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도 수술

검색결과 946건 처리시간 0.028초

최근 4년간에 시행한 중이수술 970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for 970 Cases of Middle Ear Surgery)

  • 김기령;김영명;박인용;홍원표;정태인;조경열;이춘근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8년도 제12차 학술대회연제 순서 및 초록
    • /
    • pp.8.4-9
    • /
    • 1978
  • 이미 100여년 전인 1873년에 Schwartze(1873)에 의한 중이수술 성공례가 보고된 이래로 중이 및 유양동에 대한 수술은 많은 발전을 이룩하였으며 특히 근년에 이르러서 Zollner(1951) 및 Wullstein(1952)등은 이를 체계화하였고 특히 최근에는 수술방법이나 이식재료선택면에 있어서도 학자들간에 거의 통일된 의견을 갖기에 이르러서 중이수술에 관한한 어떤 결론에 가까워진 느낌을 갖게 되었다. 현재 우리나라에 있어서는 현미경하에서의 중이수술내지는 청력개선술이 일반개업가에 있어서도 거의 보편적인 수술의 하나로 부각되고 있음은 매우 기꺼운 일이라 하겠다. 그러나 우리는 아직도 이에 대한 종합적인 우리나라의 원격성적이나 폭넓은 의견교환의 기회가 적었음을 아쉽게 생각하며 이러한 차채에 본 교실에서는 과거 4년간에 걸쳐서 시행한 970례의 중이수술례에 대한 임상적 경험을 토대로 중이질환의 유형과 수술소견 및 청력소견등을 임상적으로 검토하여 제 1 보로서 보고하는 동시에 앞으로의 원격성적을 추시코저 한다.

  • PDF

식도이완불능증의 복강경 수술 (A case report of Successful Laparascopic Myotomy for Achalasia)

  • 황성욱;김영태;성숙환;김주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2호
    • /
    • pp.157-160
    • /
    • 2002
  • 식도이완불능증 환자의 수술은 내시경을 이용한 최소 절개술로써 개복술에 상응하는 성적을 거두고 있다. 최근에는 복강경을 이용한 식도근절개술과 위저부성형술을 통해 기존에 시행되던 흉강경을 사용한 식도근 절개술보다 환자의 만족도에서 좋은 결과를 보이는 경우가 보고된 바 있다. 이 증례에서는 풍선확장술로써 치유되지 않는 식도이완불능증을 가지고 있는 15세의 남자 환자에서 5개의 작은 절개창을 통한 복부내시경을 이용하여 식도근절제술과 위저부성형술을 시행하여 증상을 현저히 개선하고 방사선적, 임상적 객관적 치료효과를 성공적으로 치험하였다.

식도 폐쇄증 환자에서 치험한 2차 식도 재건술 (Secondary Esophageal Reconstruction for Esophageal Atresia)

  • 사영조;박재길;전해명;문영규;심성보;이선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5호
    • /
    • pp.671-674
    • /
    • 2008
  • 이론적으로는 공장이나 근막피부판 혹은 근육피판이 여러 차례 실패한 식도재건의 재시도에 사용할 수 있는 장기지만, 다른 장기들도 식도의 대체 장기로 이용이 가능한지 고려해 보아야 한다. 우리는 21년 전 선천성 식도 폐쇄증의 식도 교정술 후 식도협착이 발생되어 식도재건술과 수 차례의 복부 및 경, 흉부 수술을 시행받은 24세의 여자 환자에게 2차 식도재건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였다 식도의 재건은 남아 있는 변형된 위를 재단하여 피하경로를 통해 좌측 경부로 올렸으며, 상부 식도에 측 단문합하였다. 환자는 수술 후 일반 식사를 할 수 있는 상태로 호전되어 퇴원하였다.

방사선 치료후 두경부암 수술의 합병증에 대한 Pectoralis Major Myocutaneous Flap의 이용 (PECTORALIS MAJOR MYOCUTANEOUS FLAP FOR THE COMPLICATIONS OF POSTIRRADIATION HEAD & NECK CANCER SURGERY)

  • 송달원;백재한;김중강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7년도 제21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9.2-19
    • /
    • 1987
  • 방사선치료후 재발성 또는 잔존성 두경부암의 수술후에 피부판의 괴사 및 slough, 감염, 누공, 부종과 경동맥 노출 심지어는 경동맥 파열 등의 술후 합병증이 빈발함으로 수술에 큰 어려움을 겪게 된다. Pectoralis major myocutaneous flap은 진행된 두경부암의 광범위한 절제후에 그 결손부를 보충해 주는 데 좋은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아니라 방사선치료후에 생긴 합병증에도 이 flap을 이용하여 좋은 치료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저자들은 수술 전에 방사선치료를 받고 심한 부종으로 후두조직의 괴사 및 기능이 손실된 환자와 방사선 치료후 재발된 상인두암환자의 경우에서 수술 후 생긴 pharyngocutaneous fistula와 피부판감염 및 경동맥노출 등으로 치유가 곤란하여 여기에 pectoralis major myocutaneous flap을 사용하여 pharyngostoma를 재건하고 노출된 경동맥부위를 보호하여 좋은 치료효과를 얻었기에 문헌을 고찰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만성적 기도흡인에 대한 수술적 치료 (SURGICAL MANAGEMENT OF CHRONIC ASPIRATION)

  • 최종욱;최건;정광윤;유홍균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1년도 제25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36-36
    • /
    • 1991
  • 기도흡인은 후두의 고유기능중 방어기능을 소실함으로써 지속되는 경우 하기도에 치명적인 손상을 초래하게된다. 기도흡인에 대한 치료는 고식적 치료법과 수술적 치료법으로 대별되는데 일반적으로 고식적으로 치료법이 우선적으로 선택되어지고 있으나 흡인의 정도가 심하여 하기도에 폐렴, 무기폐 등의 위급한 합병증을 유발하거나 그 원인이 비가역적이어서 탈진 또는 악액질을 초래하는 경우 부득이 수술적 요법율 선택하게 된다. 수술적 요법의 선택시기에 대하여는 논란이 많으나 현재까지는 고통을 받고있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결정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저자들은 최근 5년간 경험한 만성 기도흡인 환자 6례에 대하여 수술적 요법 즉, cricopharyngeal myotomy 1례, cricopharyngeal with medialization laryngoplasty 1례, laryngeal suspension with cricopharyngeal myotomy 2례, laryngeal diversion 1례, total laryngectomy 1례를 각각 시행함으로써 얻은 치료경험을 분석 검토하여 만성 기도흡인에 대한 치료상의 문제점과 보다 효율적인 치료법의 선택에 도움을 얻고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식도암 절제수술 후 장기 성적 (Long Term Survival after the Resection of Esophageal Cancer)

  • 김영태;성숙환;김주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7호
    • /
    • pp.653-659
    • /
    • 1999
  • 배경: 최근 식도암의 성적을 향상시키려는 노력들이 행하여지고 있고 수술 성적도 많이 보고되고 있으나 아 직 국내에서는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장기 성적은 드문 형편이다. 이 연구에서는 지난 13년간 서울 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 치험한 식도암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여 장기 생존율을 분석하여 향 후 전향적 연구의 기초로 삼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4년부터 1996년까지 서울대학교 병원에서는 총 734명의 환자가 식도암으로 진단 받았으며 이들 환자 중 식도 절제가 가능하였던 253례의 환자를 대상으로 종양의 병기별 생존율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식도암의 세포형은 편평상피세포암이 237례로 대부 분을 차지하였고, 선암이 6례, 선암-편평상피암 5례, 소세포암3례, 기타 흑색포암 등이 있었다. 종양의 병기는 상피내 암종 4례, 1기가 21례, 2A기가 79례, 2B기가 30례, 3기 107례, 4기 6례 있었고, 6례에서는 병기를 확인 할 수 없었다. 수술 사망은 14례 (5.5%) 있었고 그 원인은 폐렴에 의한 호흡부전이 8례로 가장 많았고, 그 밖 에 패혈증, 급성 간부전, 과다 출혈 등이 있었다. 수술 후 일부 환자에서는 보조적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였으 며, 재발한 경우에는 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였다. 수술 사망 환자를 제외한 장기 생존자 중 근 치적 절제가 가능했던 222명 환자의 생존율은 1년 74.7$\pm$3.1%, 2년 46.5$\pm$3.7%, 3년 32.3$\pm$3.7%, 5년 19.9$\pm$3.3% 이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부터 식도암에 대한 외과적 절제술은 비교적 낮은 수술 사망률로 시행할 수 있으나 장기 생존율은 아직 낮아 향후 화학요법 혹은 방사선 요법 등을 병합하여 치료하는 등의 새로운 치료법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고 판단되었다.

  • PDF

식도 절제술 후 발생한 위기관지 누공 1예 (A Case of Gastrobronchial Fistula after Esophagectomy)

  • 김현태;손국희;김영삼;김정택;백완기;김광호;윤용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2호
    • /
    • pp.193-196
    • /
    • 2004
  • Ivor Lewis 수술 후에 발생하는 위기관지 누공은 매우 드물지만 위중한 합병증이다. 본 증례는 식도암환자에서 Ivor Lewis 수술 후 15개월째에 발생한 위기관지 누공에 대하여 단 단계 교정술을 시행한 것으로, 먼저 위식도 누공을 분리한 후 기관지 부위와 위 부위의 결손을 직접 봉합했고, 대망편과 5번째 늑간근편을 이용하여 봉합된 결손부위 사이를 보강하였다. 본원에서 시행한 식도 절제술 후의 합병증으로 발생한 위기관지 누공에 대한 치료로 좋은 결과를 보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Kommerell 게실과 동반된 완전 혈관륜의 수술적 교정 (Surgical Correction of Complete Vascular Ring Associated with Kommerell's Diverticulum)

  • 김희중;정성호;김경모;윤태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2호
    • /
    • pp.943-945
    • /
    • 2006
  • 수유 곤란과 반복적인 흡인성 폐렴을 주소로 내원한 11개월 된 여아가 우대동맥궁, Kommerell 게실, 식도 후방의 좌쇄골하 및 동맥관 인대로 형성된 완전 혈관륜을 진단 받고 수술적 교정을 받았다. 수술은 좌측 후측 개흉 후 동맥관 인대를 분리하여 식도 압박 요인을 제거하고, Kommerell 게실을 하행대동맥으로부터 분리, 절제한 후 좌쇄골하 동맥을 좌측 총경동맥으로 단측 문합하였다. 환아의 수술 경과는 양호하였으며, 현재 외래 관찰 중이다.

원발성 자연 공기가슴증 환자에서 고식적인 흉강경하 쐐기절제술과 흉강경을 이용한 변형된 소절개술식의 비교 (Comparison of Conventional Thoracoscopic Wedge Resection and Modified Transaxillary Minithoracotomy with Thoracoscopy for the Treatment of Primary Spontaneous Pneumothorax)

  • 이미경;류대웅;이삼윤;최종범;최순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5호
    • /
    • pp.371-376
    • /
    • 2005
  • 배경: 저자는 원발성 자연 공기가슴증 환자에서 고식적인 비디오흉강경하 쐐기절제술이 흉강경을 이용한 변형된 소절개술식보다 우수한가를 결정할 목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를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원발성 자연 공기가슴증을 보인 $14\~35$세 사이의 16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는 수술기법과 수술 접근법에 의해서 고식적인 흉강경하 쐐기절제술군(A군: 80예)과 흉강경을 이용한 변형된 소절개술식을 이용한 군(B군: 80예)으로 분류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술 후 늑막강 첨부의 찰과상과 탈크 도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는 수술시간, 수술 후 사용한 진통제의 사용일수, 수술 첫날 공기누출이 없는 수, 흉관 삽관일과 병원 입원일, 그리고 술 후 합병증, 추적기간 동안의 만성 흉통과 일상생활로 복귀할 때까지의 기간 그리고 또한 추적기간 동안에 수술동측에서의 재발을 평가하였다. 결과: 양 군사이에서 연구한 평가요소 중 어느 것에서도 의의 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론: 고식적인 비디오 흉강경하 쐐기절제술과 흉강경을 이용한 변형된 소절개술식은 원발성 자연 공기가슴증 환자의 수술적 치료에 있어서 유사한 결과를 야기하였다. 합병증의 발생률도 낮고, 통각도 장기 추적동안에 받아들일 만 하였다. 따라서 흉강경을 이용한 변형된 소절개술식 또한 가치 있는 대체수술 기법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