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력건강증진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5초

초등학생의 시력저하 관련요인 (Related Factors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문경애;이무식;나백주;이진용;홍지영;배석환;유세종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677-680
    • /
    • 2010
  • 본 연구는 경기도 구리시의 2개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시력 저하 실태 및 그와 관련된 요인들을 알아보고 시력 저하 예방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 된 연구이다. 자료의 수집은 2009년 11월 1일부터 12월 10일까지 초등학교 5학년, 6학년 학생 793명(남 417명, 여 376명)이었고 2009학년도의 시력검사자료 분석과 문헌 및 기존의 조사도구를 토대로 개발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2.0(한글판)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x^2$-test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통계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시력저하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좌측시력을 종속변수로 한 경우 중 일반특성에 따른 변수인 부모 및 형제와 자매가 안경 및 렌즈 착용하는 경우, 경제적으로 어려울수록 시력 저하 자가 많았고, 환경특성에 따른 변수인 거실 및 방안밝기가 어두울수록, 컴퓨터 사용 시 실내밝기가 어두울수록, TV의 눈높이 및 컴퓨터 모니터의 눈높이가 높을수록 시력 저하 자가 많았다. 우측시력을 종속변수로 한 경우 중 일반특성에 따른 변수인 부모가 안경 및 렌즈를 착용할수록, 형제 와 자매가 안경 및 렌즈를 착용할수록, 경제적으로 어려울수록 시력 저하 자가 많았고, 환경특성에 따른 변수인 거실 및 방안밝기가 어두울수록, 컴퓨터 사용 시 실내밝기가 어두울수록, TV의 눈높이 및 컴퓨터 모니터의 눈높이가 높을수록 시력 저하 자가 많았다. 안경 및 렌즈를 종속변수로 한 경우 중 일반특성에 따른 변수인 부모 및 형제와 자매가 안경 및 렌즈를 착용할수록, 경제적으로 어려울수록 시력 저하 자가 많았으며, 환경특성에 따른 변수인 거실 및 방안밝기의 실내밝기가 어두울수록, TV의 눈높이 및 컴퓨터 모니터의 눈높이가 높을수록 시력 저하 자가 많았다. 눈 건강상태를 종속변수로 한 경우 중 일반특성에 따른 변수인 경제적으로 어려울수록 시력 저하 자가 많았고, 건강행동특성에 따른 변수인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눈 피로감이 있을수록 시력 저하 자가 많았으며 환경특성에 따른 변수인 거실 및 방안밝기의 실내 밝기가 어두울수록 시력 저하 자가 많았다. 시력저하관련 요인을 연구한 결과 학생들의 시력 저하 자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유전적 요인에 의한 시력저하는 개인의 노력에 의하여 사전예방이 어렵지만 환경적 요인에 의한 시력저하는 노력과 관심으로 사전예방이 가능하므로 학생들의 시력건강증진을 위하여 학부모와 학교 및 전문 의료기관이 서로 연계적인 협조 하에 학생들 개개인에 맞는 효율적인 시력증진관리프로그램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고, 현행학교시력검사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표준화된 시력검사 지침을 개발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지역 및 환경적 배경이 다르다 보니 연구결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여러 지역의 학생을 대상으로 다양하고 체계적인 연구를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 PDF

학령전기 아동의 시력건강증진 프로그램 효과 (The Effects of Visual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Preschool Children)

  • 윤영미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57-264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visual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preschool children. Method: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visual health promotion program was 32 preschool children and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34 preschool children by homogeneous age. The visual health promotion program was based on articles related to childern's visual health promotion and previous education program. Data were collected with 3 questionnaires that modified by the investigator.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SPSS win 10.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x^2$ test, t-test. Result: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visual health promotion of preschool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visual health promotion program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preschool children who did not participate(t=.02, P<.001). The level of behavior about visual health promotion of preschool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visual health promotion program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preschool children who did not participate(t=.31, P<.001). Conclusion: The visual health promo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an effective strategy for nursing intervention by increasing knowledge and behavior about visual health promotion of preschool children.

  • PDF

안구운동이 대학생의 눈 건강과 동체시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ye Health and Dynamic Visual Activity on Eye Movement in University Students)

  • 김주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91-199
    • /
    • 2020
  • 젊은 세대들은 스마트폰, 텔레비전, 컴퓨터 등 다양한 시각 매체들의 발달로 눈을 많이 사용함으로써 눈의 건강도 약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안구운동과 치료적 마사지로 안구근육을 자극하여 눈건강과 동체시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대의 대학생 38명을 대상으로 대조군(18명)과 실험군(20명)으로 나누고, 실험군은 안구운동과 치료적 마사지를 매일 30분씩, 주 5회, 4주 동안 실시하였다. 눈 피로도, 눈 뜬 상태 유지 시간, 안구표면온도, 동체시력은 연구 전과 4주 후에 측정하였다. 4주 후 눈피로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눈 뜬 상태 유지 시간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안구표면온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p>.05), 동체시력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따라서, 눈의 기능 증진과 눈 건강을 위하여 안구운동과 치료적 마사지를 권장한다. 눈 건강을 회복하고 예방하기 위한 연구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시력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시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vision care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 이정렬;유일영;이은숙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37-148
    • /
    • 1999
  • The necessity of school health promoting projects is well known to many researchers,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for school health programs and the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The results of our previous study in 1996 identified poor eyesight as one of the several health problem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urban areas.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mplement, and evaluate vision car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research method utilized a quasi experimental design using non-equivalent group, pre-post comparison. The sample consisted of all second grade children in two elementary schools in Kyung-giProvince. In order to prevent a contamination effect of the vision care program, one school was selected as a control and the other school was selected as a treatment group. The experimental school had 467 children and the control school had 402 children. The visual acuity of children in both group was measured and a survey questionnaire was sent out to parents on the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related to vision care before the program was implemented. The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school received the following programs; separate education on proper nutrition and care of eyesight for children and parents, daily eye exercises using video tape, and an essay and poster contest on healthy eyesight. The eye exercise program lasted from March, 1997 to November, 1997. On November, 1997, visual acuity was measured again from children in both schools.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AS statistical packag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p〈0.001) better eyesight than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Also, some of the behavior highly related to the poor eyesight are poor maternal eyesight and watching TV from a short distance. In conclusion, one of the significance of this project is that the vision care program was developed after the need assessment. It will be encouraged in the future that more school health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fter a need assessment. Also, inclusion of family members was important in health promoting projects within a school setting since healthy behavior needs to be reinforced at horne as well as at school.

  • PDF

서울시 소재 고등학교 학생들의 시력저하실태 및 시력관리를 위한 건강행위 이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Visual Acuity Change and Caustive Factors Influencing Decreased Visual Acuity for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 김은주;고승덕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68-86
    • /
    • 1994
  • In order to provide data of effective health education for practice of preventive health behavior for visual acuity care. The authors investgated the actual acuity and health behavior for visual acuity ca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50 students in high school.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hich has been made through references and student's health recor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s students move up to grade, the number of students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had a tendency to increase. In cases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below 0.2 in one or both eye, the number of cases was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moving up to grade, especially visual acuity of right eye was more decreased than that of left eye. 2) As to proportion of the group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among the total students, among 2250 students, students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was 35.6%(800 students). According to school type, in academic school, frequency of students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in day school was higher then that in night school. In commercial school, the frequency of students who had decreased visual acuity in night school were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in day school. 3) As to variables influencing the decreased visual activit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groups with normal visual acuity and groups with subnormal in terms of awareness of visual acuity by themself, parent's visual acuity, unbalanced eating habit, distance from television, or books, posture in watching television, posture in reading, awareness of illumination in classroom. 4) As to practice of protective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for visual acuity care, In group with normal visual acuity. There was good practice such as proper eating habit, proper studying habit, and health habit in its descending order, but proper illumination and regular eye test were practiced poorly. In group with subnormal visual acuity, one of the vest practice in visual acuity care was an effort to prevent eye strain. Other good practice involve tasking regular eye test, maintaining proper studing habit, in its descending order.

  • PDF

VDT작업대 설계의 인간공학적 연구

  • 권영국;이성렬;민재형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1992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 및 초록집; 울산대학교, 울산; 01월 02일 May 1992
    • /
    • pp.581-591
    • /
    • 1992
  • 최근 급속한 사무자동화와 함께 컴퓨터의 사용이 보편화되어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컴퓨터등 VDT에 매달려 일하는 사무직 근로자들이 시력장해, 두통, 어깨결림, 요통, 스트레스성 장애등 새로운 질병에 시달리고 있다. 이것은 "VDT증후군"(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또는 "VDT병"이란 신종 직업병이다. 컴퓨터 수상기 화면을 계속해서 들여다보면 화면에서 나오는 자외선과 강한 빛으로 눈에 무리가 와 충혈되고 침침해지며 두통 증세가 나타난다. 이런 초기증상이 6개월이상 계속되면 시력이 떨어지고 만성피로를 느끼는가 하면, 때때로 독감과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며, 심하면 탈모현상까지 경험하게 된다. 요즘 시행되고 있는 초등 고교 컴퓨터교육의 의무화와 2천년대의 1가구 1단말기 설치를 목표로한 컴퓨터 영상단말기의 급속한 보급으로, 앞으로는 사무실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에까지 컴퓨터 이용이 일상화될 전망이고 보면 VDT작업에 따른 건강장해 문제는 더이상 가볍게 볼 수 없는 문제이다. 이에 대해 선진국에서는 작업시간 규제, 회사가 종업원의 정기적인 시력검진 및 시력교정에 필요한 비용을 보조하도록 하는가하면 실작업환경 개선등 다각적인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미국, 유럽, 일본등 선진국에서는 VDT작업 여성들의 유산 및 기형아 출산등 임신이상에 관한 실태보고서까지 나오고 있어 여성들에게 커다란 충격을 던져주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VDT병 증상을 호소하는 근로자들의 직업병예방 및 대책에 큰 어려움을 겪고있다. 그러므로, VDT작업으로 인한 건강상의 문제, 작업환경 및 작업자세등을 조사하여 문제점과 예방대책을 살펴보고, 작업장을 인간공학적으로 설계하고 평가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보호하고 생산성의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생산성의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Action Code를 계산처리부로 넘겨준다. 입력처리부에서는 Mouse와 Keyboard 어느것으로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출력처리부에서는 Action Code에 따라 계산처리부에서 계산된 결과를 화면에 보여주기 위한 각종 2D/3D Graphic Routine들이 포함되어있어 계산처리부에서 불러쓰도록 되어있다.에서는 전문가시스템 기법을 도입해서 사출금형 공정계획전문가의 지식과 경험을 획득하여 지식베이스를 구축하고, 전문가시스템 셀(shell)중 CLIPS를 이용하여 자동공정계획시스템인 Mold CAPP을 개발하였다.PP을 개발하였다.며 이와 상이한 결과도 보여주고 있다. 이상으로 볼 때 1) 가정하수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분뇨정화조 의 효율증대 2) 산업폐수의 공정별 폐수량의 조절 및 폐수성 상에 따른 총량규제에 대비한 효율증대 3) 하천의 오염부하와 자정능력 최대한 부여 4) 폐수처리를 위한 미생물제개발 및 오염지표 종 연구와 오염내성 생물의 연구등이 종합적 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5) 이상의 모든 조사와 연구결과를 객관적으로 표기할 수 있도록 하천의 이정표가 정해져야 하겠다.7%)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 정상군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상고나성이 있었다.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질병의 위험요인으로서 뿐 아니라 대사적으로 밀접하게 연관된 비타민 영양상태의 biomarker로서도 그 영향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별에 다른 다양한 연령집단에서 건강한 일반인과 심혈관계 질환자 등을 대상으로 호모시스테인과 비타민 영양상태에 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태를 보다 효율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ulcorner$순응$\lrcorner$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도

  • PDF

노인의 정보화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특성 연구 (The effect of 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on the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of older adults)

  • 구본미;주익현
    • 한국노년학
    • /
    • 제40권4호
    • /
    • pp.729-746
    • /
    • 2020
  • 노년기 건강과 삶의 질 증진을 목적으로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을 개발하고,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인 노인의 개인적 특성을 다각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건강 관련 요인을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노인의 건강특성과 연령집단별 정보화 수준을 비교하고, 정보화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특성을 연령집단별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보화 수준은 정보통신기술의 9가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으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2017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65세 이상 노인 총 10,058명이다. 분석결과, 첫째, 연령집단별로 정보화 수준의 차이를 살펴보면 전기 노인(65~74세)의 정보화 수준이 가장 높고, 그다음 중기 노인(75~84세), 후기 노인(85세 이상) 순이다. 둘째, 건강특성별로 정보화수준을 비교한 결과 진단받은 만성질환 수가 적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그리고 인지기능, 우울, 시력, 청력, 보행기능, IADL이 정상인 경우는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정보화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정보화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요인은 연령, 학력, 가구소득, 주관적 건강, 우울, 인지, 시력제한, 보행기능제한이었다. 넷째, 정보화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특성은 연령집단별로 차이가 존재하였다. 전기노인(65~74세)의 경우 주관적 건강, 우울, 인지기능, 보행기능제한, IADL장애가 유의미한 영향요인이며, 중기 노인(75~84세)의 경우는 주관적 건강, 우울, 인지기능, 시력제한, 청력제한, 보행제한이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후기 노인(85세 이상)은 정보화 수준이 다른 연령집단에 비해 매우 낮으며, 이에 따라 건강특성의 영향도 우울과 인지기능만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노인의 건강관리와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정보통신기술 개발 및 이를 활용한 개입프로그램을 마련할 때 다양한 건강특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초등학생의 시력건강행위 영향요인 (Factors Related to Visual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Aged Children)

  • 김정숙;오진주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42-149
    • /
    • 2001
  • The health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adult health practices. Particularly, eyesight is difficult to recover if lost. Therefore, prevention is better than cu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visual health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furnish basic materials and directions for the promotion of elementary school health. The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for 4 days from 9. 18. 2000 to 9. 21. 2000 for 199 children in 3 elementary schools. A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3 questions about general property. 20 questions about visual health behavior. 7 questions about visual self-efficacy. 5 questions about visual motivation. 16 questions about self-conception. 20 questions about the health locus of control. The data was analysed by an SAS program for t-test.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es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visual health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was good (average 52.53). 2. For visual health behavior, school, year, and sex were influential factors. economic levels were not. 3. Visual health behavior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visual self-efficacy, visual health motives and self-conception. but not with the locus of control. 4. In the multiple regression test, visual self-efficacy and self-conception were significant prediction factors -- the suitability of the regression model was 30.8%. Suggestions fro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chool year and sex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visual health behavi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se two factors when education programs are developed. Second,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students in a partial area only. Therefore, repeated studies for a large sample are necessary for the future.

  • PDF

노년기 자기 통제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 (Determinants of Sense of Control in Later Life)

  • 장유리;이정남;윤현숙;김수영
    • 한국노년학
    • /
    • 제28권4호
    • /
    • pp.1055-1068
    • /
    • 2008
  • 자기 통제감은 노년기의 다양한 스트레스 상황에서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보호하고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밝혀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노년기 자기 통제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주요 영향 요인을 (1) 사회 인구학적 특성, (2) 신체 건강 상태, (3) 최근 일어난 부정적 생활사건, (4) 사회 관계적 자원으로 분류하였다. 국내 다섯 개 도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291명(평균 연령 = 69.9)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자기 통제감은 Pearlin과 Schooler(1978)의 Mastery Scale의 7항목으로 측정되었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경제 수준, 만성 질환, 일상생활 수행 장애, 시력, 부정적 생활사건 경험, 그리고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가 자기 통제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노년기 자기 통제감 증진을 위한 개입이나 사회적 프로그램 개발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취약계층 학령전기 아동의 건강상태와 어머니의 아동 건강관리실태 (Health Status of Vulnerable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Mothers' Health Management)

  • 강영실;권인수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159-167
    • /
    • 2013
  • 목적 본 연구는 취약계층 학령전기 아동의 건강상태와 어머니의 아동 건강관리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대상자는 259명의 취약계층 가정의 어머니이며, 연구도구는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연구자가 구성한 설문지이다. 자료는 2010년 1월부터 2월까지 경상남도 20개 보건소의 방문간호사가 가정방문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SA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비만 아동이 6.5%, 저체중 아동이 19.3%였으며, 건강문제는 아토피가 14.7%였다. 손 씻기 수행율은 화장실 사용 후 69.1%, 식사 전 63.3%였으며, 아침 결식 아동이 15.8%, 규칙적으로 식사하지 않는 아동이 32.0%였다. 어머니의 아동 성교육률은 45.7%, 정기적인 치과검진율은 56.3%였고, 시력검사와 청력검사를 하는 경우가 각각 66.8%와 61.1%였다. 성장발달 촉진을 위한 가정환경은 41점 중 34.3점이었고, 질병유무와 어머니의 연령과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사고예방을 위한 가정환경은 22점 중 17.5점이었고, 유치원 등원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결론 비만 아동과 저체중 아동의 비율이 높고, 기본적인 개인위생 습관과 식습관이 적절하지 못한 아동의 비율이 높았으며, 어머니의 아동건강관리실태는 기초적인 건강관리와 아동의 성장발달 증진과 사고예방을 위한 가정환경의 조성이 미흡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가정방문 간호사들이 취약가정 학령전기 아동의 건강과 성장발달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가정방문용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