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설거주 노인

검색결과 199건 처리시간 0.025초

베하스(BeHaS) 운동프로그램이 시설에 거주하는 뇌졸중 노인의 악력과 우울 및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BeHaS Exercise Program on Hand strength,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in Institutionalized Elders with CVA)

  • 서은희;박선일;김종임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16-424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BeHaS exercise program consisting of exercise, education, and cognitive supports on the hand strength,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in institutionalized elderly people with CVA. Method: A quasi-experimental design with an experimental group (n=18) and a control group (n=18) was used. The eld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rogram once a week for eight week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and t-test with SPSS/Win 18.0. Results: Hypothesis 1 was supported as the hand strength of the elders in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Hypothesis 2 was also supported as depression scores for eld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Hypothesis 3 was supported as life satisfaction scores for eld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BeHaS exercise program can play a useful role in improving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in institutionalized elderly people with CVA.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치매노인을 위한 웃음요법과 음악요법이 우울과 자율신경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aughing and Music Therapy on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in the Elderly with Dementia)

  • 채경숙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7권3호
    • /
    • pp.245-252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laughing and music therapy on depression and the activities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in the elderly with dementia.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61 seniors over 65 years old with dementia, admitted to nursing homes. Twenty of them received laughing therapy, 21 received music therapy and 18 were in the control group. A total of 59 patients' data were analyzed. Depression was measured by Cornell Scale for Depression in Dementia tool, and the activities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by the heart rate variability measuring device.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Chi-square test, t-test, ANOVA, and Tukey test. Results: The depression of the music therapy group was more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the laughing therapy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activities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of the laughing therapy group were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e music therapy group. The magnitude of the activities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of the laughing therapy group were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e music therapy group.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music therapy was more effective than laughing therapy for the decrease of depression. Laughing and music therapy were more effective than in the control group for increasing the activities of the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and decreasing the activities of the sympathetic nerve system.

채식·비채식 식단에 따른 시설거주노인의 항산화 상태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Level of the Elderly Living in Institutions: Vegetarian and Non-vegetarian Diet)

  • 신성례;원경호;윤미은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55-366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ntioxidant level, serum cholesterol and skin ${\beta}$-carotene, of female elderly who had been living more then 10 months in institutions which offered either vegetarian or non vegetarian diet. Methods: Total of 110 female elderly, 56 from institution serving vegetarian diet and 54 from nonvegetarian diet, were recruited from institutions located in S and N city in Korea. ${\beta}$-carotene level was measured on their palm using Pharmanex Biophotonic Scanner and annual health evaluation data was utilized for the analysis of serum cholesterol. Results: The subjects on a vegetarian diet ha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phosphorus, carotene, and folic acid. The elderly who were living in an institution offering a vegetarian diet had a lower level of serum cholesterol and higher level of skin ${\beta}$-carotene, compared to those living in an institution offering a non-vegetarian diet. Conclusion: This study reveals that a vegetarian diet is beneficial in increasing skin ${\beta}$-carotene level, decreasing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 The skin ${\beta}$-carotene measurement appear valuable as a bio-marker of antioxidant intake. Further study on antioxidant food and effective serving strategy for elderly are recommended.

  • PDF

베하스(BeHaS)운동프로그램이 집단시설 거주 노인의 근력과 유연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BeHaS Exercise Program on Muscle Strength and Flexibility in Institutionalized Elders)

  • 김선애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3-102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BeHaS exercise program, developed by Jong Im Kim (2006), consisting of exercise, education and cognitive support on muscle strength and flexibility in elders who live in elderly facilities. Method: This study was designed using one group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design, 19 elders, the subjects of the group participated in the BeHaS exercise program. The BeHaS exercise program was provided for 60-80 minutes per session once a week for 8 weeks. Data was collected by research assistants using structured interview and measurement tool, from January, 2011 to March, 2011.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17.0,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with real number and percentage, muscle strength and flexibility were analyzed with Mean and SDs.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 pre and post test for the left shoulder flexibility (p=.000) and waist flexibility (p=.030). Conclusion: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at BeHaS exercise program played a useful role in partial improving flexibility in the Institutionalized Elders.

탄력저항성운동 프로그램이 인지기능저하 노인의 상지유연성 및 근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resistance training on joint flexibility and muscle strength of upper extremities of elderly with impaired cognition)

  • 김신미;이윤정;김환중
    • 한국노년학
    • /
    • 제29권3호
    • /
    • pp.987-1000
    • /
    • 2009
  • 시설입소 인지기능저하 노인은 전반적으로 활동이 부족하며 노화로 인해 근력, 유연성, 평형성 및 협응력 등이 약화되어 일상생활의 불편감 뿐 아니라 사고의 가능성이 증가되어 체계적인 활동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본 연구는 탄력밴드를 이용한 탄력저항성운동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유연성과 근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로 연구 대상자는 J시 소재의 노인시설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인지기능저하 노인 3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탄력저항성운동 프로그램 기간은 4주간으로 첫 주 3일간은 사전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이후 3주간 오전에 1시간씩 일주일에 5일, 총 15일간 진행하였다. 사후 측정은 운동 프로그램이 종료 후 2일간 이루어졌다. 프로그램 시작 전·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일상생활동작, 인지기능, 유연성(견관절 운동범위, 상지관절 주변조직의 신장능력), 근력(악력, 어깨근력)을 측정하였다. 탄력저항성운동 프로그램 시행 후 견관절 운동범위 중 우측 굴곡, 우측 신전, 우측 외회전 범위가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어깨근력의 경우 좌측 굴곡 근력, 좌측 신전 근력, 좌·우측 외전 근력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악력과 상지관절 주변조직의 신장능력은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탄력저항성운동 프로그램은 시설 입소 노인의 유연성과 근력에 비교적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프로그램의 일반화를 위해 대상자의 신체능력에 맞는 강도와 기간에 변화를 주는 연구와 효과시기, 효과의 소멸시기 등에 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하며 보다 더 정련된 프로토콜을 만들어야 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보행보조차의 사용성평가와 고령자의 생활에 미치는 영향 (Usability Test of Rollator Walkers and Effect of Rollator Walkers on The Lives of The Senior Citizens)

  • 강수아;김수현;박치욱;신혜원;이지영;이효원;정명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385-390
    • /
    • 2021
  • 본 연구는 보행보조차의 사용성평가 및 노인의 사회활동에 대한 조사를 통해 제품 R&D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제품이 고령자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아 고차원적 참고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성남시 거주 보행보조기 사용 노인 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결과 제품의 접이기능, 무게, 등받이의 형태, 의자의 재질 등에서 불만족이 나타났다. 사회활동 조사 결과 제품의 편의성이 노인의 외출 증가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승강기 및 대중교통과 같은 시설 이용의 불편이 외출 감소에 상당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노인의 일상생활 및 외출에 보행보조차의 기능개선도 중요한 요인 중 하나지만 도시적 차원의 인프라 개선 및 구축도 중요한 요인으로 파악된다.

사회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중소규모 A 도시 거주 노인 신체활동 촉진전략 모색 - 혼합연구기법으로 (Exploring Physical Activity Promotion Strategies for Older Residents in a Small Town Based on Socio-ecological Model: A Mixed Method Inquiry)

  • 김경오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2호
    • /
    • pp.47-67
    • /
    • 2016
  • 본 연구는 중소규모 도시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실제적 신체활동량을 측정하고, 이에 기반하여 이들이 인지하고 있는 신체활동과 관련된 문제점을 사회생태학적 모델을 통해 이해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총 3개의 세션으로 구성되었는데, 1차 설문조사, 2차 가속도계 연구, 3차 포토보이스 연구가 이에 해당된다. 개별적인 3 단계의 연구들은 혼합연구의 기법 중 포섭(nesting)의 방식 통해 통합적으로 분석되었다. 1차 설문조사과정에 참여한 134명의 노인 중 73명의 노인들이 주당 150분의 신체활동에 참여하지 않는다고 응답했으며, 이들 중 40명이 2차 가속도계 연구에 참여하였다. 2차 가속도계 연구에서 32명의 노인이 주당 150분의 중고강도 신체활동(MVPA)를 충족하지 못했으며, 이들 중 최종적으로 6명이 3차 포토보이스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5개의 테마가 귀납적으로 도출되었다. 1. 올바른 신체활동에 대한 정보 및 서비스 부재, 2. 주변인의 지지 부재, 3. 만성질환으로 인한 제약, 4. 시설의 부재, 5. 기존 생활습관 및 방식으로 인한 신체활동 기회부족이다. 사회생태학적 모델로 분석된 5개의 테마를 통해 최종적으로 개인적, 대인간, 조직적, 공동체적, 그리고 공공정책수준에서의 개선방안이 각각 제시되었다.

요양보호사의 노동인권에 관한 고찰 (Labor Human Rights for Care Workers)

  • 전찬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34-242
    • /
    • 2013
  • 2007년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이 제정되었고 이 법은 질병 및 장애가 있는 노인들에 대한 요양비용을 사회구성원들이 함께 부담하는 체계를 구축하여 노인 및 그 가족구성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를 실현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제도가 마련되었다. 요양보호사란 거동이 불편한 노인을 시설에서 돌보거나 또는 노인이 거주하는 가정을 방문하여 보호활동을 벌이는 사람들을 말한다. 그런데 최근 발표된 국가인권위원회의 조사에 의하면 요양보호사들의 근무환경이 매우 열악한 것으로 드러났다. 저임금, 포괄임금의 남용, 장기간 근로, 인력배치기준 및 휴게시설 미비, 요양보호서비스 이외의 노무제공, 수급자에 의한 성희롱 등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인구의 고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고 노인들에 대한 요양보호의 중요성과 요양보호사들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한다면 이들의 업무환경에 대한 개선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러한 견지에서 이 논문은 국가인권위원회가 발표한 자료를 바탕으로 노동인권의 측면에서 요양보호사들이 겪고 있는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효과적인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 해본다. 결국 요양보호사들이 직면한 문제들을, 정부의 철저한 관리 감독과 요양보호사의 처우 개선 그리고 수급자의 인식 개선 등을 통해 바로잡는다면 더 나은 노동환경에서 요양보호사들이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비타민 보충제 영양강화요법이 경도인지기능장애 노인에게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ral Vitamins on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이혜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294-303
    • /
    • 2017
  • 고령인구가 증가하면서 각종 노인성 만성질환 및 치매질환의 유병률 또한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치매는 우리사회의 큰 관심 질환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복지시설에서 거주하고 있는 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비타민 보충제의 영양 강화요법이 경도인지기능 노인에게 미치는 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자료는 K지역에 위치한 노인복지시설 2개의 다른 건물에 입소한 노인 48명을 대상으로 각각 다른 건물에서 하나의 건물에서는 실험군 집단을 하나의 건물에서는 대조군 집단을 선정하였으며, 4,8,12주에 걸쳐 비타민 보충제를 복용한 후 호모시스테인 혈중농도와 인지기능을 평가하였다. 표집방법은 자료수집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임의 표집방법을 이용분석을 위해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와 independent t-test, Repeated Measure ANOVA, Contrast test, Repeated Measure ANCOVA, Wilks' lambda test를 실시하였으며, 인지기능 향상 효과에 대한 Contrast test를 실시한 결과, 12주차(p<.001) 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구 비타민제를 복용한 실험군의 인지기능 12주에서 대조군보다 각 시기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12주차(p<.05)에 실험군의 인지기능이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고, 호모시스테인 효과에 대한 12주(p<.01)에서 비타민제 복용이 효과가 유의하게 발생하여 대조군보다 호모시스테인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경구비타민을 복용한 노인에게서 인지기능이 증가하였고, 호모시스테인 혈중농도가 주별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치매로 갈 수 있는 경도인지장애 대상자들에게 비타민 보충제 복용은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하고, 복용이 간편하여 추후 인지기능 저하 및 치매발생을 예방할 것으로 기대된다.

노인요양시설 간호사의 거주노인 잔존기능관리: 개념개발연구 (Nurses' Management of Nursing Home Residents' Remaining Functional Ability: Concept Development)

  • 임선영;장성옥;김수진;김현주;최정은;박민선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7-68
    • /
    • 2014
  • Purpose: Nurses' management of Nursing Home residents' remaining functional ability is phenomena emphasizing as the main practice focus in long term care and has specific meanings within the context of quality of life for fragile and disabled elderly people in nursing hom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and to conceptualize the phenomena of nurses' management of nursing home residents' remaining functional ability. Method: The Hybrid Model of concept development was applied to develop a concept of nurses' management of residents' remaining functional ability. Results: This concept of nurse' management emerged as a phenomenon having meanings in two different dimensions, deliberation and enactment for five types of residents: residents with declining function and dementia requiring nursing assistance, bed-ridden residents with moderate dementia, residents with advanced dementia and behavior problems, but good physical health, residents at the end of life stage, and bed-ridden residents with intact mental health. Conclusions: Results indicate that nurses' management of remaining functional ability of residents in nursing homes is a concept having types of needs that should be treated in specified ways. Interventions should have a positive impacts on practical applications in nursing homes and on enhancing residents' remaining fun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