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oring Physical Activity Promotion Strategies for Older Residents in a Small Town Based on Socio-ecological Model: A Mixed Method Inquiry

사회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중소규모 A 도시 거주 노인 신체활동 촉진전략 모색 - 혼합연구기법으로

  • Received : 2016.01.29
  • Accepted : 2016.03.21
  • Published : 2016.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barriers and problem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y of older adults in a small town and to provide improvement plans based on socio-ecological model. This study employed three independent phases including survey, accelerometer study, and photovoice. Three phases were analyzed based on nesting design among diverse mixed method designs. Among 134 older participants, 73 older individuals reported that their physical activity per week was less than 150min in the first phase. Among the 73 older individuals, 40 older individuals participated in the second phase. In the second phase, 32 older individuals does not meet at least 150min of moderate-to-vigorous physical activity(MVPA) suggested by DHHS. Finally, 6 older adults participated in the third phase. Five major themes emerged including 1) lack of proper information and service regarding physical activity, 2)lack of support from people close to them, 3)some limits due to chronic disease, 4)lack of appropriate facility, and 5)lack of opportunity due to existing inactive lifestyle. Based on these five themes,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the improvement plans with socio-ecological model.

본 연구는 중소규모 도시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실제적 신체활동량을 측정하고, 이에 기반하여 이들이 인지하고 있는 신체활동과 관련된 문제점을 사회생태학적 모델을 통해 이해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총 3개의 세션으로 구성되었는데, 1차 설문조사, 2차 가속도계 연구, 3차 포토보이스 연구가 이에 해당된다. 개별적인 3 단계의 연구들은 혼합연구의 기법 중 포섭(nesting)의 방식 통해 통합적으로 분석되었다. 1차 설문조사과정에 참여한 134명의 노인 중 73명의 노인들이 주당 150분의 신체활동에 참여하지 않는다고 응답했으며, 이들 중 40명이 2차 가속도계 연구에 참여하였다. 2차 가속도계 연구에서 32명의 노인이 주당 150분의 중고강도 신체활동(MVPA)를 충족하지 못했으며, 이들 중 최종적으로 6명이 3차 포토보이스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5개의 테마가 귀납적으로 도출되었다. 1. 올바른 신체활동에 대한 정보 및 서비스 부재, 2. 주변인의 지지 부재, 3. 만성질환으로 인한 제약, 4. 시설의 부재, 5. 기존 생활습관 및 방식으로 인한 신체활동 기회부족이다. 사회생태학적 모델로 분석된 5개의 테마를 통해 최종적으로 개인적, 대인간, 조직적, 공동체적, 그리고 공공정책수준에서의 개선방안이 각각 제시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