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ore Morphology of Some Ophioglossaceous Species

고사리삼과 식물 수 종의 포자 형태

  • 선병윤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Published : 1994.03.01

Abstract

Spore morphology of 14 species of Ophioglossaceae is examined, and descriptions and key based on spore morphology are provided. In addition, spores of one species of Angiopteris and three species of Osmunda are examined for comparision with those of Ophioglossaceae. Spore shape at proximal face is sub triangular or triquete in Botrychium and circular in Ophiog~ lossum, Angiopteris and Osmunda. Based on the wall sculpturing patterns, three groups can be recognized within Botrychium, and the differences of wall sculpturing among these groups are smaller as compared to those among Botrychium, Ophioglossum, Osmunda and Angiopteris. This result supports the previous infrafamilial system of Clausen, which was mainl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vernation, habit, fertile and sterile segments of the leaf, and gametophyte. Spores of nine species of Ophioglossum, which are circular in proximal face and fossulate or foveolate in wall sculpturing, are quite uniform as compared to those of Botrychium. Therefore they should be kept under a single genus rather than split into four genera suggested by Nishida (1952).(1952).

고사리삼목, 고사리삼과에 속하는 2속 14종과 이들과의 비교를 위하여 마라티아목(Marattiales)의 Angiopteris 1종 및 고비목의 고비속(Osmunda) 3종 등 18종류의 포자의 극면의 형태를 비교한 결과 고사리삼속(Botrychium) 식물은 둥근 삼각형 또는 변이 오목한 둥근 삼각형으로, 나도고사리삼속(Ophioglossum)과 Angioptris 및 고비속은 원형으로 나타났다. 고사리삼속은 표벽의 미세 무늬에 따라 세 군으로 유집이 가능하였으며 이는 기존의 분류체계와 잘 일치하였다. 표벽의 미세 형태는 고사리삼속에 있어 아속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나 이러한 차이가 나도고사리삼속이나 Angiopteris 혹은 고비속과의 차이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나서 고사리삼속내 분류는 Clausen(1938)의 견해를 지지하고 있었다. 나도고사리삼속은 극면의 형태가 구형이며 추문상 혹은 유공상의 표벽무늬를 가져 한 군으로 뚜렷히 구분되었다. 그러나 속내에서는 포자의 특징으로 유집이 불가능하였으며 따라서 Clausen(1938)이나 kato(1987)의 견해를 지지하고 있었다. 아울러 조사된 11종류에 대한 포자 형태의 기재와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