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물 고사

Search Result 30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Monitoring on Regenerated Process of Natural Vegetation Using Recycling Eco-Revegetation Technique -A Case Study for the Rear-slope of Jangheung Multi-purpose Dam- (리싸이클링에코녹화공법을 이용한 자연식생 재현 모니터링 -장흥다목적댐 배면부를 대상으로-)

  • Kim, Sung-Hyun;Oh, Koo-Kyo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0 no.1
    • /
    • pp.1-8
    • /
    • 200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monitor the regenerated process of natural vegetation on the rear-slope of Jangheung multi-purpose dam using the recycling eco-revegetation technique. The monitoring plots were established in May 2004 and the plots were monitored in May 2004 and October 2005. Flora, plant community structures, naturally introduced plants, death rates were monitored. The change of flora after wood chip mulching decreased in family and species, but the influence of vine tree was extended. The urbanization index declined. Naturally introduced species and death ratios at the monitoring plot had a tendency to a higher increase in the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Effects of Lichen Colonization of Dirinaria applanata on the Death of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철쭉나무(Rhododendron schlippenbachii)에 대한 엽상 지의류 Dirinaria applanata의 병원성 조사)

  • Oh, Soon-Ok;Koh, Young-Jin;Hur, Jae-Seoun
    • Research in Plant Disease
    • /
    • v.13 no.1
    • /
    • pp.34-39
    • /
    • 2007
  • Lichen thalli of Dirinaria applanata heavily colonized on the twigs of dead or dying Rhododendron trees in Solok island, Jeonnam province in Korea. Pathogenesis of the lichen on the trees was investigated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lichen as a causal agent. Histological examination of the lichen colonized twigs was attempted with differential staining technique. Lichen-forming fungus colonized only on the surface of bark and there was no direct penetration of fungal hyphae into the plant tissues. Symbiotic algae of the lichen was also examined. The isolated algal cells were inoculated on artificially induced wounds of the healthy trees. Histological examination of the inoculated tissues showed that some algal cells were successfully colonized inside the tissues without any pathogenic symptoms, even 2 months later, The extract of the lichen thalli was also examined using 10% of DMSO solution. Treated tissues showed no pathogenic symptoms, even 4 weeks later.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lichen wa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death of the trees.

Impact Assessment on the Forest Systems of the Korean Peninsula due to the Global Warming (지구온난화로 인한 한반도 삼림의 영향 평가)

  • Jung, Hui-Cheul;Jeon, Seong-Woo;Lee, Dong-K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5 no.5
    • /
    • pp.1-10
    • /
    • 2002
  • 우리나라의 기후변화연구에서 삼림생태계의 영향과 적응은 가장 중요한 관심사중 하나이다. 지리적 위치와 통일문제 등을 고려할 때, 한반도는 역동적인 개발이 이루어질 지역이며 인구와 경제적 상황의 변화로 삼림 생태계에 급격한 변화가 예상된다. 기후변화의 영향은 이러한 상황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IS92a 시나리오의 GCMs(General Circulation Models)결과들을 이용하여 가능한 기온 증가 범위내에서 삼림생태계의 변화를 예측하였다. 변화를 추정하기 위해 AIM/Impact[Korea](the Asian-Pacific Integrated Model) 모형을 이용하여 시기별 Holdridge 생물기후대를 예측하고 목본식물의 이동속도를 고려한 지역삼림의 영향 및 적응 패턴을 분석하여 생태계 변화로 인한 경제적 가치 손실액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목본식물의 추정 평균이동속도 0.25km/년의 경우, 한반도에서 삼림소실지역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인위적 개입이 없는 경우 고사의 위험이 높은 지역은 남한의 경우 남한 총면적의 14%를 차지하였고, 북한은 18%정도의 면적이 고사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 고사위험지역의 80%는 난온대림 지역으로 주로 남해일원과 전라도 서해안에서 발생하며, 북한은 고사위험지역의 대부분이 냉온대림지역으로 주로 평안도 내륙지역과 중국 접경지경, 함경남도의 영흥만 북부에서 나타났다. 2) 목본식물의 이동속도 변화에 따라 남한은 매년 0~976백만불, 북한은 0~2,492백만불 범위의 경제적 가치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목본식물의 추정 평균이동속도가 0.25km/년일 경우, 한반도 전체의 가치손실액은 매년 3,471백만불에 달했으며, 남한의 경우 목본식물의 이동속도가 0.5km/년 이상인 경우 삼림의 경제적 가치 손실은 발생하지 않았다.

Spore Morphology of Some Ophioglossaceous Species (고사리삼과 식물 수 종의 포자 형태)

  • 선병윤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v.37 no.1
    • /
    • pp.43-51
    • /
    • 1994
  • Spore morphology of 14 species of Ophioglossaceae is examined, and descriptions and key based on spore morphology are provided. In addition, spores of one species of Angiopteris and three species of Osmunda are examined for comparision with those of Ophioglossaceae. Spore shape at proximal face is sub triangular or triquete in Botrychium and circular in Ophiog~ lossum, Angiopteris and Osmunda. Based on the wall sculpturing patterns, three groups can be recognized within Botrychium, and the differences of wall sculpturing among these groups are smaller as compared to those among Botrychium, Ophioglossum, Osmunda and Angiopteris. This result supports the previous infrafamilial system of Clausen, which was mainl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vernation, habit, fertile and sterile segments of the leaf, and gametophyte. Spores of nine species of Ophioglossum, which are circular in proximal face and fossulate or foveolate in wall sculpturing, are quite uniform as compared to those of Botrychium. Therefore they should be kept under a single genus rather than split into four genera suggested by Nishida (1952).(1952).

  • PDF

석회동굴의 환경과 서식생물의 특성

  • 김병우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2.07a
    • /
    • pp.31-41
    • /
    • 2002
  • 지상의 생태계는 광합성을 통해 광 Energy를 화학 Energy로 전환하는 생산자인 녹색식물들과 이들을 먹고사는 1차 소비자인 초식동물 또 이들을 먹고사는 육식동물인 2차 소비자와 동식물의 사체나 유기물을 분해하며 살아가는 미생물 같은 분해자로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의 생태계는 태양광선을 Energy원으로 하여 풍부한 물질생산과 먹이사슬을 통하여 안정적인 영양공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중략)

  • PDF

Sceptridium atrovirens and S. microphyllum (Ophioglossaceae): First report in Korea and its phylogenetic position based on morphology (숲고사리삼과 애기고사리삼(고사리삼과): 한반도 미기록 식물의 형태로 본 계통적 위치)

  • Lee, Chang Shook;Kim, Yoo Sung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2 no.1
    • /
    • pp.68-75
    • /
    • 2012
  • Two unrecorded species (Sceptridium atrovirens and S. microphyllum), previously known only in Japan, were found in a forest in Dosun-dong, Seogwipo-si, Jeju-do for the first time in Korea. S. atrovirens was distinguished from other related species of the genus Sceptridium in Korea by having the thickest rhizome and root, irregularly crenulate or roughly serrate, and a shorter sporophore blade. The local name was newly given as 'Sup-go-sa-ri-sam' for the species, denoting the habitat. S. microphyllum was distinguished by having the smallest plant height, compact sterile blades, and partly lateritious tropophyll in winter. The local name was newly given as 'Aegi-go-sa-ri-sam' for species, meaning of a small size. To reveal the interspecific relationships within the genus Sceptridium in Korea, cladistic analysis was performed for 27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llustrations of the two taxa, as well as photographs at the habitat, are provided with a taxonomic key to the species of Sceptridium in Korea.

New Fungal diseases of Economic Resource Plants in Korea(II) (유용 자원식물의 진균성 신병해(II))

  • 신현동
    • Korean Journal Plant Pathology
    • /
    • v.11 no.2
    • /
    • pp.120-131
    • /
    • 1995
  •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유용 자원식물에 발생하는 진균성 미기록 병해에 대한 두 번째 보고이다. 10가지 병해에 대한 각각의 병징, 병 발생환경, 병원균, 그리고 몇 가지 병리학적 소견을 기록하였다. 동자꽃 갈색 무늬병은 장마철부터 발생하여 심한 잎마름을 일으켰으며, 병원균은 Septoria lychnidis로 동정되었다. 산박하 모무늬병은 장마철에 심하게 발생하고 작은 모무늬가 합쳐져 잎의 한쪽이 검게 고사하였는데, 병원균은 Septoria plectranthi로 동정되었다. 좀명아주 갈색 무늬병은 여름부터 가을까지 흔히 발생하여 조기낙엽을 일으켰으며, 병원균은 Cercospora dubia로 동정되었다. 나팔꽃 점무늬병은 장마철부터 가을까지 흔히 발생하여 관상가치를 떨어뜨렸는데, 병원균은 Cercospora ipomoeae로 동정되었다. 돌콩 점무늬병은 장마철부터 가을까지 계속 발생하여 생육을 크게 저해하였는데, 병원균은 Pseudocercospora ligustri로 동정되었다. 박주가리 뒷면곰팡이병은 여름부터 가을까지 흔히 발생하여 조기낙엽과 황화를 일으켰는데, 병원균은 Passalora miurae로 동정되었다. 고려엉겅퀴 흰가루병은 여름부터 발생하여 묵나물의 수향과 품질에 피해를 주었는데, 병원균은 Sphaerotheca fusca로 동정되었다. 왜당나귀흰가루병은 국지적으로 발생하여 생육을 저해하고 어린 묘는 고사시켰는데, 병원균은 Erysiphe heraclei로 동정되었다. 가래나무 점무늬병은 장마철에서 가을까지 발생하여 잎마름을 유발하였는데, 병원균은 Sphaerulina juglandis로 동정되었다.

  • PDF

Vegetation Structure and Sprouting Dynamics of Corylopsis coreana Community belong to Korean Endemic Plants (한국 특산 히어리 군락의 식생구조와 맹아지 동태)

  • 이정환;강호철;안현철;조현서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3 no.3
    • /
    • pp.280-287
    • /
    • 1999
  • 본 연구는 우리나라 특산식물인 히어리 군락이 지리산 국립공원 동부지역에 대규모로 분포하고 있는 것을 처음으로 발견하여 군락지의 분포 및 맹아지 특성 그리고 군락의 보호대책을 위한 기초자료를 축적하고자 수행되었다. 각 계층별 중요치는 교목층에서 소나무(134.15) 일본잎갈나무, 산벚나무, 비목나무, 신갈나무 등이 우점하였고 아교목층에서는 히어리, 거제수나무. 비목나무, 졸참나무, 노각 나무 그리고 관목층에서는 히어리가 우점하였으며 그 외에 철쭉꽃, 진달래, 생강나무 등이 출현하였다 그리고 맹아지 특성은 1개 방형구(25m2)에 평균 17.75개의 주간이 형성되고 1개 주간당 맹아지 수는 평균 6.00개 고사지는 2.80개로 조사되었다. 흉고직경급별 분포에서 생장지의 경우 흉고직경 1.0-4.0cm 구간에서 전체의 64.78%를 차지하였으며 대부분 2.0-3.0cm 구간에서 54.74%를 차지하여 히어리 군락의 중심계급이었다 흉고직경 1.0cm 이하의 고사지가 전체의 53.16%를 차지하였는데 이는 근주에서 돋아나는 1년생 맹아지가 대부분 고사하였기 때문이었다 특히 히어리의 번식습성은 실생묘에 의한 번식도 가능하지만 본 조사지에서와 같이 수관이 울폐된 지역에서는 주로 근맹아에 의한 번식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dentification, Pathogenicity and Host Range of a Potential Bioherbicide, Epicoccosorus nematosporus, Causing Fingerprint Stem Blight on Water Chestnut, Eleokaris kuroguwai (생물제초제로서의 올방개 지문무늬병균(Epicoccosorus nematosporus)의 동정, 병원성 및 기주범위)

  • 홍연규;조재민;김재철;엄재열
    • Korean Journal Plant Pathology
    • /
    • v.12 no.1
    • /
    • pp.58-65
    • /
    • 1996
  • 한국의 수도 재배 지대에서 문제가 되는 다년생 논잡초 올방개에 자연상태에서 기주특이적으로 기생하여 올방개 줄기를 고사시키는 병원균인 Epicoccosorus nematosporus를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분리, 동정하였으며, 이 병을 올방개 지문무늬병(Finegerprint stem blight disease of water chestnut)으로 명명하였다. 분생포자는 분생자층 위에서 형성이 되며 무격막, 단핵이며, 44.5~72 $\mu\textrm{m}$ 크기의 양끝이 뾰족한 선충 모양이다. 갈색의 병반상에서 흑색의 분생자층은 발달하여 특이한 지문무늬를 형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병균은 전국의 올방개가 자라는 논에서 분포하며 매년 발생한다. 온실 접종시 초기의 병징은 접종후 4~5일만에 바늘끝 모양의 회흑색의 반점으로 나타나며 시간이 경과하면서 병반은 급속도로 진전하여 접종후 10~15일 정도 후 약 10mm 내외의 갈색병반이 형성이 되어 올방개 줄기를 감싸고 그 줄기 전체는 고사하게 된다. 분생포자 현탁액(3.2$\times$10\ulcorner conidia/ml)을 온실 조건하에서 분무접종 하였을 때 20일 이내에 약 78.0~93.3% 정도의 고사율을 나타내었다. 올방개 지문무늬병균의 분생포자 현탁액(3.2$\times$10\ulcorner conidia/ml)을 온실 조건하에서 벼 등 31개 작물과 피 등 15개 잡초의 유묘에 접종하였을 때 올방개를 제외한 어떤 식물에도 병원성이 없었다.

  • PDF

Phylogeny of the family Ophioglossaceae with special emphasis on genus Mankyua (제주고사리삼을 중심으로한 고사리삼과 식물의 계통)

  • Sun, Byung-Yun;Baek, Tae Gyu;Kim, Young-Dong;Kim, Chan Soo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39 no.3
    • /
    • pp.135-142
    • /
    • 2009
  • Phylogeny of the family Ophioglossaceae and a phylogenetic position of Mankyua were estimated through analyses of chloroplast rbcL gene sequences and spore morphology. Sequence analysis of the rbcL gene clearly indicated that there are two major lineages in the family Ophioglossaceae: Botrychioid lineage and Ophioglossoid lineage. The Botrichioid lineage is composed of three distinct clades: Botrychium, Helminthostachys and Mankyua, where Helminthostachys and Mankyua were placed as sister groups to the Botrychium. Within the genus Botrychium, subgenera Septridium and Botrychium were monophyletic, while taxa of subgen. Botrypus branched as sister of the two, successively, thus making a non-monophyletic group. Ophioglossum formed the Ophioglossoied lineage, where the subgen. Ophioglossum is monophyletic, while subgen. Cheiroglossa and Ophoderma formed a sister relationship with subgen. Ophioglossum. In terms of external morphology and spores, Mankyua is most similar to Helminthostachys, however, patristic distance in the cladogram and trophophore characteristics of the two genera are distinct. Therefore, Mankyua is a well defined genus within the family in terms of morphology as well as molecular phylogeny which places it in basal position of the Botrychioid lineage on the gene tr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