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물생장촉진

검색결과 386건 처리시간 0.031초

Brassinolide와 기존 식물생장조절제(植物生長調節劑)와의 상호작용(相互作用) (Interaction of Brassinolide with Other Known Plant Growth Regulators)

  • 최충돈;죽송철부;죽내안지;김길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78-83
    • /
    • 1987
  • 새로운 식물생장조절제(植物生長調節劑)인 brassinolide와 기존(旣存) 식물생장조절물질(植物生長調節物質)과의 혼용(混用)의 효과(効果)를 우우 불배축(不胚軸)의 신장반응(伸長反應)으로 조사(調査)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HBR 단독처리(單獨處理)는 처리농도(處理濃度)가 0.1 에서 1.0ppm 증가(增加)할 수록 무우 하배축(下胚軸)의 신장(伸長)이 촉진(促進)되었으며 무처리(無處理)에 비(比)하여 1.0 ppm에서 60% 이상(以上) 증대(增大)시켰다. 2. GA나 BA의 단독처리(單獨處理)는 처리농도(處理濃度)에 관계(關係)없이 하배축(下胚軸) 신장(伸長)을 촉진(促進)시키지 못하였으나 IAA는 처리농도(處理濃度)가 증가(增加)할 수록 다소(多少) 증가(增加)시켰다. 3. HBR과 GA, BA 및 IAA와의 혼용(混用)은 HBR의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할수록 무우 하배축(下胚軸)의 신장(伸長)의 증대(增大)시켰다. 4. HBR과 GA 및 BA와의 상호작용(相互作用)의 반응(反應)은 대체로 길항적(拮抗的)이며 HBR과 IAA와는 HBR의 0.03 ppm에서 0.3ppm과 IAA 3.0ppm에서 10.0 ppm 혼용(混用)에서 상승작용(相乘作用)을 나타냈으며 저농도(低濃度) 조합(組合)에서 5% 미만(未滿)의 길항(拮抗) 또는 상가반응(相加反應)을 보였다. 5. B-9과 CCC 단독처리(單獨處理)는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할수록 무우 하배축(下胚軸)의 신장(伸長)이 억제(抑制)되었으나 HBR과 혼용(混用)하므로 신장(伸長)이 회복(回復)되었고 HBR에 의해 유도(誘導)된 신장(伸長)이 B-9에 의해서 억제(抑制)되지 않았으나 CCC에 의해서는 크게 억제(抑制)되어 강(强)한 길항관계(拮抗關係)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채소종자 발아와 유묘생장에 미치는 유기 또는 무기게르마늄의 효과 및 흡수특성 (Uptake Properties of Germanium to Vegetable Plants and Its Effect on Seed Germination and on Early Stage Growth)

  • 한명자;김성은;서동철;정용화;이도진;박문수;임요섭;손보균;허종수;조주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17-222
    • /
    • 2007
  • 식물의 종자발아와 유묘생장에 미치는 무기게르마늄과 유기게르마늄의 효과와 흡수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채소류인 갓, 배추 및 청경채를 이용하여 다양한 게르마늄농도(0, 10, 25, 50, 100 mg $L^{-1}$)를 처리하였다. 채소 종자발아는 모든 식물에서 무기게르마늄을 100 mg $L^{-1}$ 처리한 경우에만 약간의 저해를 받았고 나머지 조건에서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식물의 유묘생장에 미치는 게르마늄의 효과는 갓과 배추의 경우에는 모든 농도의 무기게르마늄($10{\sim}100$ mg $L^{-1})$에서 뿌리의 생장에 심각한 저해를 보였고 지상부 생장은 높은 농도(50, 100 mg $L^{-1}$)에서는 저해를 받지만 낮은 농도(10, 25 mg $L^{-1}$)에서는 오히려 약간의 생장 촉진효과를 보이거나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였다. 유기게르마늄의 처리시에는 뿌리와 지상부의 생육이 낮은 농도(10, 25, 50 mg $L^{-1}$)의 대부분 조건에서 생장을 촉진하는 결과를 보였다. 식물체내의 게르마늄의 흡수 특성은 무기 및 유기게르마늄의 모든 조건에서 대조구에 비해 처리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점진적으로 뚜렷한 증가를 보였다 특히 무기게르마늄을 처리한 경우 보다 유기 게르마늄을 처리한 경우에 같은 농도에서 전반적으로 약 $2\sim4.5$배까지 많이 흡수되었다. 25 mg $L^{-1}$농도의 게르마늄을 처리한 경우를 보면, 유기게르마늄의 처리시 게르마늄의 흡수는 갓에서는 약 4배(무기게르마늄: 0.37 mg $g^{-1}dw$, 유기게르마늄 : 1.47 mg $g^{-1}dw$), 배추에서는 약 2.2배(무기게르마늄: 0.40 mg $g^{-1}dw$, 유기게르마늄: 0.86 mg $g^{-1}dw$) 그리고 청경채의 결우 약 2.1배(무기게르마늄 : 0.33 mg $g^{-1}dw$, 유기게르마늄: 0.70 mg $g^{-1}dw$) 정도로 무기게르마늄의 처리보다 높았다.

토양효소활성을 이용한 미생물제제 처리 고추경작지의 토양미생물군집 분석 (Soil Microbial Community Analysis using Soil Enzyme Activities in Red Pepper Field Treated Microbial Agents)

  • 김요환;임종희;안창환;정병권;김상달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5권1호
    • /
    • pp.47-53
    • /
    • 2012
  • 친환경 농법이 대두되면서 식물 병원균에 대한 길항능과 식물생장 촉진능을 동시에 가지는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um (PGRP)을 이용해 식물병을 방제하는 미생물 농법이 선호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비옥도 지표효소로 알려진 5종의 토양효소활성 측정을 이용해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um 균주인 Bacillus subtilis AH18, Bacillus licheniformis K11, Pseudomonas fluorescens 2112를 조합한 복합미생물제제와 시판중인 미생물농약, 화학농약을 처리한 고추경작지에서 토양미생물상을 분석하고 고추의 생장 및 수확량을 측정하여 메타지노믹스를 이용한 토양미생물 다양성 연구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토양효소활성의 측정에서 복합미생물제제 처리구가 dehydrogenase 3.5584 ${\mu}g$ TPF $g^{-1}h^{-1}$, urease 15.8689 ${\mu}g$ $NH_4{^-}N$ $g^{-1}h^{-1}$, phosphatase 0.5692 ${\mu}g$ PNP $g^{-1}h^{-1}$, ${\beta}$-glucosidase 2.4785 ${\mu}g$ PNP $g^{-1}h^{-1}$, cellulase 86.1597 ${\mu}g$ glucose $g^{-1}h^{-1}$의 수치를 나타내 타처리구보다 높은 활성을 보여 토양미생물상의 다양성이 증대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추의 생장촉진도측정에서 복합미생물제제가 타처리구에 비해 주경장에서 최대 6.1%, 경경에서 최대 8.1%의 생장촉진능을 보여 복합미생물제제의 생장촉진능을 확인하였다. 생고추의 수확량 측정에서는 복합미생물제제가 무처리구를 기준으로 했을 때 14%의 수확량 증대효과를 나타내었고, 화학농약 처리구보다도 7.3%의 증대효과를 나타내어 복합미생물제제에 의한 수확량 증대효과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 사용된 복합 미생물컨소시움제제가 고추경작지 토양의 미생물상 다양성 증가와 고추의 생장촉진 및 수확량 향상 모두에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온난화 처리가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와 졸참나무(Q. serrate)의 종자발아와 생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xperimental Warming on Seed Germination and Growth of Two Oak Species (Quercus mongolica and Q. serrata))

  • 박성애;김태규;심규영;공학양;양병국;서상욱;이창석
    • 생태와환경
    • /
    • 제52권3호
    • /
    • pp.210-220
    • /
    • 2019
  • 본 연구는 기온상승 강도에 따른 우리나라 주요 참나무류의 종자 발아와 초기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신갈나무와 졸참나무를 대상으로 온도구배온실을 이용하여 대조구, 중간 강도 온난화 처리구($+1.7^{\circ}C$) 및 강한 강도 온난화 처리구($+3.2^{\circ}C$)를 준비하여 재배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발아반응과 초기생장 반응은 기온상승 강도 및 수종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중간 강도의 온난화 환경은 두 종의 발아반응을 촉진하고, 생장량(묘고, 근원경)과 생물량(잎, 줄기, 뿌리의 건중량 및 총 생물량)을 증가시켜, 초기정착에 다소 유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Tm에서 두 종 모두 대조구보다 낮은 RMR과 높은 H/D율을 나타내, 장기적으로는 생장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을 것임을 암시한다. 강한 강도의 온난화 환경은 신갈나무와 졸참나무의 발아반응을 촉진시켰으나, 생육기간 종료 시점의 총 생물량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뿌리 생장은 대조구보다 크게 저하되었고, 이로 인하여 RMR은 낮고 S/R율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강한 강도의 온난한 환경이 봄철에는 발아시기를 앞당겨 생장기간을 증가시켰지만, 여름철에는 임계치 이상의 높은 온도가 생장에 스트레스요인으로 작용하는데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식물의 생장은 온난화 처리기간, 토양수분, 광환경 등의 환경요인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온난화에 의한 영향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다른 환경인자에 대한 모니터링과 장기간에 걸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기온상승에 대한 두 식물의 반응을 비교하면, 발아 반응에서 졸참나무가 신갈나무보다 기온상승에 따른 발아율 상승이 높게 반응하였고, 생물량 분배반응에서 신갈나무가 졸참나무보다 민감하게 반응하는 차이를 보였다. 이는 자연에서 양 식물의 공간 분포가 가져오는 미기후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판단된다.

기주식물의 유조직 속에서 생장하는 실새삼(Cuscuta australis R. Brown) 흡기세포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al Study on the Haustorial Cells of Cuscuta australis R. Brown in the Region of the Host Parenchyma)

  • 이규배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4권2호
    • /
    • pp.129-136
    • /
    • 1991
  • 기주식물 (토끼풀, Trifolium repens L.)의 유조직에 침입하여 생장하는 실새삼(Cuscuta australis R. Brown)의 흡기세포들의 미세구조를 조사하였다. 기주세포들과 직접 접촉되어 있는 흡기의 정면부위는 아직 분지되지 않은 선단세포들 및 이들로부터 분지하여 신장된 세포들(hyphae)로 구성되었다. 이 두 유형의 세포들은 전자밀도가 높은 세포질을 지니며, 또한 핵막이 심하게 만입된 커다란 핵을 갖는 특징을 보였다. 어떤 선단세포에서는 비후된 세포벽 물질이 기주세포벽의 중엽(middle lamellae)으로 침입하고, 파괴된 기주세포의 잔유물을 내포하는 양상을 보였다. 두 유형의 세포들은 원형질막과 세포벽이 안쪽으로 돌출하는 구조를 갖는데, 이는 기주세포들로부터 물질흡수를 촉진하기 위한 표면적의 증가현상으로 해석된다. 기주와 흡기세포의 세포벽사이를 통과하는 원형질연락사는 관찰되지 않았다. 두 식물세포의 경계면에서는 융합된 세포벽을 관찰할 수 있는데, 이 구조는 기주로부터 흡기로의 수분 및 영양물질의 수송 경로로써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Nicotiana tabacum과 Solanum nigrum의 속간 원형질체 융합에서 유도된 캘러스의 단백질 양태변화에 미치는 생장조절제 및 광선의 효과 (The Effect of Growth Regulators and Light Quality on the Changes in Protein Pattern of Callus from Intergeneric Protoplast Fusion between Nicotiana tabacum and Solanum nigrum)

  • 김영상;이동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41-155
    • /
    • 1994
  • 담배(Nicotiana tabacum)와 까마중(Solanum migrum)의 솩간 원형질체 융합으로 유도된 켈러스를 재료로하여 캘러스의 전체 단백젤과 틸라코이드막 단백질의 양태변화를 중심으로 식물생장 조절물질과 단색광의 생리적 상호효과를 조사하였다. 여러 단색 광선을 캘러스에 조사하였을때, 적색 및 청색광이 캘러스의 전체 단백질과 킬라코이드막 단백질의 합성을 촉진하였으며 , NAA+$ extrm{GA}_3$ 와 NAA+BA의 조합구에서 캘러스의 전체 단백질과 틸라코이드막 댄백질의 축척이 활발히 일어났으며, NAA+$ extrm{GA}_3$처리구에서 더욱 효과적 이였다. NAA+$ extrm{GA}_3$ 처리구에 청색광, 적색광 및 근적외광을 제각각 처리하였을때 캘러스의 전체 단백질과 킬라코이드막 단백질의 합성은 적색광에 의하여 가장 촉진되었다. 따라서 적색광과 NAA+$ extrm{GA}_3$구의 동시처리가 캘러스의 전체 단백질 및 킬라코이드막 단백질의 합성을 상승적으로 촉진함을 보였다.

  • PDF

식물성장조절제가 콩나물의 성장 및 성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 on Growth and Nutrient Compositions in Soybean Sprout)

  • 이상효;정동효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5권2호
    • /
    • pp.75-82
    • /
    • 1982
  • 콩나물 제조중 식물성장 조절제 혼합액(IAA와 BA)을 2회 처리하여 그의 성분 및 생육상태의 변화를 비교실험하였다. 콩나물의 성장중 생육상태의 변화는 식물성장 조절제 처리구에서 35%의 신장이 억제되었으며 생체중량, 건조물량 및 배축부의 두께는 각각 $10{\sim}20%$, 5%, 40%의 촉진효과를 나타내었고 취약성 및 경도는 약간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또한 처리구에서는 잔뿌리의 발생이 억제되어 잔뿌리 없는 콩나물을 제조할 수 있었다. 콩나물 성장중 조단백질과 조지방의 변화는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각각 $5{\sim}10%$, 10%의 증가효과를 나타내었으며 vitamin C의 변화는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70%의 생성촉진효과를 나타내었다. 식물생장 조절제 처리구의 아미노산 조성은 lysine 17.22mg, arginine 18.45mg, 그리고 methionine이 3.56mg으로 각기 대조구에 비하여 16%, 108%, 15%의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proline은 5.03mg으로 대조구에 비하여 106%로 감소되었다. 지방산조성은 처리구, 대조구 모두 비슷한 조성을 나타내었으며 처리구의 지방산조성은 linoleic 57.14%, oleic 18.6%, palmitic 11.17%, linolenic 9.22%의 순이며 P/S ratio는 4.40으로 대조구의 4.37 보다 약간 높았다.

  • PDF

식물생장조절물질 처리에 따른 시호의 생육특성 (Effect of Application of Plant Growth Regulator on Growth Characteristics in Bupleurum falcatum L.)

  • 이호;김길웅;손태권;이지언;이상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344-352
    • /
    • 2002
  • 본 시험은 국내 재래종 정선시호와 일본에서 도입된 삼도시호를 공시하여 시호의 품질 향상을 위해 식물생장조절제 처리가 시호의 생육 및 saikosaponin 함량에 미치는 요인들을 구명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정선시호는 삼도시호보다 분지수는 적었지만 경수는 많았고, 근경이 굵으며 생근중과 건근중은 무거웠고 지근수도 많은 경향이었다. SSa 및 TSS 함량에서 정선시호가 삼도시호보다 높았고, SSc 함량에서는 정선시호가 삼도시호보다 적었다. 2. 식물생장조절제 처리시기 간에서는 6월에 처리한 것이 7월에 처리한 것보다 경수가 많았고 건근중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6월에 처리한 것이 7월에 처리한 것보다 SSd 함량이 높았다. 3. 식물생장조절제 처리에서 $GA_3$, 10, 50, 100 ppm, IAA 10, 50 ppm, kinetin 50 ppm 지상부 처리에서 지상부 생육을 촉진하였고, kinetin 50 ppm 처리구의 생근중과 건근중은 무처리구보다 무거웠으나 TSS 함량은 무처리구보다 낮았다. $GA_3$, 10 ppm, IAA 10 ppm처리에서 SSa, SSd 및 TSS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TSS 함량은 $GA_3$, 50 및 100 ppm에서 높았다. 4. 무처리에 비하여 정선시호는 6월의 $GA_3$, 100 rpm, IAA 10 및 50 ppm, kinetin 10 ppm 처리구에서, 삼도시호는 6월의 $GA_3$, 10 ppm, IAA 10 및 100 ppm 처리구에서 생근중이나 근중은 차이가 없었지만 TSS 함량이 높아 시호생산에 가장 유리한 처리로 판단되었다.

절개지 토양에서 수분조건과 근류균 접종이 등나무 유묘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 Conditions and Rhizobium Inoculation on the Growth of Wisteria floribunda Seedlings in Slope Soils)

  • 박종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25-435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암석비탈면 등에서 주요 녹화식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등나무를 대상으로 황폐지 토양조건에서 인위적으로 함수율을 조절하여 등나무의 내건성과 토양수분조건에 따른 생장특성을 시험하였는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등나무 묘목은 토양함수율 5% 수준에서 수분 스트레스를 받아 고사하였고, 토양함수율 10% 수준에서는 전 생장기간 동안 생장률에 큰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본 시험토양에서 토양함수율 5% 수준이 등나무 모목의 위조함수율이며, 토양함수율 10% 수준이 생장에 대한 임계토양수분 범위로서, 등나무는 내건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 묘목의 신장생장, 직경생장, 엽생장, 총 건물생산량 등의 주요 생장요소들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등나무 묘목의 생장은 전반적으로 토양함수율이 높을수록 양호하였으며, 이들 각 생장요소들(Y)은 토양함수율(W)에 대해 Y=a+bW+cW2의 곡선형을 나타내었다. 3. 토양함수율 20 % 이상에서는 생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묘목 생장량이 뚜렷이 증가하였으며, 각 토양함수율 수준에서 묘목 생장량(Y)은 생장기간(D)에 대해 Y=a+bD+cD2의 곡선형을 나타내었다. 4. 토양함수율 20% 이상에서는 동일한 수분조건에서 근류균 접종구는 대조구에 비해 총 건물생산량을 기준으로 하면 평균 30%의 생장촉진효과가 있었다. 5. 근류균은 토양함수율이 높을수록 접종이 용이하고 근류의 형성량도 많았다.

야파 처리가 살비아 'Salsa'의 영양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 (Vegetative Growth and Flowering of Salvia splendens 'Salsa' in Response to Night Interruption)

  • 홍윤영;박유진;김윤진;김기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4호
    • /
    • pp.434-439
    • /
    • 2014
  • 이 연구는 야파 처리 시간대가 살비아 'Salsa'의 영양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저광도 야파 처리가 광합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살비아는 9시간의 단일조건 또는 9시간 일장에 $3-5{\mu}mol{\cdot}m^{-2}{\cdot}s^{-1}$의 광도의 야파를 추가한 조건의 식물 생육상에서 재배되었고, 야파 처리는 18시-22시(NI18), 22시-02시(NI22), 02시-06시(NI02)의 세 구간으로 나누어 적용되었다. NI18, NI22, NI02 처리구에서 광합성은 야파 처리 시간 동안에 각각 0.33, 0.16, $0.13{\mu}mol{\cdot}CO_2{\cdot}m^{-2}{\cdot}s^{-1}$만큼 증가하였다. 하지만 엽폭, 엽장 등의 영양생장은 단일 조건하의 식물들과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야파 처리 시 개화까지 걸리는 시간은 9.8일 단축되었고, 17주간 야파 처리 시 꽃의 수는 단일 조건의 36.4개에 비해 NI02 처리구에서 138.7개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02시부터 06시까지의 야파 처리가 개화를 촉진하는 데에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야파 처리 시간 동안에 증가한 광합성량은 살비아의 영양생장 증가에는 효과를 보이지 못하였다. 비록 야파 처리 동안의 미미한 광합성의 증가가 살비아의 영양생장을 증가시키지는 못하였지만, 개화에는 크게 영향을 미쳤다. 단일 조건에서는 44.4%만이 개화하였지만 8주간 야파 처리시 NI18, NI22, NI02 처리구에서는 각각 77.8, 88.9, 100.0% 개화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