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험 농경지

Search Result 109,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Selection of Irrigation Structures which Effected by Wastewater by GIS (하수처리수에 영향을 받는 관개용 수리시설 선정과 GIS 자료구축)

  • Kim, Hae-Do;Lee, Kwang-Ya;Chung, Kwang-K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73-277
    • /
    • 2007
  • 하수처리장 현황은 2005년을 기준으로 271개소이며 2006년에는 23개소(526.1천톤/일)가 완공되어 총 294개소(22백만톤/일)의 하수처리장이 운영중에 있다. 또한 2006년내에 완공예정인 처리장은 68개소(693.5천톤/일)로서 2007년도에는 총 362개소(23,087천톤/일)로 예상하고 있다. 하수처리수를 년간으로 환산하면 약 84억톤 정도이며 이는 전체 수자원이용량 331억톤의 25%에 해당하는 수치이며, 농업용수이용량인 158억톤의 53%를 차지하는 규모이다. 이처럼 매년 $5{\sim}7%$씩 하수처리수가 늘어나고 있으며 더욱이 대부분 기존의 관개용 수리시설에 인접하여 방류되어 직 간접적으로 재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농업기반시설에 인접한 하수처리수가 얼마큼 농업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GIS 기법을 이용하여 하수처리장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인접하거나 방류지점 하류에 위치한 관개용 수리시설을 찾아내어 재이용 관리지역으로 선정하였고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재이용정보를 DB로 구축하였다. 연구결과 전국 271개소 하수처리장중 관개용 수리시설보다 상류측에 있으면서 반경 1.5km 이내에 위치한 하수처리장은 127개소로 나타났으며 현장조사결과 많은 지역에서 하수처리수를 농업용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이용하고 있었다. 이처럼 주변상황으로 인해 하수처리수를 농촌용수로 이용할 수밖에 없는 지역이 발생하고 있고 앞으로도 하수처리장이 계속 증설되고 있는 한 기존의 농업수리시설물은 하수처리수의 영향이 더욱 커질 것으로 판단되므로 하수처리장 주변의 농업기반시설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의(2005년 10월 19일)에서는 농업용수 10% 절약 대책과 유역단위의 통합적 물 관리를 요구하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현실적으로 매년 홍수 피해가 발생하고 있지만, 다른 한편 인구밀도가 높고 1인당 가용 수자원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국지적 물 부족 문제를 경험하고 있다. 최근 국제적으로도 농업용수의 물 낭비 최소화와 절약 노력 및 타 분야 물 수요 증대에 대한 대응 능력 제고가 매우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2006년 3월 멕시코에서 개최된 제4차 세계 물 포럼에서 국제 강 네트워크는 "세계 물 위기의 주범은 농경지", "농민들은 모든 물 위기 논의에서 핵심"이라고 주장하고, 전 프랑스 총리 미셀 로카르는 "...관개시설에 큰 문제점이 있고 덜 조방적 농업을 하도록 농민들을 설득해야 한다. 이는 전체 농경법을 바꾸는 문제..."(segye.com, 2006. 3. 19)라고 주장하는 등 세계 물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농업용수의 효율적 이용 관리가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내외 여건 및 정책 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물 분쟁에 따른 갈등해소 전략 수립과 효율적인 물 배분 및 이용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농업용수 수리권과 관련된 법 및 제도를 분석하였다.. 삼요소의 시용 시험결과 그 적량은 10a당 질소 10kg, 인산 5kg, 및 가리 6kg 정도였으며 질소는 8kg 이상의 경우에는 분시할수록 비효가 높았으며 특히 벼의 후기 중점시비에 의하여 1수영화수와 결실율의 증대가 크게 이루어졌다. 3. 파종기와 파종량에 관한 시험결과는 공시품종선단의 파종적기는 4월 25일부터 5월 10일경까지 인데 이 기간중 일찍 파종하는 경우에 파종적

  • PDF

Sensitivity Analysis of the MUSIC Model Parameters (MUSIC모형의 매개변수에 관한 민감도 분석)

  • Im, Jang-Hyuk;Yeoun, Ji-Woong;Park, Sung-Sik;Song, Jai-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36-240
    • /
    • 2007
  • 최근 집중호우에 의한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도시화에 따른 불투수 면적이 유출량 증가의 주요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으며 도시의 인구집중으로 인한 지하수의 난개발로 지하수 오염 및 고갈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도시의 지속적이고 건전한 물 관리를 위하여 우수유출저감시설이 고려되고 있으며, 정량적인 저감효과의 분석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호주에서 물관리 및 우수유출저감을 고려한 도시유역계획을 위해 이용되고 있는 모형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MUSIC 향후 국내 우수유출저감시설에 관한 수문 해석시 MUSIC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MUSIC의 매개변수 중 불투수율과 토양특성이 매우 중요한 매개변수로 고려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투수지역의 최대저류깊이, Soil storage(mm), 강우초기 최대저류깊이의 포화정도 Initial storage(%), 지하수위에 도달할 수 있는 Field capacity(mm), 최대 침투율에 영향을 미치는 건조토양상태의 침투율을 정의하는 계수 a와 함수비 증가에 따른 최대 침투율 감소를 정의하는 지수 b 등의 매개변수에 대해 초기값을 중심으로 일정비율로 각 매개변수를 10단계로 구분하여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매개변수의 민감도 분석 결과로부터 MUSIC의 모의를 위해서는 불투수율의 민감도 변화 범위가 가장 넓고 첨두유출량과 총유출량 변화가 함께 일어나므로, 이를 가장 우선적으로 조정하고 이와 함께 토양특성을 반영하는 Soil storage와 Initial storage를 고려한다면 MUSIC을 이용하여 개발에 의한 유출변화와 다양한 우수침투시설 설치에 따른 저감효과를 합리적으로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물 관리를 요구하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현실적으로 매년 홍수 피해가 발생하고 있지만, 다른 한편 인구밀도가 높고 1인당 가용 수자원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국지적 물 부족 문제를 경험하고 있다. 최근 국제적으로도 농업용수의 물 낭비 최소화와 절약 노력 및 타 분야 물 수요 증대에 대한 대응 능력 제고가 매우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2006년 3월 멕시코에서 개최된 제4차 세계 물 포럼에서 국제 강 네트워크는 "세계 물 위기의 주범은 농경지", "농민들은 모든 물 위기 논의에서 핵심"이라고 주장하고, 전 프랑스 총리 미셀 로카르는 "...관개시설에 큰 문제점이 있고 덜 조방적 농업을 하도록 농민들을 설득해야 한다. 이는 전체 농경법을 바꾸는 문제..."(segye.com, 2006. 3. 19)라고 주장하는 등 세계 물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농업용수의 효율적 이용 관리가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내외 여건 및 정책 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물 분쟁에 따른 갈등해소 전략 수립과 효율적인 물 배분 및 이용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농업용수 수리권과 관련된 법 및 제도를 분석하였다.. 삼요소의 시용 시험결과 그 적량은 10a당 질소 10kg, 인산 5kg, 및 가리 6kg 정도였으며 질소는 8kg 이상의 경우에는 분시할수록 비효가 높았으며 특히 벼의 후기 중점시비에 의하여 1수영화수와 결실율의 증대가 크게 이루어졌다. 3. 파종기와 파종량에 관한 시험결과는 공시품종선단의 파종적기는 4월 25일부터 5월 10일경까지 인데 이 기간중 일찍 파종하는 경우에 파종적량은 10a당 약 8${\ell}$이고 늦은 경우에는 12${\ell}$ 정도였다. 여기서 늦게 파종한 경우 감수의 가장

  • PDF

Monitoring of Endocrine Disruptor-suspected Pesticide Residues in Greenhouse Soils and Evaluation of Their Leachability to Groundwater (시설재배 토양 중 내분비계장애 추정농약의 잔류 모니터링 및 지하수 용탈 가능성)

  • Noh, Hyun-Ho;Lee, Kwang-Hun;Lee, Jae-Yun;Park, Hyo-Kyung;Lee, Eun-Young;Hong, Su-Myung;Park, Young-Soon;Kyung, Kee-Sung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 /
    • v.15 no.4
    • /
    • pp.441-452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residual characteristics of endocrine disruptor (ED)-suspected pesticides in greenhouse soils and assess their leachabilites to groundwater. Greenhouse soils were collected from 40 sites of greenhouse in 2008 in Korea. Sixteen ED-suspected pesticides which had been using in Korea, such as alachlor, benomyl, carbaryl, cypermethrin, 2,4-D, dicofol, endosulfan, fenvalerate, malathion, mancozeb, metribuzin, metiram, methomyl, parathion, trifluralin, and vinclozolin, in the soils, were analyzed by chromatographic methods using GLC-ECD and HPLC-DAD/FLD. Limits of detection (LODs) of the test pesticides ranged from 0.0004 to 0.005 mg/kg. Recoveries of the target pesticides from soil ranged from 72.69 to 115.28%. Four pesticides including cypermethrin were detected in the range of from 0.001 to 2.019 mg/kg, representing that their detection rate from greenhouse soils was 37.5%. The highest detection rate was observed from endosulfan which was detected from 16 site soils of the total samples, indicating that endosulfan is persistent in soil because of its very low mobility and high adsorption characteristics in soil. Based on the groundwater ubiquity scores (GUSs) of the pesticides detected from greenhouse soils, most of them have little possibilities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except the fungicide vinclozolin with some leaching potential because of high water solubility and very low soil adsorption property.

Effects of Liming on Uptake to Crops of Heavy Metals in Soils amended with Industrial Sewage Sludge (하수오니 시용토양에서 작물의 중금속 흡수이행에 미치는 석회의 영향)

  • Jung, Goo-Bok;Kim, Won-Il;Lee, Jong-Sik;Yun, Sun-Ga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21 no.1
    • /
    • pp.38-44
    • /
    • 2002
  • The effect of lime on plant availability of heavy metals in soils amended with industrial sewage sludge (ISS) or pig manure compost (PMC) was investigated. A pot experiment with Altari radish (Raphanus sativus) was conducted. Industrial sewage sludge and Pig manure compost were added at 25 and 50 Mg/ha, and lime was added at 3 Mg/ha. Heavy metal contents of ISS treated soils after experiment were higher than those in control (NPK plot) and PMC treatment. Specially, the contents of copper, zinc, nickel and chromium in the 50 Mg/ha of ISS treated soils were higher 12$\sim$48 times than those in control. Copper, zinc, and nickel contents in Altari radish leaves cultivated at the ISS treated soil exceeded the critical levels of plant toxicity. Copper, zinc, and nickel contents in Altari radish loaves and roots cultivated at the ISS treated soil were reduced by the addition of lime. Copper, zinc, and nickel contents in Altari radish loav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il pH after experiment. It concluded that liming would reduce the uptake of heavy metals by plants and be a temporary method of reclamation at the highly heavy metal accumulated soils by ISS.

Analysis of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hantancheon Catchment 2017 (2017년 차탄천 유역의 수문학적 특성 분석)

  • Kim, Dong Ph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41-345
    • /
    • 2018
  • 우리나라는 전 국토의 70%가 산지이고 하천경사가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급하여 홍수 관리에 매우 불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홍수기간의 집중호우 및 돌발홍수는 인명과 재산의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있다. 최근은 기후변화로 인하여 극심한 홍수, 가뭄 등 재해의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추세로 기후변화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재해 방재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중 대하천의 경우에는 비교적 수재해 방재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으나, 소하천(일부 중하천 포함)의 경우에는 취약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 특히 홍수기간(7월~9월)의 인명과 재산의 피해는 주로 소하천 위주로 발생하고 있으며, 사전 사후의 체계적인 대응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수재해 방재관리를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수문자료의 획득에 있으며, 그 이후 해당 유역에 적합한 수재해 대응을 위한 체계적인 방법론과 방재시스템 개발 운영이 수반되어야 안전한 방재관리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재해 방재관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중 소규모 유역 단위를 대상으로 지속적이고 신뢰성 있는 자료의 획득과 축적이 중요하므로 중 소규모 유역 단위의 대표성 있는 시험유역의 운영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운영하는 차탄천 유역(유역면적 $190.64km^2$, 유로경사 0.96%, 경기도 연천군 소재)의 신뢰성 높은 2017년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강우특성, 유출특성, 증발산량 등 수문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과거 관측결과와 비교하였다. 강우특성 분석으로는 호우사상 분리, 주요 호우사상 분석, 지속기간별 최대강우량, 시간분포 등이 있다. 2017년은 2016년보다 최대 강우지속기간과 평균 강우지속기간은 크게, 최대 강우강도는 작게, 평균 강우강도는 크게 나타나는 호우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2017년의 하천유출률은 강우량 대비 53.1%(장진교, 유역출구)와 60.4%(보막교, 중간소유역)로 과거 5년간의 평균 유출률인 장진교(52.4%)와 4년간의 평균유출률인 보막교(58.8%)와 비슷한 값을 보인다. 강우유출특성 분석결과 연간 강우량은 다소 적었지만, 평균 강우강도의 증가에 기인하여 2017년의 연간 하천유출량은 2016년보다 장진교는 약 39.5%의 증가와 보막교는 약 2.9% 감소가 하였다. 수문학적 동질성 갖는 유역에서 하천유출량의 차이는 강우량 발생 시기(2016년의 경우는 10월에 215.7mm의 강우량 발생)와 토지이용(중 하류부 농경지 발달)의 차이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2017년의 증발산량은 강우량 대비 장진교는 38.4%, 보막교 35.1%로 2016년 장진교의 50.1%보다는 감소하고, 보막교의 35.4%와는 비슷한 값을 보인다. 온도, 습도, 풍속, 일조시간에 영향을 받는 증발산량은 2016년 대비 기온(일최고/일최저)의 감소(90.6%) 습도(일최대/일평균/일최저)의 감소(98.5%), 일평균 풍속의 감소(54.7%)에 기인하여 적은 증발산량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산정된 수문자료는 수재해 방재를 위한 기초자료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므로 지속적인 시험유역의 운영은 매우 필요하다.

  • PDF

The Effect of Carbon Dioxide Leaked from Geological Storage Site on Soil Fertility: A Study on Artificial Leakage (지중 저장지로부터 누출된 이산화탄소가 토양 비옥도에 미치는 영향: 인위 누출 연구)

  • Baek, Seung Han;Lee, Sang-Woo;Lee, Woo-Chun;Yun, Seong-Taek;Kim, Soon-Oh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4 no.4
    • /
    • pp.409-425
    • /
    • 2021
  • Carbon dioxide has been known to be a typical greenhouse gas causing global warming, and a number of efforts have been proposed to reduce its concentration in the atmosphere. Among them, 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CCS) has been taken into great account to accomplish the target reduction of carbon dioxide. In order to commercialize the CCS, its safety should be secured. In particular, if the stored carbon dioxide is leaked in the arable land, serious problems could come up in terms of crop growth.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rbon dioxide leaked from storage sites on soil fertility. The leakage of carbon dioxide was simulated using the facility of its artificial injection into soils in the laboratory. Several soil chemical properties, such as pH, cation exchange capacity, electrical conductivity, the concentrations of exchangeable cations, nitrogen (N) (total-N, nitrate-N, and ammonia-N), phosphorus (P) (total-P and available-P), sulfur (S) (total-S and available-S), available-boron (B), and the contents of soil organic matter, were monitored as indicators of soil fertility during the period of artificial injection of carbon dioxide. Two kinds of soils, such as non-cultivated and cultivated soils, were compared in the artificial injection tests, and the latter included maize- and soybean-cultivated soils. The non-cultivated soil (NCS) was sandy soil of 42.6% porosity, the maize-cultivated soil (MCS) and soybean-cultivated soil (SCS) were loamy sand having 46.8% and 48.0% of porosities, respectively. The artificial injection facility had six columns: one was for the control without carbon dioxide injection, and the other five columns were used for the injections tests. Total injection periods for NCS and MCS/SCS were 60 and 70 days, respectively, and artificial rainfall events were simulated using one pore volume after the 12-day injection for the NCS and the 14-day injection for the MCS/SCS. After each rainfall event, the soil fertility indicators were measured for soil and leachate solution, and they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injection of carbon dioxid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sidual concentrations of exchangeable cations, total-N, total-P, the content of soil organic matter, and electrical conductivity were not likely to be affected by the injection of carbon dioxide. However, the residual concentrations of nitrate-N, ammonia-N, available-P, available-S, and available-B tended to decrease after the carbon dioxide injection, indicating that soil fertility might be reduced. Meanwhile, soil pH did not seem to be influenced due to the buffering capacity of soils, but it is speculated that a long-term leakage of carbon dioxide might bring about soil acidification.

Evaluation of Green House Gases Emissions According to Changes of Soil Water Content, Soil Temperature and Mineral N with Different Soil Texture in Pepper Cultivation (고추재배에서 토성별 토양수분, 토양온도, 무기태 질소 변화에 따른 온실가스배출 평가)

  • Kim, Gun-Yeob;Song, Beom-Heon;Roh, Kee-An;Hong, Suk-Young;Ko, Byung-Gu;Shim, Kyo-Moon;So, Kyu-ho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1 no.6
    • /
    • pp.399-407
    • /
    • 2008
  • Importance of climate change and its impact on agriculture and environment has increased with a rise of greenhouse gases (GHGs) concentration in Earth's atmosphere, which had caused an increase of temperature in Earth. Greenhouse gas emissions such as methane($CH_4$) and nitrous oxide($N_2O$) in the field need to be assessed. GHGs fluxes using chamber systems in the fields(2004~2005) with pepper cultivation were monitored at the experimental plots of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NAA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located in Suwon city. $N_2O$ emission during pepper growing period was reduced to 74.0~82.1% in sandy loam soil compared with those in clay loam soil. Evaluating $N_2O$ emission at different levels of soil water conditions, $N_2O$ emission at -50 kPa were lowered to 13.2% in clay loam soil and 40.2% in sandy loam soil compared with those at -30 kPa. $CH_4$ emission was reduced to 45.7~61.6% in sandy loam soil compared with those in clay loam soil. Evaluating $CH_4$ at different levels of soil water conditions, $CH_4$ emission at -50 kPa was lowered to 69.6% in clay loam soil and 55.8% in sandy loam soil compared with those at -30 kPa. It implied that -50 kPa of soil water potential was effective for saving water and reducing GHG emissions. From the path analysis as to contribution factors for $N_2O$ emission, it appeared that contribution rate was in the order of mineral N(51.2%), soil temperature (25.8%), and soil moisture content(23.0%) in clay loam soil and soil moisture content(39.3%), soil temperature (36.4%), and mineral N(24.3%) in sandy loam soil.

Assessment of Green House Gases Emissions using Global Warming Potential in Upland Soil during Pepper Cultivation (고추재배에서 지구온난화잠재력 (Global Warming Potential)을 고려한 토성별 온실가스 발생량 종합평가)

  • Kim, Gun-Yeob;So, Kyu-Ho;Jeong, Hyun-Cheol;Shim, Kyo-Moon;Lee, Seul-Bi;Lee, Deog-Bae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3 no.6
    • /
    • pp.886-891
    • /
    • 2010
  • Importance of climate change and its impact on agriculture and environment have increased with a rise of greenhouse gases (GHGs) concentration in Earth's atmosphere, which caus an increase of temperature in Earth. Greenhouse gas emissions such as carbon dioxide ($CO_2$), methane ($CH_4$) and nitrous oxide ($N_2O$) in the Upland field need to be assessed. GHGs fluxes using chamber systems in two upland fields having different soil textures during pepper cultivation (2005) were monitored under different soil textures at the experimental plots of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NAA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located in Suwon city, Korea. $CO_2$ emissions were 12.9 tonne $CO_2\;ha^{-1}$ in clay loam soil and 7.6 tonne $CO_2\;ha^{-1}$ in sandy loam soil. $N_2O$ emissions were 35.7 kg $N_2O\;ha^{-1}$ in clay loam soil and 9.2 kg $N_2O\;ha^{-1}$ in sandy loam soil. $CH_4$ emissions were 0.054 kg $CH_4\;ha^{-1}$ in clay loam soil and 0.013 kg $CH_4\;ha^{-1}$ in sandy loam soil. Total emission of GHGs ($CO_2$, $N_2O$, and $CH_4$) during pepper cultivation was converted by Global Warming Potential (GWP). GWP in clay loam soil was higher with 24.0 tonne $CO_2$-eq. $ha^{-1}$ than that in sandy loam soil (10.5 tonne $CO_2$-eq. $ha^{-1}$), which implied more GHGs were emitted in clay loam soil.

Comparison of Seedling Survival Rate and Growth among 8 Different Tree Species in Seosan Reclamation Area (서산 간척지에서 8개 교목 수종의 묘목 생육 비교)

  • Park, Pil Sun;Kim, Kyung Yoon;Jang, Woongsoon;Han, Ahreum;Jo, Jaechang;Kim, Jun-Beom;Kim, Jee-h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98 no.4
    • /
    • pp.496-503
    • /
    • 2009
  • Reclamation area is characterized by high soil salinity and high ground water table that are not favorable environment for tree growth. However, the increasing demand to convert the reclamation area from rice cultivation fields to industrial or residential complex, or parks accompanies the idea of introduction of trees in the area. This study aimed to suggest better performed tree species for the tree planting in the Seosan reclamation area, Chungchungnam-do. Seedlings of 8 tree species (Pinus densiflora, Pinus thunbergii,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Chionanthus retusus, Cornus kousa, Prunus sargentii, Quercus acutissima, and Zelkova serrata) were planted in 4 types of 10 m ${\times}$ 10 m experimental plots. The survival rate and the height growth of seedlings were measured from April 2006 to November 2008 on an annual basis. The experimental plots were constructed using 2 different soil material (dredged sand and dredged sand + forest soil), and 2 soil covering depth (1.5 m and 2.0 m). The tree species showed different survival rates for 3 years since planting (F = 9.632, P < 0.001). C. kousa, Q. acutissima, and P. sargentii showed high mortality rate while P. thunbergii, M. glyptostroboides and Z. serrata showed lower mortality rates. The seedling height growth for 3 years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species (F=4.749, P=0.002). Most of seedlings showed lower height growth in the second year, and the growth began to recover in the third year after transplanting. The survival rate and the growth of the seedlings were better in higher soil covering depth and forest soil material plots regardless of species. The combination of rank orders in survival rate and relative height growth indicates that P. thunbergii, M. glyptostroboides and Z. serrata would perform better than other species used in the experiment, while C. retusus, C. kousa and P. sargenti may not adapt well to this area.

Calculation of Bulk and Solution Electrical Conductivity of Soil Using Time Domain Reflectometry Measurements (TDR을 이용한 토양 총전기전도도 및 용액전기전도도 측정)

  • Bae, Byung-Sul;Choi, Woo-Jung;Han, Gwang-Hyun;Han, Kyung-Hwa;Yoo, Sun-Ho;Ro, Hee-Myong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6 no.1
    • /
    • pp.1-7
    • /
    • 2003
  • Time domain reflectometry (TDR) is a newly developed method for measuring simultaneously solute concentrations and volumetric water content of soil. Bulk electrical conductivity ($EC_a$) of soil is obtained from TDR signal using several equations proposed,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soil solution ($EC_w$) can be calculated using the linear relationship $EC_a=EC_w\theta(a\theta+b)+EC_s$ between $EC_a$ and $EC_w$ at constant soil water conten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EC_a$ proposed by several workers and to obtain the empirical constants (a, b, and $EC_s$) for $EC_w$ of the soils from A, Bl, and B2 horizon of an agricultural field (Coarse loamy, Fluvaquentic Eutrudepts). The $EC_a$ proposed by Yanuka et al. responded most sensitively to the KCl solute concentrations. The empirical constants of a, b, and $EC_s$ for $EC_w$ were -0.249, 1.358, and 0.054 for A horizon, -2.518, 2.708, and 0.097 for Bl horizon, and 2.490, -0.250, and 0.103 for B2 horizon, respectively.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Yanuka et al. equation was most useful one in determining $EC_a$, from TDR signal for agricultural soil with low salinity and that the empirical constants for the calculation of $EC_w$, from $EC_a$ can be obtained through a simple calibration experi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