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간량

Search Result 13,379,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ELUTION OF RESIDUAL MONOMER ACCORDING TO VARIOUS LIGHT SOURCES AND CURING TIME ON THE POLYMERIZATION OF PHOTOACTIVATED PIT AND FISSURE SEALANTS (광중합 광원의 종류와 조사시간에 따른 치면열구전색제의 미반응 모노머 용출)

  • Oh, You-Hyang;Park, Yoon-Kyung;Lee, Nan-Young;Lee, Chang-Seop;Lee, Sang-Ho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31 no.3
    • /
    • pp.421-43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and compare the amount of unreacted TEGDMA from pit and fissure sealants cured with three different light sources; conventional halogen light curing unit, plasma arc light curing unit and argon laser. The specimens were eluted in distilled water for different time intervals. The time-related release of TEGDMA were analyzed by reverse-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 The result of present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time-related release of TEGDMA decreased with increasing curing time in conventional halogen light, however, tha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2. The elution from the specimens cured for 6 and 9 seconds with plasma arc light was similar results corresponding with the time-related TEGBMA release, and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cured for 3 seconds(p<0.05). 3. The elution of TEGDMA from the specimens cured with argon lase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cured with halogen and plasma arc light(p<0.05). 4. The elution of TEGDMA from under recommended time of three different light sources were showed to b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5. In time-related release of TEGDMA from recommended time of each light sources, the results correspond to 40 seconds of halogen light and 6 seconds of plasma arc light were similar(p>0.05). 6. The elution of TEGDMA, from over recommended time of three different light sources were showed to b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In this study, I suggest that curing time of plasma arc light is 6 and/or 9 seconds in the field of clinical pediatric dentistry claiming its effectiveness in optimal polymerization and reduced chair time.

  • PDF

Comparison Study on Korean and American Case for Improving Calculation of Dam Inflow (댐 유입량 산정 개선의 한미 사례 비교 연구)

  • Noh, Jae-Kyoung;Lee, Han-Goo;Lee, Tae-S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689-694
    • /
    • 2008
  • 댐 유입량은 댐 운영의 필수 인자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고, 하천유량에 비해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기 때문에 수자원의 운영 뿐 아니라 계획에도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계산된 유입량은 평갈수기에 진폭이 너무 크게 나타나고 심지어 음 유입량이 발생하는 등 개선이 요구돼 왔다. 본 연구에서는 시간간격을 10분, 30분, 1시간 등으로 하고, 수위와 방류량이 유입량에 직접 영향을 끼치고, 관측수위의 단위가 크고, 그 진폭이 자연현상과 거리가 있어, 수위 이동평균, 수위 보간, 방류량 이동평균 등의 조합에 따라 댐 유입량의 계산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고, 이를 쉽게 분석, 평가할 수 있도록 시스템으로 개발하였으며, 유역면적 $4,134km^2$인 대청댐과 유역면적 $108,335mi^2$인 미국의 Lake Powell의 사례에서 크게 개선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정확하게 측정된 댐 유입량 자료가 없기 때문에 개선된 계산 유입량이 참 값이다 주장할 수 없는 것이 본 연구의 한계이며, 연구결과의 신뢰를 높이기 위해 현재 정밀하게 측정된 댐 유입량 사례를 조사 중에 있다. 그림 1은 Lake Powell의 처리전의 댐 유입량 계산 예이고 그림 2는 처리후의 개선된 유입량이다. 그림에서 유입량이 크게 개선돼 계산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결과가 참값인지 아직 판단할 수 없다. 대청댐의 경우도 이와 비슷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 PDF

A Study of Influence Factors for Reservoir Evaporation Using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다변량 통계분석을 이용한 저수지증발량 영향인자에 관한 연구)

  • Lee, Kyungsu;Kwak, Sunghyun;Seo, Yong Jae;Lyu, Si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37-240
    • /
    • 2017
  • 지구온난화로 인해 세계 곳곳에서 기온상승이 관측되고 있으며, 이는 전지구적 기후시스템의 변화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이다. 온도를 비롯한 강수량, 풍속, 증발량 등의 기상학적, 수문학적 인자들이 각각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 받으며 복잡하게 변화할 것이고, 그 변화폭도 점점 커질 것이다. 증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뉘는데, 태양복사에너지, 온도, 바람, 기압, 습도와 같은 기상학적인자, 증발표면의 특성인자 그리고 수질인자로 분류할 수 있다. 증발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은 예전부터 알려져 있지만 이들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기는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댐유역의 증발량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인자 파악을 위해 2008부터 2016년까지 관측된 낙동강수계 내 안동댐과 남강댐의 기상자료(기온, 강수량, 풍속, 상대습도, 기압, 일사량, 일조시간, 전운량)를 이용한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다변량 통계기법인요인분석을 통해 증발량과 상관성이 높은 인자들을 분류하였다. 안동댐과 남강댐 공통적으로 증발량과 기온, 기압이 같은 요인으로 분류되고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강수량, 일조시간, 일사량, 전운량이 같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국내의 증발량 측정지점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과 영향인자를 이용한 다변량회귀식과 인공신경망 통해 증발량 미측정 지점의 증발량 산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ffects of Lactose and Yeast on the Changes of Oligosaccharides during the Fermentation of Soy Yogurts (Lactose와 효모의 첨가가 대두요구르트 발효 중 올리고당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 Park, Mi-Jung;Lee, Sook-Young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9 no.3
    • /
    • pp.539-545
    • /
    • 1997
  • Lactobacillus bulgaricus and Kluyveromyces lactis were inoculated to Jangyeob and Jinpum soy milks together after the addition of different amounts of lactose to increase the contents of oligosaccharides, which were compared with single cultured samples. The contents of stachyose, raffinose, sucrose, and glucose of samples without lactose decreased by single culture method, but the oligosaccharides decreased less than in single cultured samples containing of lactose. The oligosaccharides of single cultured samples were equal or decreased compared with soy milks. While those of mixed cultured Jangyeob and Jinpum samples containing 2% lactose for 24 hr incubation increased 125.0% and 118.1%, respectively and those of samples for 36 hr incubation increased 127.0% and 141.0%, respectively, those of mixed cultured samples containing 4% lactose for 24 hr incubation increased 112.5% and 123.0%, respectively and those of samples for 36 hr incubation increased 120% and 135.9%, respectively. Therefore, the oligosaccharides in samples containing 2% lactose were slightly more than in samples containing 4% lactose. Among the cultured methods, oligosaccharides were produced in the largest amounts by the mixed culture for 36 hr. The addition of lactose in soy milks for soy yogurts was effective in the formation of oligosaccharides since the galactose, produced by the hydrolysis of lactose, was thought to be combined with sucrose by the action of ${\beta}-galactosidase$ in yeast.

  • PDF

A Study on the Time Distribution Comparison of frequency Based Rainfall and Estimation of Design Flood (확률강우의 시간분포 비교와 설계홍수량 산정에 관한 연구)

  • Lee, Jung-Ki;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98-102
    • /
    • 2009
  • 최근 증가하고 있는 집중호우로 인해 피해 규모가 대형화 되어가고 있는 추세로 수공구조물 설계 시 보다 정확한 수문분석을 요구 하고 있다. 강우의 시간분포는 정확한 수공구조물의 설계시 첨두홍수량 산정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전지역의 기상학적, 지형학적 특성에 맞는 적절한 강우분포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전지지방기상청의 강우자료 중 강우가 집중되는 기간인 5월부터 10월사이의 강우자료를 바탕으로 강우분석을 실시하였고 갑천 유역에 적용하여 설계홍수량을 산정 하였다. 1999년도 수자원관리기법개발연구조사 보고서(건설교통부, 2000)에 따르면 Huff 방법에 의한 강우분포의 형태는 초기에 호우가 집중되는 1분위로 나타났고, 본 연구에 의한 방법은 Huff방법의 3분위에 속하는 53%에서 호우가 집중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Huff 방법이 호우사상별로 분위를 결정 하는 반면 본 연구에서는 지속시간별 강우량을 누가하고 지속시간별 분포형태를 무차 원화하여 결정하였다. 또한 Huff방법과 본 연구 방법의 비교 시 무강우 상태와 누락된 타 분위 호우가 분포형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였다. 유효우량 산정 시 초기의 강우량이 크면 손실우량도 커지고, 강우의 시간분포 형태에 따라 첨두홍수량도 차이를 보이게 되므로 강우의 시간분포 결정시 신중을 기하여야 할 것이다.

  • PDF

Design of Electrolysis Reactor for the Reclamation System (중수도 시스템 운전을 위한 전기분해장치의 설계)

  • Sin, Chun-Hwan;Bae, Je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323-327
    • /
    • 2006
  • 전류밀도를 $1.0\;A/dm^2{\ell}$로 고정시키고, 촉매로 사용된 소금의 농도를 전체 폐수량의 약 15%로 조절하여 접촉시간을 $0\;{\sim}\;120$ 분으로 조절하여 각각의 시간에서 $COD_{Mn}$ 농도 약 70mg/L의 합성폐수를 전기분해 처리하여 접촉시간 약 30분에서 약 25 mg/L로 제거 되었으며, 60분이 지난 후부터 약 12 mg/L로 제거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접촉시간을 1 시간으로 고정시키고, 촉매로 사용된 소금의 농도를 전체 폐수량의 약 15%로 조절하여 전류밀도를 $0\;{\sim}\;2.0\;A/dm^2{\ell}$로 조절하여 각각의 전류밀도에서 $COD_{Mn}$의 농도변화 실험결과 전류밀도 약 1.0 $A/dm^2{\ell}$에서 약 9 mg/L로 제거가 가능한 것으로 조사 되었다. 접촉시간을 1 시간, 전류밀도를 $1.0A/dm^2{\ell}$로 고정시키고 사용된 소금의 농도를 전체 폐수량의 $0\;{\sim}\;30\;%$로 조절하여 각각의 촉매 첨가율에서 $COD_{Mn}$의 농도변화를 조사결과 촉매 첨가율 30 %에서 가장 높은 처리효율을 나타내었으며, 촉매의 첨가에 의한 전기분해 효율뿐만이 아니라 직류전원공급기에 전기적 부하 또한 감소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Large Capacity Time Switch by Multi-write Method (다중기록 방식에 의한 대용량 시간 스위치의 구성에 관한 연구)

  • 조용현;오창렬;박권철;박항구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14 no.4
    • /
    • pp.329-337
    • /
    • 1989
  • This paper describes a composition of time switch with a large capacity(NK byte) by multi-write method. The method arranged a basic unit in a plane and a group, which is composed by 1K byte time switch using a memory elements with a fixed access time and capacity. And the time switch of large capacity is composed by multi-write method, which is more than 8K byte capacity with many constraints by using today's semiconductor development techniques, then a basic unit is the 1K byte time switch using a CMOS SRAM with 62.5ns access time and 1K byte capacity.

  • PDF

Effect of Linear Polarized Near-Infrared Ray Radiation on the Experimental Pain Threshold in Healthy Subjects (직선 편광 근적외선 조사가 건강인의 실험적 통증역치에 미치는 영향)

  • Lee, Jae-Hyoung;Song, In-Young;Choi, Eun-Young
    •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Science
    • /
    • v.2 no.4
    • /
    • pp.771-778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linear polarized near-infrared ray radiation on experimental pain threshold in healthy adult subjects. Thirty healthy adult subjects were divided into 5 groups: 1) group 1, super lizer radiation at 0 % ; 2) group 2, super lizer radiation at 10 % ; 3) group 3, super lizer radiation at 20 % ; 4) group 4, super lizer radiation at 40 % ; 5) group 5, super lizer radiation at 80 %. The polarized near-infrared ray radiation was applied on LI 4 point of subject's right hand at a fixed time for 30 second. Experimental pain threshold were measured with electrical current on the right hand at 5 intervals for each radiation: 1) pretreat; 2) posttreat ; 3) posttreat of 1/2 hr ; 4) posttreat of 1 hr ; and 5) posttreat of 2 hrs. Data were analyzed using analyses of variance with repeated measures for pain threshold. No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power output and time for pain threshold was found. Significant effects of power output and time for experimental pain threshold were found. Significant increase was noted in experimental pain threshold in group 4 and group 5 at posttreat, posttreat of 1/2, 1 hr and 2 hrs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s of the polarized near-infrared ray radiation. This study indicate that polarized near-infrared ray radiation with above 40 % of power output increases pain threshold, thus possibly increasing options in choosing radiation output for treating pateint with pain. Further study is needed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se radiation in patients with clinical pain.

  • PDF

Development of Flood Runoff Characteristics Nomograph for Small Catchment Using R-Programming (R-프로그래밍을 이용한 소유역 홍수유출특성 노모그래프 개발)

  • Jang, Cheol Hee;Kim, Hyeon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90-590
    • /
    • 2015
  • 본 연구는 집중호우에 의한 홍수예측 및 소유역의 유출거동에 대한 수문학적 민감성(susceptibility) 규명을 목적으로 강우강도, 지속기간 및 토양포화도 변화에 따른 홍수유출특성을 분석하여 유역의 유출거동 민감성을 표출할 수 있는 노모그래프를 개발하였다. 개별 홍수사상에 대한 유출거동 특성 분석을 위하여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대표 시험유역인 설마천 유역의 과거 17년간(1996 ~ 2012)의 10분 간격의 강우량 및 유출량 자료를 수집하여 홍수유출해석을 수행하였다. 설마천 시험유역의 일누가강우량 100mm 이상, 50개 홍수사상에 대한 홍수유출해석은 유역 물순환 해석모형인 CAT(Catchment hydrological cycle Assessment Tool)을 이용하였으며 모의결과를 바탕으로 홍수사상별 지체시간, 강우강도, 지속기간 및 토양포화도 변화에 따른 홍수유출특성을 상세히 분석하였다. 이 중에서도 지체시간은 유역반응을 나타내는 시간변수로서 수문모델링 및 홍수량예측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강우량에 대한 홍수량의 반응이 빠른 소유역의 경우에 홍수량예측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강우강도, 지속기간, 토양포화도의 변화량에 대한 지체시간의 거동을 R 프로그래밍 언어 및 3D Surfer를 이용하여 분석한 후 최종적으로 소유역의 홍수유출 특성을 나타내는 3차원 홍수 유출특성 노모그래프를 개발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R 프로그래밍 언어는 통계 계산과 그래픽을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이자 소프트웨어 환경으로 데이터의 조작 및 수치연산, 시각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여러 패키지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을 이용하여 10분 단위의 강우 및 유출량 자료를 1시간 및 1일 자료로 구축하고 17년간의 과거 홍수사상을 분리하여 추출하는 R 홍수유출해석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추출된 홍수사상을 관측 유출량 및 관측 토양수분을 포함하여 시각화함으로써 강우 및 토양수분 변화에 따른 소유역의 유출거동 민감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 지체시간은 강우지속기간 및 토양포화도에 민감한 거동특성을 나타냈으며 토양포화도는 첨두홍수량의 변화에 민감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발된 3차원 홍수유출특성 노모그래프는 유역의 규모 및 지형물리학적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것으로 판단되며 여러 계측유역에 적용함으로써 유역별 홍수유출 반응특성을 정량화할 필요가 있다. 즉, 강우강도, 지속기간, 지체시간, 포화도 등의 변화에 따른 유역의 홍수유출 반응특성을 규명함으로써 미계측 유역의 홍수량예측 실무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ng Potential Improvement of Public Transit Services in OD Level Using Time-Distance Accessibility and Smartcard Traffic Volume (시간거리 접근성과 교통카드 기반 통행량을 이용한 OD별 잠재적 대중교통 서비스 개선량 분석)

  • YANG, Hyun-Jae;NAM, Hyun-Woo;JUN, Chul-Mi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1 no.2
    • /
    • pp.80-93
    • /
    • 2018
  • Public transit services are generally analyzed based on the correlation of demand and supply. The computation of supply uses accessibility while demand uses travel demands estimation based on residential population. However, the traditional demand estimation has a limitation in analysing in micro-scale compared to the smartcard data traffic. This study analyzed potential improvement of public transit services using smartcard traffic data. The supply of transportation was defined using time distance accessibility. Also, time loss was calculated in those origin destination(OD) pairs where time distance accessibilities are relatively low. The proposed method was applied at Seou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reas where OD pairs need improvement include Seodaemun-gu, Guro-gu and Nowon-g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