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도 절제술

Search Result 28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Long-Term Result of Surgical Treatment for Esophageal Cancer -500 cases- (식도암에서 외과적 요법의 장기성적에 대한 임상적 고찰 -500예 보고-)

  • 임수빈;박종호;백희종;심영목;조재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4 no.2
    • /
    • pp.148-155
    • /
    • 2001
  • 배경: 본 연구는 1987년부터 1997년까지 원자력병원에서 수술을 시행한 500명의 식도암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휴향적 방법을 통해 조기 및 장기성적, 재발양상, 예후인자 등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대상환자 중에서 발병암이 있는 경우, 인두식도 경계부위나 위식도 경계부위 암, 고식적 우회술 또는 인공식도 삽입예 그리고 시험적 개흉술이나 개복술 만을 시행한 경우는 제외 시켰다. 식도 절제는 대부분 우측 개흉술을 이용한 Ivor Lewis 술식을 사용하였고 대부분의 문합은 stapler를 사용하였다. Extended lymph node dissection은 1994년 8월부터 시행하였고 그 이전에는 standard lymph node dissection을 하였다. 96.8%에서 위를 식도 대체장기로 사용하였고 경부에서 절제 및 재건술을 시행한 경우를 제외한 모든 식도재건은 후종격동을 통해 시행하였다. 결과: 474예(94.8%)가 편평상피 세포암이었고 대부분(58.2%)은 중부식도에 위치하였다. 술후병기는 47.4%가 stage III이었고 25%가 stage IIA이었다. 392예에서 근치적 절제가 가능하였고 74예는 고식적 절제를 시행하였으며, 식도열공을 통한 식도절제술과 경부에서의 유리공장 이식술을 시행한 34예는 위분류에서 제외하였다. 술후 유병율은 38.4%이었고 수술 사망률은 5.8%로 호흡기 감염, 문합부 유출이 주요 원인이었다. 대상환자의 99.8%에서 추적은 가능하였고 수술사망 예를 포함한 전체환자의 1, 2, 5년 생존율은 각각 63.5%, 38.9%, 19.4% 이었다. Standard lymph node dissection 그룹에서의 1, 2, 5년 생존율이 60.7%, 35.9%, 16.9%이었으나 extended lymph node dissection그룹에서는 1, 2, 4년 생존율이 70.2%, 46.5%, 30.9%이었다. 근치적 절제의 경우는 1, 2, 5년 생존률이 69.4%, 43.9%, 21.9%이었고, 고식적 절제의 경우는 37.8%, 17.6%, 7.3%이었다. 수술사망을 제외한 근치적 절제술과 extended lymph node dissection을 함께 시행한 경우의 4년 생존율은 35.6%이었다. 수술후 재발은 226예에서 발견되었고 주로 국소임파절(69%; 경부, 종격동, 복부)이었으며, 전신재발은 간, 폐, 뼈, 뇌 등의 순이었다. 결론: 저자들은 적절한 술후 환자관리가 선행되어야 하지만 근치적 절제와 광범위한 임파절 절제가 장기성적의 향상에 필수적 요소이고, 진행된 식도암에 있어서는 보다 효과적인 보강적 복합치료가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Mucosal Resection in the Corrosive Esophageal Stricture -A new technique- (부식성 식도 협착에서 식도 점막 절제술)

  • 김공수;구자홍;박상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4 no.2
    • /
    • pp.194-197
    • /
    • 2001
  • 부식성 물질에 의한 양성 식도 협착 환자에서 식도 확장술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술식이나 협착부위가 잔존하여 연하곤란이 발생하므로 식도 재건술이 이용된다. 식도재건술은 대용 식도로 위관, 대장관, 소장관이 이용하여 광범위한 박리, 여러 부위의 절개, 문합부 대용 식도 위치에 따른 문제점 및 협착된 식도를 잔존시킴으로 식도암 발생가능성이 있으며 식도 재건술후 식도 기능의 문제점이 많다. 이에 시고 기능에 이상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합병증이 적고 수술하기 쉬운 방법이 요구된다. 저자는 식도 근층만을 절개하고 점막하층을 박리한 후 협착부 점막만 절제하고 점막 단단 문합함으로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증례와 더불어 수술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Surgical Treatment of Bronchoesophageal Fistula in Adult (성인 식도 기관지루의 외과적 치료)

  • 곽영태;김동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29 no.1
    • /
    • pp.67-72
    • /
    • 1996
  • Bronchoesophageal fistula is a rare clinical entity whether congenital or acquired in adult. We experinced 8 cases of bronchoesophageal fistula and performed surgical correction from 1991 to 1994. Of the 8 patients, 5 patients were male and three were female aging from 21 to 61 years(mean 44.12$\pm$14.62 years). Seven of 8 patients had congenital bronchesophageal fistula and the other one had acquired bronchoesophageal fistula.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Braimbridge and Keith, 4 cases were belonged to type I and 3 cases were type II . The diagnosis was confirmed by esophagogram in six patients, by bronchoscopy and bronchogram in two patients, and in one patient, the fistula was discovered i cidentally during operation. All patients received astulectomy and concomitant procedures were applied as follows ; 4 diverticulectomy, 4 right lower lobectomy, 1 bilobectomy, 1 left lower lobectomy and 1 wedge resection of left lower lobe. All but one patient were discharged without any complication and have been in good condition.

  • PDF

Video-Assisted Thoracoscopic Thymectomy -Report of Two Cases- (흉강내시경을 이용한 흉선 절제술)

  • 조상록;이정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29 no.5
    • /
    • pp.589-592
    • /
    • 1996
  • We report two cases of the thoracoscopic thymectomies for patients of myasthenia gratis with tracheostomy (Osserman's Group-ll-C-1). The Irst case was 47-year-old male wlth generalized myas- thenia gravis who was under the mechani al ventilator therapy with tracheostomy. The second case was 60-year-old male with deteriorating generalized myasthenia gratis after the mechanical ventilator therapy. We decided to resect the thymus by vldeo-assisted thoracoscopy to prevent the ouurrence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especially mediastinitis because all two cases were under tracheostomy state. We could stop the mechanical ventilator therapy on the postoperati'fe 16th day and 3rd day respect- ively and they were recovered without mediastinitis. So we concluded that video-assisted thoracoscopic thymectomy is a good alternative surgical method for myasthenia gratis patients with tracheostomy.

  • PDF

A Case of Gastrobronchial Fistula after Esophagectomy (식도 절제술 후 발생한 위기관지 누공 1예)

  • 김현태;손국희;김영삼;김정택;백완기;김광호;윤용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7 no.2
    • /
    • pp.193-196
    • /
    • 2004
  • Benign gastrobronchial fistula (GBF) after Ivor Lewis operation is a very rare and serious complication. We describe a patient with GBF who was successfully managed on the single-stage repair, 15 months after the Ivor Lewis operation. After the division of the GBF, the bronchial and gastric defects were closed directly. The omental flap and the pedicled 5th. intercostal muscle flap were interposed between the closed defects. The literature of this subject is reviewed and discussed.

Clinical Comparison of Complications Between Cervical and Thoracic Esophagogastrostomy After Resection of Esophageal Cancer (식도암 절제술시 식도 위 문합 위치에 따른 조기 합병증의 비교)

  • 박상철;조중구;김공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4 no.2
    • /
    • pp.156-161
    • /
    • 2001
  • 배경: 식도암의 절제술에 있어 식도 위 문합술은 중대한 합병증, 즉 문합부 누출, 양성협착, 종양의 재발 등을 유발한다. 수술 후 재원기간동안 환자가 느끼는 주관적인 증상과 합병증이 식도와 위장관의 문합부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서로간에 비교분석할 필요가 있겠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1999년 5월까지 식도암 근치술로 식도 위 문합술을 시행 받은 5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문합위치에 따라 경부문합한 23명의 환자와 흉부문합을 한 32명의 환자를 비교 분석하였다. 절제술 후 AJCC분류에 따라 I기 5명, II기 27명, III기 23명으로 판정되었으며, 종양이 상흉부에 위치한 경우 3명, 중흉부 34명, 하흉부 18명이었다. 조직학적으로 55명의 환자 2명의 선암을 제외하고 53명이 편평상피세포암이었다. 55명 전원이 남자였으며 평균연령은 경부문합의 경우 59세였고, 흉부문합은 55세였다. 경부 문합의 경우 1명의 staple봉합을 제외하고 나머지 22명이 수봉합을 하였으며, 흉부문합술의 경우는 9명이 수봉합, 23명이 staple봉합을 하였다. 결과: 수술 후 사망자는 경부문합 1명, 흉부문합 2명이었다. 경부 문합환자의 경우 23명 중 15명에서 호흡기, 소화기등의 합병증 46례가 발생하였고, 흉부 문합환자의 경우 32명중 13명에서 합병증 37례가 발생하였다. 경부문합환자는 중등도 혹은 심한 연하곤란을 나타내는 경우가 11명에서 있었으며, 흉부문합환자는 2명에서 나타났다. 또한 수술 후 20일 이후까지 재원한 경우는 경부문합환자 18명, 흉부문합환자는 13명이었다. 결론: 식도암에서 식도 위 문합술의 경우 호흡기, 소화기, 감염등의 합병증이 발생하였으며, 특히 호흡기 합병증에 의한 사망률이 높았다. 문합부 누출은 staple봉합보다 수봉합에서, 흉부문합보다 경부문합에서 빈도가 높았다. 경부문합의 경우 문합부 누출률이 높고, 연하곤란을 많이 호소하며 재원기간이 의미있게 길었다.

  • PDF

Clinical Studies on Locally Invasive Thyroid Cancer (국소침범한 갑상선암의 임상적 고찰)

  • Kim Young-Min;Lee Chang-Yun;Yang Kyung-Hun;Rho Young-Soo;Park Young-Min;Lim Hyun-Jun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14 no.2
    • /
    • pp.236-243
    • /
    • 1998
  • Objectives: Local invasion of the thyroid cancer that is invasion of the upper aerodigestive tract, neurovascular structures of the neck and superior mediastinum, is infrequent and comprises of 1-16% of well-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However the proximity of the thyroid gland to these structures provides the means for an invasive cancer to gain ready access into theses structures and when invasion occurs, it is the source of significant morbidity and mortality. So locally invasive thyroid cancer should be removed as much as possible, but still much debates have been exist whether the surgical method should be radical or conservative. This study was desinged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he surgical treatment of the locally invasive thyroid cancer. Material and Methods: At the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of Hallym university, 10 patients diagnosed as locally invasive thyroid cancer among the 81 patients treated for thyroid cancer between 1991 to 1997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Results: Of the 10 patients, 3 patients had histories of previous surgical treatment with or without radiation or radioactive iodine therapy. The site of invasion of thyroid cancer were trachea(7 cases), recurrent laryngeal nerve(5 cases), mediastinal node(5 cases), esophagus(3cases), larynx(3cases), carotid artery(3 cases), pharynx(l case), and other sites(4 cases). The operation techniques included 1 partial laryngectomy and 1 partial cricoid resection, 2 shavings and 3 window resections of the trachea, 1 sleeve resection of the trachea with end-to-end anastomosis and 1 cricotracheoplasty for tracheal invasion, 2 shavings and 1 partial esophagectomies for esophageal invasion, and 1 wall shaving and 2 partial resections with $Gortex^{\circledR}$ tube reconstruction for carotid artery invasion, and so on. Conclusions: These data and review of literature suggest that the surgical method should be perfomed on the basis of individual condition and complete removal of all gross tumor with preservation of vital structures whenever possible will offer a good result.

  • PDF

Cavernous Hemangioma of the Esophagus - One Case Report - (식도 해면상 혈관종 - 1례 보고 -)

  • 목형균;신호승;홍기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2 no.9
    • /
    • pp.851-854
    • /
    • 1999
  • Hemangioma in the esophagus is an uncommon tumor. There have only been about 30 cases reported in the world literatures. It occurs predominantly in men and although majority are asymptomatic, may cause bleeding and dysphagia. Hemangioma in the esophagus was diagnosed with a barium swallowed esophagography and endoscopy. The main treatment modes recommended are surgery and endoscopic resection. We experienced one case of cav ernous hemangioma occurring at the distal esophagus. The patient was a forty-six year old male with dysphagia and indigestion. Barium esophagogram showed a filling defect at the distal portion. Esophagoscopy showed a bluish polypoid mass. Surgical resection was per formed and the pathologic diagnosis was confirmed as cavernous hemangioma.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and the patient had been followed up without any proble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