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설거주노인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25초

노인전문요양시설의 거주단위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ototype for Residential Units in Nursing Homes for the Severe Illness)

  • 권순정;오종희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39-49
    • /
    • 2004
  • With its rapid modernization and unparalleled speed of aging, South Korea faces the need for dramatic increase in its supply of nursing homes. Among the spacial components of nursing homes, residential units are considered as an essential part because the older person in nursing homes usually spend most of their time in residential units and the nursing homes are mainly composed of various residential units. It is necessary, therefore, to prepare a guideline for the plan of residential units in order to design the healthy and efficient nursing homes. This paper has first identified the concept of residential unit and analyzed 66 cases in the 62 nursing homes from 4 countries. And 4 nursing homes in Korea have been surveyed for the in-depth study.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architectural prototypes of residential units have been proposed and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m have been compared analytically.

  • PDF

유료노인거주시설의 공용공간 배치유형과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ayout Patterns and the Behaviors in the Public Spaces of Residential Care Facilities for Elderly People)

  • 김동규;이특구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3권5호
    • /
    • pp.29-39
    • /
    • 1997
  • Elderly people should have a great load because of life in facility away from their a community. It needs careful concern for Public spaces. The mayor questions of this thesis are to seek a correlation of a Layout patterns of Public-spaces and Resident's behaviors in Public spaces ; and to seek a correlation of a Layout patterns of Public-spaces and the scale of Paid residential care facilities for Elderly people in Korea and Japan. Finally, the thesis suggests the layout patterns of public spaces that is suitable to scale of facilities and Elderly people's behaviors.

  • PDF

충남지역 일부 시설노인과 재가노인의 식생활 및 영양섭취상태 비교 (Comparative Study on Dietary Life and Nutrient Intakes of Elderly Persons at Nursing Home or Their Home in Chungnam)

  • 송은숙;김은진;김명희;최미경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49-66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거주상태가 다른 시설과 재가 노인들의 식생활 및 영양섭취상태를 비교, 분석하여 질적으로 우수한 양질의 급식을 제공하고 합리적인 식생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충남지역 일부 시설노인 150명과 재가노인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설노인과 재가노인의 낮잠 빈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외출 빈도는 재가노인이 시설노인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일상생활 신체활동 정도에서 시설노인이 재가노인보다 매우 가벼운 활동을 한다는 비율이 높았으나, 운동 빈도에서는 시설노인이 재가노인에 비해 규칙적인 운동 비율이 높았다. 2. 시설과 재가 노인 대부분이 질병을 가지고 있었으며, 남자 시설노인은 치매(50.0%)와 소화기질환(30.0%), 재가노인은 혈관질환(40.0%)과 당뇨병(26.0%)순으로 질병을 가지고 있었다. 여자의 경우 시설노인은 소화기질환(43.0%)과 혈관질환(27.0%), 재가노인은 혈관질환(46.0%)과 심장질환(27.0%) 순으로 나타났다. 영양제 복용의 경우 남자 시설노인은 안한다는 응답이 52.0%로 높았으며, 재가노인의 60.0%가 가끔 먹는다고 응답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흡연, 음주, 구강상태와 같은 건강관련 평가는 시설노인이 재가노인보다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식사 빈도의 경우, 여자 노인은 아침, 점심, 저녁식사를 매일 한다는 비율이 재가노인보다 시설노인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남자 노인은 저녁식사를 매일 한다는 비율이 시설노인보다 재가노인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식사의 양에서는 시설노인은 적당량 식사를 한다고 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재가노인은 배부를 때까지 식사한다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식사시간은 시설노인들의 식사시간이 재가노인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일 간식빈도에서 시설노인은 1회가, 재가노인은 2회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4. 영양소 섭취량의 경우 시설노인의 에너지 섭취량은 남녀 각각 2,229.9 kcal와 2,302.1 kcal로 재가노인의 1,894.0 kcal와 1,885.9 kcal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그밖에 단백질, 비타민 A, 비타민 $B_1$, 비타민 $B_2$, 니아신, 엽산, 비타민 C, 칼슘, 인, 철, 아연 등의 영양소 섭취량이 재가노인보다 시설노인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시설노인의 건강상태가 재가노인보다 불량함에도 불구하고, 식사빈도, 식사 섭취량, 영양 섭취량 등이 재가노인보다 높게 나타났다. 향후 시설노인과 재가노인에 대한 영양평가 및 관리가 지속적이고 전문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할 것이다.

남자노인 1인가구의 거주지 주변 활동공간 이용실태 및 요구 분석 (The Use and Needs of Activity Spaces Near Housing Environments of Single Elderly Men Households in Korea)

  • 박성신;이민아;신영화;박영례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5호
    • /
    • pp.265-297
    • /
    • 2017
  • 본 연구는 남자노인 1인가구의 공간복지를 위한 정책 및 제도개선을 위한 기초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전북 군산시에 거주하는 18명의 남자노인 1인가구의 활동공간 이용실태와 요구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남자노인 1인가구의 사회정서적 네트워크는 친구나 동료에 집중되었고, 자녀및 노인과의 교류가 간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이웃과의 네트워크는 희박하였다. 비공식적 상호작용은 공원이나 식음공간, 커뮤니티 시설과 같은 제3의 장소와 명확한 경계를 가진장소에서 주로 이루어졌고, 희망하는 공간은 식사제공, 노인 공동생활, 일거리, 취미여가활동, 시설개선 등과 관련이 있었다. 활동공간 이용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거주지역과 건강으로 분석되었고, 이 외에 사회정서적 네트워크와 경제적 상황, 취업여부 또한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할 수 있다. 활동반경의 범위가 좁은 비활동적 노인들을 위해 거주지와 근접한 장소에 산책 및 여가 공간 등을 위치시키고, 이동을 지원하는 설비가 필요하며, 지역 주민들이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공공기관 내 교육, 취미여가공간이나 젊은 세대와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 공간에 대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거주지 주변 시설 및 공간에 대한 정기적인 수선, 유지관리, 그리고 올바른 이용을 위한 주민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지역사회는 남자노인들에게 필요한 것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고 지원하는공간과 원활한 운영이 가능한 제도와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ies 거주 노인들의 급식서비스에 대한 인식

  • 이경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95-395
    • /
    • 2004
  • 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ies (CCRC)는 노인들을 위해 주거, 급식, 의료 및 기타 서비스를 제공하는 long-term care service의 한 종류이다. CCRC는 한 시설 내에서 independent living, assisted living, skilled nursing 서비스를 모두 제공한다는 점에서 다른 long-term care service와 구별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CCRC에서 제공되는 급식서비스의 품질(service quality)과 가치(perceived value)에 대한 노인 고객들의 인식, 고객만족도(customer satisfaction), 급식관련 행동의사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었다.(중략)

  • PDF

도시 오픈스페이스가 옥외 여가활동에 미치는 영향 - 전체 주민과 노인을 대상으로 - (The Effect of Urban Open Space on Outdoor Leisure Activities - Focusing on Whole Residents and the Elderly -)

  • 윤정미;최막중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1-29
    • /
    • 2014
  • 소득수준 향상으로 삶의 질이 중시되는 시대로 접어들면서 건강과 여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환경과 도시민의 여가의 관계에 주목하여 공원, 하천과 같은 도시 오픈스페이스가 거주민, 특히 고령화 사회의 사회적 관심사인 노인 거주민의 옥외 여가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여가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수요와 공급요인 중에서 선행연구는 주로 수요측면의 개인 특성에 초점을 맞춘 반면, 본 연구는 공급측면의 환경적 지역적 특성을 함께 고찰하는 특성을 지닌다. 분석자료는 개인의 거주지역 정보가 행정동의 근린수준까지 세분화되어 있는 2010년 국민여가활동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개인 및 지역특성을 동시에 고려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과 함께 위계선형분석을 수행하였다. 두 모형에서 일관되게 발견되는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 오픈스페이스 공급은 거주민의 옥외 여가활동 증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이러한 오픈스페이스 공급효과는 노인계층에서 더욱 크게 나타난다. 셋째, 도시 오픈스페이스가 제공하는 옥외 여가활동은 상대적으로 소득수준, 교육수준이 낮은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에게 더욱 유용하다. 종합하면 도시 오픈스페이스가 옥외 여가공간으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노인시설, 공공보건시설, 사회복지시설로서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발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에서 도시오픈스페이스는 도시계획시설의 관점에서 고령화사회에 대응하고 건강도시와 복지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지방공공재 공급계획의 일환으로 확장될 필요가 있다.

거주형태에 따른 노인 우울증과 자살경향성 비교 연구 (Geriatric Depression and Suicidality According to Residence Type among the Elderly in a Rural City Area)

  • 왕희령;최용성;조명제;최윤미;신희숙;제수경;최재원;홍진표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5-54
    • /
    • 2010
  • 본 연구는 이천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인구를 대상으로, 우울증의 유병률과 자살경향성, 우울증과 자살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살펴본 연구이다. 전체적으로 우울증의 유병률은 28% 정도로 파악되어 실제로 65세 이상의 연령대에서 상당수의 노인들이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우울증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자살경향성은 전체 조사대상자의 약 20%에서 자살생각, 자살의도, 자살계획, 자해의도, 자살시도 중 한 가지 이상을 지난 한 달 동안 경험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 형태별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혼자 생활하거나 시설에서 생활하는 노인들에서 동거가족이 있는 노인들보다 우울증의 유병률이 높고, 증상도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에게서 자살경향성 역시 높은 것으로 파악되어 이들 고위험군에 대한 보다 집중적인 우울증의 조기 발견 및 자살예방사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위험요인 분석에서는 고령, 시설거주, 낮은 사회적 지지 수준은 우울증의 위험요인으로, 독거생활, 시설거주, 낮은 사회적 지지 수준, 두통의 기왕력은 자살경향성의 위험요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일본 노인요양시설의 연구경향에서 본 거주환경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 of Living Environment Examined form Research Trend of Elderly Care Facility of Japan)

  • 김선태;김대년;윤영선;문재호;변혜령;정미렴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20-425
    • /
    • 2006
  • By considering research trend how flow of elderly welfare policy of Japan, which experienced an aging society already, has changed and developed and characteristic of living environment, this study has its purpose to offer basic data to be helpful for finding out direction of Korean future elderly care facility. Way of study worked with only Special Nursing Home and Group Home where elderly with dementia mainly lived among researches of elderly welfare facility published in proceeding of Architecture Planning Engineering of Japan from Jan, 1990 to Sep, 2006. And the number of example of analysis was total 69. The result was classified by year, facilities, and keyword and this study has its focus on discussion of space planning element requested as living environment.

  • PDF

반의존 노인을 위한 시설주거의 계획방향 -미국 반의존형 노인시설주거의 노인거주자와 근무자의 거주후 평가결과를 기초로- (Design Guidelines for the Housing for the Elderly -Based on the POE of Assisted Living Facilities in USA-)

  • 오찬옥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73-81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arry out POE of assisted living housing and suggest the design guidelines for the housing complex for the elderly. The subjects were residents(old persons) and staff who lived or worked in three assisted living housing in Cincinnati, Ohio. Interview and survey method using questionnaire were used. The design guidelines for the housing for the elderly were suggested as follows: 1) the location of the housing for the elderly should be in or near the existing housing area, 2) the arrangement of spaces of the housing for the elderly should consist of small groupings rather than large and long corridor pattern, 3) the number of the housing units for the elderly should be small, under 100 units, 4) the housing units should be used by one older persons so that she/he could have the chance of privacy and personalization, 5) various common spaces such as art and craft room or game room should be provided, 6) accessibility should be considered, 7) the color and patterns of interior finishes should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floors or spaces and familiar ones should be used to make a homelike environment.

  • PDF

고령자를 위한 사례기반추론에 기반한 상황인식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he Context-Aware System for Senior Citizen based on Case-Based Reasoning)

  • 김정숙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419-424
    • /
    • 2015
  • 고령화 사회로 진입된 현재 노인들의 응급상황에 대한 안전 보호 기능이 더욱 요구되고 있으나, 노인들이 거주하고 있는 주거설비나 시설들은 노인의 안전에 대한 특성을 배려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각종 안전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특히 현재, 홀로 거주하는 노인들이 집안 내부 중 폐쇄공간인 화장실과 욕실과 같은 공간에서 발생하는 응급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기능은 호출 버튼을 누르는 정도이나, 노인들의 경우 화장실과 욕실에서 미끄러짐과 넘어짐과 같은 응급 상황이 많이 발생하고 있고 특히 생명과 직결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노인들이 거주하는 집안과 자주 이용하는 화장실에서 노인 안전 보호 기능을 강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센서를 통해 노인들의 움직임과 동작을 수집하고 수집된 노인들의 생활 패턴 정보에 대해 사례기반추론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상황을 인식하여 응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가족 혹은 친척이나 관련 기관에 전화를 걸어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