전단층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하류에서 와류가 발생하였다. 와류가 발생하는 위치에서 난류강도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식생밀도가 일정 값보다 낮아지면 와류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