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공불량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33초

선재하 수평배수관망 시스템의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Applicability of Platform Fill Horizontal Drain Pipe System)

  • 유찬호;한연진;강수용;백승철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77-83
    • /
    • 2012
  • 연약지반 개량공법에 있어서 대부분의 수평 배수층은 모래나 쇄석 등의 골재를 이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골재를 수평 배수층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종종 원지반의 침하불량을 유발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수평 배수층을 깔지 않고 수평 배수용 파이프를 이용하는 수평배수관망 시스템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공법은 반복 성토과정으로 발생하는 과잉 간극수압을 수평 배수관망으로 직접 배수하는 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평배수관망 시스템의 적용성과 시공성을 확인하고자 실 규모 현장시험 시공을 수행하여 수평배수관망 시스템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현장시험시공을 통하여 수평 배수관망 시스템의 침하 거동특성을 살펴보았으며, 또한 수평배수관망 변형정도를 확인하여 일반적인 수평배수층을 이용하는 공법과 비교분석하여 그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양산단층대 터널시공에서 침하량 및 보강대책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Ground Settlement and Reinforcement Measures in the Case of Tunnelling at the Yangsan Fault)

  • 정혁상;김혜양;천병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6호
    • /
    • pp.35-48
    • /
    • 2009
  • 일반적으로 단층대는 지반의 공학적 특성이 불량하므로 터널 시공시 굴착으로 인한 지반변위가 과다하게 발생하여 인접구조물에 악영향을 줄 수 있으며, 지하수 유입으로 인한 지반강도의 급격한 저하로 터널의 안정성 확보가 어렵다. 따라서, 인접구조물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터널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반안정을 위한 차수 및 보강대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부고속철도 노선 중 양산단층대를 통과하는 약 570m구간의 터널시공 사례를 분석하여 보강대책의 적정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침하량 검토결과, Loganathan 등(1998, 2000) 식을 활용하여 산정한 침하량은 수치해석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나 예측식의 적정성을 확인하였다. 단층대 구간에서 수행된 시험시공결과를 분석하여 적용공법의 적정성을 검토하였으며, 수치해석적 방법을 통하여 보강공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대책공법 적용으로 터널변위가 감소하고 지보재 응력이 허용치 이내로 발생하였으므로 적용된 대책공법은 적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조경녹화사방(造景綠化砂防)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Landscape Conservation Measures of the Radial Roadsides in Seoul Area)

  • 우보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7-96
    • /
    • 1975
  • 수도권(首都圈)을 중심(中心)으로 한 주요(主要) 간선도로(幹線道路)(8개노선(個路線))의 비탈면 안정녹화시공지(安定綠化施工地)에 대(對)하여 기초공사(基礎工事) 및 녹화공사(綠化工事)의 실태(實態)와 시공법(施工法) 등(等)을 조사(調査) 측정(測定) 분석(分析)하여, 비탈면 조경녹화사방공법(造景綠化砂防工法)의 기술개발(技術開發) 및 정용공법(適用工法) 기준설정(基準設定)에 필요(必要)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저 본(本) 연구(硏究)가 수해(遂行)되었으며, 그 결과(結果)는 대체(大體)로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된다. 1. 비탈면의 주요(主要) 특성(特性) : 8개노선상(個路線上)에서 총(總) 100개소(個所)의 시공(施工)비탈면에서 특수(特殊)한 처리(處理)가 요망(要望)되는 비탈면은 초장대(超長大) 비탈면 23%, 용수(湧水)비탈면 29%, 암석(岩石) 및 사력질(砂礫質) 96%로 분석(分析)되었다. 2. 기초공사(基礎工事)의 적합성(適合性) : 기초공사(基礎工事)가 부적절(不適切)하다고 분석(分析)된 공법별(工法別) 비탈면수는 비탈다듬기공사(工事)에서 42%, 단끊기공사(工事)에서 41%. 소단공사(小段工事)에서 40%로 이들 비탈면에 대(對)해서는 보수(補修) 또는 재시공(再施工)이 요구(要求)된다. 3. 배수시설(排水施設)의 적합성(適合性) : 돌림수로공사(工事)가 잘 된 개소(個所)가 41%. 불충분(不充分) 또는 요보수개소(要補修個所)가 48%, 시공(施工)되지 않은 개소(個所)가 11% 이었으며, 또 표면배수로시공(表面排水路施工)이 불충분(不充分)한 개소(個所)도 50% 로서 일반적(一般的)으로 배수로시공(排水路施工)에 소홀하였다. 4. 조경녹화사방공법(造景綠化砂防工法) : 식생공법(植生工法)에 의한 처리개소(處理個所) 31%에 비하여 인공재(人工材)에 의한 개소(個所)는 69% 이었다. 식생공법(植生工法)에 의한 주요(主要) 공종(工種)은 선떼붙이기 및 떼단쌓기, 인공재(人工材)에 의(依)한 주요(主要) 공종(工種)은 힘줄박기, 격자틀 붙이기, 블럭쌓기, 시멘트모르타르뿜어붙이기 등(等)이었다. 5. 사방시설물관리(砂防施設物管理) : 요보수개소(要補修個所) 48%, 요재시공개수(要再施工個所) 9%이었다. 시공(施工)비탈면에서 누강침식개소(淚溝浸蝕個所) 13%, 비탈면붕괴개소(崩壞個所) 10%이었으며 비탈면 녹화율(綠化率)이 50% 이하(以下) 개소(個所)가 29%나 되었다. 6. 경관(京觀) 효과(効果) : 비탈면 전체(全體)의 경관효과(京觀効果)에 있어서 우수개소(優秀個所) 19%, 보통(普通)인 개소(個所) 37%, 그리고 불량(不良)한 개소(個所)가 44%로 분석(分析)되었다. 7. 조경녹화사방공법(造景綠化砂防工法)의 시공(施工) 대상(對象)비탈면의 특성(特性)에 따른 분류((分類)를 하고, 또한 공법(工法)과 공종(工種) 분류(分類)가 이루어졌다(표(表)10, 11). 8. 비탈면안정녹화공법(安定綠化工法)의 경관적(景觀的) 처리(處理)에 관(關)한 시공기술문제(施工技術問題)가 검토(檢討)되었으며, 또 적용공법기준설정(適用工法基準設定)을 위(爲)한 기초요인분석(基礎要因分析)이 이루어 졌다.

  • PDF

현장암반 모델을 적용한 터널의 역해석 (Application of Back Analysis for Tunnel Design by Modified In Situ Rock Model)

  • 김학문;이봉열;황의석;김태훈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권3호
    • /
    • pp.25-36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합리적이고 공학적인 터널 해석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시공 중 막장에서 관찰된 신뢰성 높은 암석 및 암반 평점분류 방식과 실내시험을 근거로 하는 일반화된 Hoek-Brown의 현장 암반 모델을 현재 시공이 완료된 지하철 터널 공사 현장의 계측자료와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서 실무적인 측면에서의 터널해석을 위한 일반화된 Hoek-Brown 현장 암반모델의 국내 적용성을 제시하고 적용으로 인한 지반 입력물성치에 대한 타당성을 Trueman과 Trunk의 경험적인 추정식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그러나 불량한 암반의 RMR 값은 정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일반화된 Hoek-Brown의 현장 암반모델의 적용성에 문제가 있으나, 시공 중 계측자료로 보완함으로서 위험도가 높은 불량암반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암석의 경험적인 파괴규준인 일반화된 Hoek-Brown 현장 암반모델을 적용하여 변형과 강도에 과한 암반 입력물성치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GSI하한치 = RMR-5를 사용함으로서 현장에서 안정해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단, 여기서는 편마암의 mi=33, 풍화암의 최저치 ${\sigma}ci=100t/m^2$ 이고 GSI는 RMR Chart의 해당연도와 상관없이 동일하다는 조건에서 이루어졌다.

  • PDF

TBM 터널 굴진시 Jamming이 발생되는 지반의 공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Weak Rock Ground happened TBM Jaming accident in Tunnelling)

  • 유길환
    • 건설안전기술
    • /
    • 통권45호
    • /
    • pp.60-70
    • /
    • 2008
  • 20여 년 전부터 TBM 등에 의한 기계화 터널공법이 국내에서도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음에도 그들의 적용에 따른 시공상 문제점들이 거의 보고되고 있지 않다. 이는 NATM 터널에서와는 달리, 해외에서도 불량한 지반조건에서 기계화 터널시공 중에 발생하였던 사고사례에 대한 연구는 희귀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화산쇄설암류의 지층 경계부에서 심하게 변질된 연약 암반대에서 발생된 터널붕락 사례를 소개하며, 그 붕괴원인을 분석하기 위한 일환으로 실시된 체계적인 지반조사를 통하여 연약 암반의 특성을 규명하였다. 또한 그 연약암반대에 대한 실험결과와 일반 암반에서의 측정범위를 비교하여, 터널붕괴 위험성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를 설정하였다.

  • PDF

도로 터널 사공중 발생된 붕락형태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Collapse Pattern of Road Tunnel under Construction)

  • 이수곤;김낙영;전복현
    • 지질공학
    • /
    • 제17권1호
    • /
    • pp.115-123
    • /
    • 2007
  • 최근 들어 인구증가와 경제발전에 따른 고속도로의 확장 또는 신설이 급증하고 있고 양호한 노선을 위해 터널 건설도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터널 시공 중 붕괴가 발생할 수 있는 경우도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특히, 도로의 양호한 선형 확보를 위하여 지반조건이 불량한 구간에서 터널 굴착이 증가하므로 적절한 보강공법의 적용 없이 굴착을 실시하는 경우에 붕락이 자주 발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고속도로 터널 시공 중 보편적인 붕괴 사례를 조사함으로써 다른 지질조건에서의 붕괴원인과 형태 및 적용 보강공법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인공지능(AI) 기반 상수도 누수탐사 사례 분석 (Case Study of Pipe Leak Detec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문태남;신창건;김보향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496-496
    • /
    • 2023
  • 상수도관의 노후화 등으로 발생하는 누수는 안정적인 급수운영을 저해하고 경제적 손실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지반 침하 등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상수도관 누수는 배관 내·외부 부식으로 발생하는 핀홀(Pin Hole)로 인한 관통누수, 강관 용접 시 발생하는 시공불량, 볼트 및 고무패킹 등 부자재의 노후화, 굴착 등 작업에서 발생하는 물리적 충격 등 여러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상수도관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 관 내부수가 관 밖으로 유출되어 발생하는 파열음, 유출수와 지반과의 마찰로 인한 진동 및 소음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청음식, 상관식 누수탐사와 같은 기존 누수탐사 방식은 전문가의 경험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으며, 기존 장비의 특성상 비금속관 및 대구경관 등 특정 환경에서는 적용이 어려우며, 효율적인 탐사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본 논문에서는 상수도 누수가 의심되는 구간을 대상으로 실시간 누수음 데이터 수집 및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분석을 실시하여 기존 조사방법보다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는 누수탐사를 수행한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

공공공사 시공평가 항목의 객관성 확보를 위한 주요 개선 항목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truction Evaluation Criteria for Securing the Objectivity in Public Construction)

  • 서세덕;김옥규;박형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9권6호
    • /
    • pp.913-921
    • /
    • 2019
  • 정부는 최고 가치와 글로벌 스탠다드를 추구한다는 목표 아래 2016년 종합심사낙찰제도를 도입하였다. 하지만 종합심사낙잘체도에 반영되는 시공평가의 평가기준은 객관성 부족, 주관적 평가 항목 다수 포함, 평가 항목별 가중치 비합리성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 되고 있으며 중앙부처, 지자체, 관련 업계, 전문가 집단 모두 그 인식을 같이하고 있으나 해결 방안을 도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공평가의 객관성 확보를 위해 개선이 필요한 주요 평가항목을 도출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시공평가 평가기준이 모두 4점 척도(우수, 보통, 미흡, 불량)로 구성된 특성을 활용하여 표준편차, Fleiss Kappa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그 결과 총 25개로 구성된 시공평가의 평가항목 중 10개의 평가항목이 개선이 필요한 평가항목으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평가 항목의 주요 특성을 분석한 결과 세부 평가지침에 '매우적정', '적정'과 같은 정성적 평가 기준이 공통으로 포함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시공평가의 평가기준은 정성적 평가기준은 지양하고 객관성 확보가 가능한 정량적 평가기준 중심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거푸집 레일과 지그를 이용한 경계석 및 측구의 일체형 시공법에 대한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for All-In-One Construction Method of Curbstone and Gutter Using Formwork Rail and Jig)

  • 최재진;고만기;김경주;최경동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6A호
    • /
    • pp.525-534
    • /
    • 2010
  • 도로 경계석은 보도와 차도의 경계부에 설치하는 구조물로서 노면배수, 시선유도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현재 일반적인 경계석의 시공법은 경계석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가 경계석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에 도달할 때까지 기다렸다가 경계석을 거치하고 측구 및 후면 보강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공법은 콘크리트의 분할 타설에 따른 콘크리트의 다짐 불량 및 부착강도 저하로 경계석이 차량충돌이나 토압 등에 의해 쉽게 분리되어 유지보수 비용발생과 미관을 저해하고 있다. 이러한 재래식 공법을 개선하고자 경계석과 측구를 동시에 시공할 수 있는 거푸집 레일과 지그를 이용한 일체형 시공법을 제안하였으며, 구조적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횡 방향 재하시험, 인발 시험, 휨 시험과 같은 정적 시험을 실시하였고, 펜들럼 시험 및 실물차량 충돌 시험과 같은 동적 시험을 통한 성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검토 결과 거푸집 레일과 지그를 이용한 일체형 시공법은 재래식 공법에 비해 콘크리트의 시공품질이 개선되고 부착강도가 증가하여 모든 시험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알파형 반수석고를 활용한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Mechanical Properties of Concrete using Alpha-Calcium Sulfate Hemihydrate)

  • 신경수;김규용;성길모;우상균;임병훈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3권7호
    • /
    • pp.72-79
    • /
    • 2019
  • 콘크리트는 경화 중의 온도변화나 수축에 의한 체적변화, 외부 힘의 작용, 시공불량 등에 의해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전력구 구조물에 시공되는 콘크리트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균열이 발생되고 있어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업부산물로서 팽창성능이 있는 알파형 반수석고를 활용한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기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알파형 반수석고를 치환시 압축강도가 감소하는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시멘트의 사용량은 동일하게 고정한 후 알파형 반수석고를 9% 첨가하고, 혼화제의 사용량을 조절한 후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OPC와 동등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알파형 반수석고를 9% 첨가시 OPC 대비 약 30% 이상의 수축이 저감되어 콘크리트의 균열 저감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