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륜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일본 고대의 빈(모가리)에 대하여 (The Academic Trends and Perspectives of the Ancient Mogari Ritual Ceremony in Japan)

  • 강윤석
    • 고문화
    • /
    • 65호
    • /
    • pp.57-80
    • /
    • 2005
  • 본고는 한국 상장례 중에서 빈의 연구에 대한 선행적인 작업으로써, 일본 고대의 빈(모가리)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살펴보는데 있다. 빈(모가리)은 일본 고대의 상장례 중의 하나로서, 사람의 죽음부터 장지에 매장하기까지의 기간 동안에 행해진 일련의 의례를 말한다. 이것은 ${\ulcorner}$위지${\lrcorner}$위인전이나 ${\ulcorner}$일본서기${\lrcorner}$ 등의 문헌기록에도 나타나 있다. 이러한 문헌기록을 통해서 3세기대부터 상장례에서 빈이 행해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고고학에서도 식륜의 배치나 선각화 및 장식벽화에서도 빈 의례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특히 빈의 기간, 빈옥의 위치 및 구조, 그리고 讀의 내용에 대해서 고대의 문헌기록과 고고 유구 및 유물을 대상으로 검토하였다. 빈의 기간에 대해서는 문헌기록마다 다르며, 또한 같은 천황이라도 2개월부터 5년 8개월 등으로 일정하지 않다. 또한 고고학적 검토에서는 인골과 사람의 대변 분석을 통하여 문헌기록의 8일이나 10여일로 합치한다고 보고 있다. 빈옥의 위치는 옥외에 있다는 문헌기록과 고분의 주위에 있다는 고고학적 연구결과도 있다. 빈옥의 구조에 대해서도 문헌의 기록에서는 칼로써 베어 무너뜨릴 수 있는 간단한 구조로 기술되어 있는 반면에, 고고학의 가형식륜이나 장식벽화에 묘사된 것을 보면 견고한 가옥구조로 되어 있다. 빈 동안에 실시된 의례는 문헌기록이나 고분의 식륜배치 및 장식벽화에 나타난 것을 종합 해 볼 때, 사자의 초혼이나 진혼등을 위한 가무나 기도, 그리고 공선의례 등이 실시된 것으로 보인다. 본고는 일본 고대의 빈에 대한 검토이지만, 한편으로는 한국 고대의 빈 연구에 있어서 참고가 될 부분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백제복식연구 -일본고대사에 미친 백제문화의 영향- (A Study on the Costume of Baikje Period -With Emphasis on the Influence of Korean Culture in the Ancient Japan-)

  • 조규화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권1_2호
    • /
    • pp.49-56
    • /
    • 1980
  • Because of the scarcity of data, a study of costume during the Baikje period can be made imaginarily only with historical records as data. According to records, Baikje costume was almost the same as that of the Koguryo period. Consequently, we may well imagine Baikje costume by means of studying such materials as the mural paintings found in Koguryo tombs and the remains found in the royal tomb of Munyung. The basic form of costume of the Baikje period, therefore, might have been like this: Both male and female wore a kind of jacket(유: JEOGORI) and trousers(고: BAJI) with female-wearing skirt (상: CHIMA) thereon. Both men and women wore overcoat(포: DURUMAGI). They used to wear headdress(관모) and used leather shoes(화) Such a form of costume can be found in the costume of HANIWA(식륜) of Japan, which belonged to the costume of HOBOK (호복) of the northern area. Under the SHIMNEUK-PUM-KWAN-KE(십육품관계) system, that is, 16 grades of official ranks, officials of the Baikje dynasty wore clothes, coronets and belts, all of which differed from one another in colors, according to ranks. Such a system of Baikje might have influenced the KANI-JUNI-KAI (the 12-grade color discrimination of the coronet, 관위십이계) for the government officials of ancient Japan the Suiko period. For the study of such matters, I have tried to review the flow of the Korean culture into ancient Japan in the field of costum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