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추공간

Search Result 230,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Characterization of Conductive Fractures in Fractured Rocks using Borehole Logging Data

  • 조민조;이대하;이승구;김형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8.11a
    • /
    • pp.109-113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전기전도도, 온도, 유속 검층을 이용하여 시추공내의 유동성 단열구조를 확인하고 각 유동성 단열구조를 통한 시추공간의 수리적 연결관계를 해석하였다. 검층은 자연상태와 인근 시추공으로부터의 양수에 의한 부정류상태에서 각각 실시되었다. 자연상태에서는 지하수 유동이 매우 느려 유동성 단열구조가 쉽게 인지되지 않으나, 부정류 상태에서는 각 시추공간의 수리적 연결성을 보여준다. 각 시추공별 검층에서 나타나는 유동성 단열구조는 모두 일치하지 않으며, 특히 부정류 상태에서의 유속 검층에서는 타 검층에서 인지된 유동성 단열구조중 일부만이 시추공간에 서로 수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 PDF

Effect of Borehole Fluid and Casing on the Borehole Electromagnetic Responses (공내수 및 케이싱이 시추공 전자탐사 반응에 미치는 영향)

  • Cho Seong-Jun;Kim Jung-Ho;Yi Myeong-Jong;Chung Seung-Hwan;Song Yoonho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2 no.2
    • /
    • pp.104-111
    • /
    • 1999
  • As a practical developing step of electromagnetic (EM) tomography technique, we quantitatively analyzed the effects of borehole fluid and casing on the borehole EM responses. The EM response turns out to have nothing to do with the property of the borehole fluid except in the close vicinity of the transmitter, which shows the wide perspective of the application of borehole EM. Single-hole responses in the presence of the steel casing throughly reflect those of the casing itself since its extremely high induction number or shallow skin depth. EM responses through steel casing do show the information of the host medium. In the near field region which corresponds to low frequency or the vicinity of the borehole, however, we can not separate the signal containing the information of the host from that of casing. Otherwise, the severe attenuation of energy in the casing at high frequencies renders the signal undetectable. The optimum frequency is, therefore, to be chosen to extract the information of the host considering both the property of the casing and the skin depth of the medium and the practical technique to determine the casing property through single-hole measurements is required.

  • PDF

Numerical modelling of electromagnetic waveguide effects on crosshole radar measurements (시추공간 레이다 측정에서 전자기 도파관 효과의 수치모델링)

  • Jang, Han-Nu-Ree;Park, Mi-Kyung;Kim, Hee-Joon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10 no.1
    • /
    • pp.69-76
    • /
    • 2007
  • High-frequency electromagnetic (EM) wave propagation associated with borehole ground-penetrating radar (GPR) is a complicated phenomenon.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governing physical processes, we employ a finite-difference time-domain solution of Maxwell's equations in cylindrical coordinates. This approach allows us to model the full EM wavefield associated with crosshole GPR surveys. Furthermore, the use of cylindrical coordinates is computationally efficient, correctly emulates the three-dimensional geometrical spreading characteristics of the wavefield, and is an effective way to discretise explicitly small-diameter boreholes. Numerical experiments show that the existence of a water-filled borehole can give rise to a strong waveguide effect which affects the transmitted waveform, and that excitation of this waveguide effect depends on the diameter of the borehole and the length of the antenna.

A study on Comparison of Surface Wave Tests for Soil Classification (지반분류를 위한 표면파 시험법의 비교 연구)

  • Jung, Jong-Suk;Park, Jong-Bae;Park, Yong-Boo;Sim, Young-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10.03a
    • /
    • pp.1000-1005
    • /
    • 2010
  • 국내에 대표적인 표면파 탐사법인 MASW, SASW, HWAW를 비교한 결과에 따르면, 세기법들의 결과가 매우 유사하게 도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각 현장별로 획득한 탐사심도의 차이가 존재하였다. 넓은 시험 측선을 필요로 하는 SASW 및 MASW 기법의 경우 현장 상황 및 조건에 따라 15m 정도의 얕은 심도의 물성만을 획득하였다. 표면파 기법은 토사층에서는 매우 신뢰성있는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2차원 영상화를 통한 넓은 영역의 물성치를 빠르고 경제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현재 지반조사 시 소수의 시추자료를 이용하여 부지의 특성을 파악하기 때문에 시추공간 물성치 및 지반구조에 대해서 확실한 파악이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표면파 기법은 토사층의 물성산출 뿐만 아니라 시추공탐사법을 보완하여 시추공간 물성변화를 파악하는 유용한 시험법이라고 판단된다.

  • PDF

Borehole Seismics: Review and Its Application to Civil Engineering (시추공 탄성파탐사 및 이의 토목공학적 응용)

  • Chang Hyun-Sam;Lim Hae-Ryong;Hong Jae-Ho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9.08a
    • /
    • pp.176-201
    • /
    • 1999
  • Principles, data acquisition, data processing of four frequently used borehole seismic methods, i.e., downhole seismic, vertical seismic profiling(VSP), crosshole seismic, and seismic tomography, are reviewed briefly. Field data examples are presented and their application to civil engineering area was also discussed.

  • PDF

Assessment of actual condition based on GIS for UHF band Propagation Interference caused by Apartment (GIS를 활용한 아파트 지역의 전파 장애 실태 평가)

  • 김진택;엄정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389-397
    • /
    • 2004
  • 본 연구는 GIS를 이용하여 아파트 단지의 UHF대역의 전파장애에 대한 예측모델을 제시한다. 전파예측모델은 기지국 및 중계기 위치설계와 전파음영지역 결정 등 무선네트워크 서비스에 결정적으로 활용된다 기존의 전파예측모델은 한국지형요소나 3차원 공간기술이 반영되지 않고 외국지형기반의 2차원적인 접근으로 개발되어 있다. 특히 많은 사람이 거주하는 아파트단지에 대해서는 고려가 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며, 마치 아파트 단지가 일반 건물로 취급되어 전파환경 요소로 분류되지 않은 상태이다. 그리고 전파관리자가 기존 전파 예측모델을 이용한 무선네트워크 설계 및 운용등에 있어 정확한 의사결정지원에 어려움이 많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아파트 단지의 전파에 대한 영향을 3차원 공간밀집, 건물높이, 전파의 전송방향에 대한 건물배치등 3가지 요소로 분류하고 GIS 도구로 그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상관과 회귀분석등 정량적인 방법으로 평가하여 아파트 전파예측모델(GARP)을 개발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첫째, 아파트 단지가 UHF 대역의 전파에 대한 영향은 전파진행방향성이 57%, 공간밀집이 30%, 건물높이가 13%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아파트 모델은 기존 모델에 비해 평균 6.3dBm, 최소 2.15 ~ 최대 12.48dBm의 개선 효과가 있다. 셋째, 급속히 확산되는 도시 개발에 3차원 공간상에서 전파예측모델을 시뮬레이션하여 전파의 영향을 예측할 수 있으며, 대단지 아파트 건설과 전파환경영향평가의 기초정보 수집에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GARP모델과 GIS 가시권 분석기능을 이용하여 실제 지형공간상에서 전파경로 손실치를 도시화함으로써 전파관리자가 무선서비스지역 설계, 전파음영지역 판단, 최적 중계기와 기지국 위치 선정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하지 않은 지역과 서로 다른 분광특성을 나타내므로 별도의 Segment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임상도의 경계선으로부터 획득된 Super-Object의 분광반사 값과 그 안에서 형성된 Sub-Object의 분광반사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임상도의 갱신을 위한 변화지역을 탐지하였다.라서 획득한 시추코아에 대해서도 각 연구기관이 전 구간에 대해 동일하게 25%의 소유권을 가지고 있다. ?스굴 시추사업은 2008년까지 수행될 계획이며, 시추작업은 2005년까지 완료될 계획이다. 연구 진행과 관련하여, 공동연구의 명분을 높이고 분석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시료채취 및 기초자료 획득은 4개국의 연구원이 모여 공동으로 수행한 후의 결과물을 서로 공유하고, 자세한 전문분야 연구는 각 국의 대표기관이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스굴에 대한 제1차 시추작업은 2004년 3월 말에 실시하였다. 시추작업 결과, 약 80m의 시추 코아가 성공적으로 회수되어 현재 러시아 이르쿠츠크 지구화학연구소에 보관중이다. 이 시추코아는 2004년 8월 중순경에 4개국 연구팀원들에 의해 공동으로 기재된 후에 분할될 계획이다. 분할된 시료는 국내로 운반되어 다양한 전문분야별 연구에 이용될 것이다. 한편, 제2차 시추작업은 2004년 12월에서 2005년 2월 사이에 실시될 계획이다. 수백만년에 이르는 장기간에 걸쳐 지구환경변화 기록이 보존되어 있는 ?스굴호에 대한 시추사업은 후기 신생대 동안 유라시아 대륙 중부에서 일어난 지구환경 및 기후변화를 이해함과 동시에 이러한 변화가 육상생태계 및 지표지질환경에 미친 영향을 이해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lieve in safety with Radioactivity wastes control for harmony with Environment.d by the experiments under vari

  • PDF

A spatial distribution study of Aquifer Using Geostatistical analysis at the Ulsan Manufacturing Industry City (지구통계기법을 이용한 대수층의 공간적 분포연구)

  • 김병우;정상용;강동환;이민희;성익환;조병욱;이승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229-232
    • /
    • 2003
  • 본 연구는 울산지역 지하수오염 저감기술의 개발에 필요한 대수층의 공간적 분포특성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울산 공업도시의 대수층에서 공간적 분포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추조사가 많이 필요 하지만 비용 및 시간 관계상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지질조사 보고서나 논문 등에서 지하수자료와 시추 자료를 획득하여 지구통계기법을 이용한 울산지역 대수층의 공간적 분포를 모사하였다. 그리고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남구와 중구를 중심으로 대수층 단면 분포를 모사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표토층 하부경계부와 풍화대 하부경계부에서 유사한 분포심도로 나타났으며, 지하수 수위는 표토층 하부경계와 암반층 상부경계부인 풍화대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3D Spatial Distribution Modeling for Petrophysical Property of Gas Hydrate-Bearing Sediment using Well Data in Ulleung Basin (울릉분지 시추공 분석 자료를 이용한 가스하이드레이트 함유층의 3차원 공간 물성 분포 추정)

  • Lee, Dong-Gun;Shin, Hyo-Jin;Lim, Jong-Se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2 no.2
    • /
    • pp.156-168
    • /
    • 2013
  • Drilling expedition #1 in 2007 and drilling expedition #2 in 2010 were performed for gas hydrate resources evaluation and optimal site selection of pilot test in Ulleung basin, East Sea, Korea. This study presents to build the 3D spatial distribution models using the estimated sedimentary facies, porosity, and gas hydrate saturation derived by well logs and core analysis data from UBGH1-4, UBGH1-9, UBGH1-10, UBGH1-14, UBGH2-2-1, UBGH2-2-2, UBGH2-6, UBGH2-9, UBGH2-10 and UBGH2-11. The objective of 3D spatial distribution modeling is to build a geological representation of the gas hydrate-bearing sediment that honors the heterogeneity in 3D grid scale. The facies modeling is populating sedimentary facies into a geological grid using sequential indicator simulation. The porosity and gas hydrate saturation modeling used sequential Gaussian simulation to populate properties stochastically into grid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