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각자극

Search Result 52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of the spatial perception by audio-visual information (시각과 청각에 의한 공간적 지각에 관한 연구)

  • Lee, Chai-Bong;Kang, Dae-Gee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11 no.2
    • /
    • pp.132-136
    • /
    • 2010
  • Psychophysical experiment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how audio-visual spatial disparity affects on perceptual space in peripheral vision. In the experiment, participants were exposed to two stimuli of vision and sound which comes simultaneously from different directions, respectively. The visual stimulus was implemented by 7 white LEDs which were located at an equal distance with 7 different angles of $-70^{\circ}$, $-40^{\circ}$, $-20^{\circ}$, $0^{\circ}$, $20^{\circ}$, $40^{\circ}$, and $70^{\circ}$ from the right front. Those audial stimuli were also implemented by loudspeakers which were placed at 9 different directions equally spaced by $5^{\circ}$ ranged from $-20^{\circ}$ to $20^{\circ}$. Each participant then evaluated spatial disparity between visual and audial stimuli with 5 levels of response, in which the higher level indicates the larger gap. When the visual stimulus is applied from the right, the results show that the response level gets higher for a larger angle between visual and auditory stimuli. A similar tendency for the visual stimulus with $0^{\circ}$ orientation was also be observ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visual stimulus is applied from the left, the response level gets lower for the larger angle.

Automatic cognitive processing of korean written language as indexed by visual MMN(vMMN) (시각적 MMN(vMMN)의 분석을 통한 한국어 글말의 무의식적인 인지과정 연구)

  • Lee, Sung E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9.10a
    • /
    • pp.67-72
    • /
    • 2009
  • ERP의 일종인 MMN(Mismatch Negativity)은 언어의 청각 인지정보 처리과정(central auditory processing)을 규명하는 데 유용한 수단으로 이용되어 왔다. 그런데, 최근의 연구들은 이러한 MMN이 청각 자극뿐만 아니라 시각 자극에 의해서도 검출될 수 있음을 밝혀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각적 MMN을 이용하여 뇌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 화자의 무의식적인 한국어 문자 정보처리과정을 규명하려고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의 글말 최소쌍 '므'/'모'와 '므'/'무', 이에 대응되는 비언어자극 '+ㅡ'/'+ㅗ'와 '+ㅡ'/'+ㅜ'(+표시의 아래에 모음을 붙여서 만든 인공문자, 그림1 참고)를 수동적(passive) Oddball paradigm으로 제시하고 언어 자극에 대한 EEG를 비언어자극과 비교 하에 측정,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언어자극과 비언어자극 모두에서 시각적 MMN이 검출되었다. 하지만, 언어자극의 시각적 MMN이 비언어자극의 시각적 MMN보다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는 한국어 모국어화자들이 무의식적인 인지과정에서 언어자극이 갖는 물리적인 시각 정보뿐만 아니라 한국어 문자의 언어적 정보도 함께 처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한국어 글말의 무의식적인 인지처리과정을 밝혀주는 한편, 한국어 문자가 인지과학에서 갖는 중요한 지위를 보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Visual discomfort in stereoscopic images caused by the horizontal size of binocular visual stimulus (양안식 시각자극의 너비에 의한 시각적 불편함)

  • Lee, Seong-Il;Jung, Yong Ju;Sohn, Hosik;Ro, Yong 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11a
    • /
    • pp.42-43
    • /
    • 2012
  • 최근 양안식 3D 디스플레이의 시청 안정성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어떠한 요인들이 시각피로와 시각적 불편함을 야기하는지 밝히는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시각적 불편함은 양안식 3D 영상에서 과도한 양안 시차, 양안 시차의 빠른 변화, 양안 불일치 등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그러나 시각적 불편함은 시각시스템의 복잡한 메커니즘에 의한 결과이므로 알려진 양안 시차 등의 요인 외에도 밝혀지지 않은 요인들이 더 존재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기존 연구로부터 시각적 불편함과 관련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요인으로 시각자극의 너비와 시각적 불편함에 대한 민감도를 선택하였다. 이들의 영향을 밝히기 위한 실험으로서, 편안한 양안 시차 범위 내에서 시각자극의 너비와 시각적 불편함에 대한 민감도에 따라 양안 융합 시간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로부터 편안한 양안 시차 범위 내에서도 시각자극의 너비와 시각적 불편함에 대한 민감도에 따라 양안 융합 시간이 크게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시각자극의 너비가 주요한 시각적 불편함의 3D 콘텐츠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 PDF

Active Modulation of Visual Motion Perception around the time of Saccadic Eye Movements (안구 운동에 즈음한 시각 운동 지각의 역동적 조절)

  • Lee, Jung-Ah;Lee, Choong-K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5.05a
    • /
    • pp.223-227
    • /
    • 2005
  • 시각 자극의 운동 방향을 파악하는 것은 시각의 주요 기능 가운데 하나이다. 동일한 망막상의 영상 운동은 다양한 조합의 시각 자극의 운동 벡터와 눈 운동의 벡터의 합으로 발생할 수 있는데, 이렇게 망막 정보가 애매한 경우에도 불구하고 시각 자극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파악하며, 이것은 시지각의 안정성을 돕는 망막 이외의 정보가 통합된 결과이다. 본 발표는 이러한 정보 중에 하나인 도약 안구 운동에 즈음하여 제시되는 시자극 운동의 지각 과정에서 안구 운동 정보의 역할을 결정한 실험의 결과에 관한 것이다. 도약 안구 운동의 발생 전후에 제시된 자극의 속성에 대한 판단은, 자극의 속성과 도약 안구 운동 방향에 따라 일정한 방식으로 조절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시각 운동의 지각 왜곡을 일으키는 신경 기전은 일차 시각 피질에서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 Visual Model for the Perception of the Optical illusions from Discrete Dot Stimuli (이산 도트 자극에서 시각적 착시를 인식하는 시각 모델)

  • Jung, Eun-Hwa;Hong, Keong-Ho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0B no.6
    • /
    • pp.639-646
    • /
    • 2003
  • This paper proposes a neural network model for extracting optical illusions produced by a sequence of discontinuous dot stimuli. The proposed model is based on visual cell's characters founded by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path. This study approaches on the basis of physiological observation of the perceptual phenomena that some simple ways of discrete dots are perceived as a continuous virtual contour rather than as separate dots. This paper presents the implementation of the optical illusions from discrete dot stimuli that are composed of virtual polygons from 6 to 10 dots. This experimental data are similar to those of Smith & Vos's physiological experiments. The proposed model shows that it can extract continuous illusion contours from discrete dot stimuli successfully.

Normalized Sensibility Using EEG as an Objective Emotional Index (감성과 뇌파와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 황민철;류은경;변은희;김철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7.11a
    • /
    • pp.80-84
    • /
    • 1997
  • 본 연구는 뇌파의 주파수 변화특성이 다양한 시각자극에 의해서 유발된 감성을 평가할 수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쾌감성과 불쾌감성의 차이, 쾌감성내의 차이를 뇌파를 이용하여 객관적으로 변별할 수 있는 가를 알아보았다. 사용된 시각자극은 8개의 긍정자극과 7개의 부정자극이었다. 각각의 자극은 30초씩 무선적으로 제시되었고, 각자극의 제시사이마다 120초씩의 휴식기를 두었다. 매 자극제시 후 피험자는 제시된 자극에 대해 긍정.부정의 정도를 주관적으로 평가하였다. 실럼참가자는 20명의 대학생이었으며, 뇌파는 뇌의 21부위에서 기록되었다. 기록된 뇌파에 대해 FFT(Fast Fourier Transformation)분석을 실시한 후, normalized sensitivity를 구현하였다. 자극 중 최대긍정(the most positive stimulus), 최대부정(the most negative stimulus), 최소긍정(the least positive stimulus), 최소부정(the least negative stimulus)이라고 주관적으로 평가한 자극을 보고 있을때의 뇌파를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뇌파의 주파수 변화는 극단의 긍정감성과 부정감성의 차이를 변별할수 있고, 긍정감성내의 차이와 부전감성내의 차이를 변별할 수 있었다. 또한 부정감성을 느낄때보다는 긍정감성을 느낄수록 alpha파의 출현량은 증가하고, delta파와 beta파의 출현량은 감소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뇌파의 주파수 변화는 다양한 시각자극에 의해 유발된 감성을 측정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

  • PDF

fMRI of Visual and Motor Stimuli : Difference of Total Activation Depends on Stimulation Paradigm (시각과 운동의 뇌기능영상 : 자극에 따른 총활성화의 차이)

  • 정순철;송인찬;장기현;유병기;문치웅;조장희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v.3 no.1
    • /
    • pp.41-46
    • /
    • 1999
  • Purpose :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otal activation in visual area, motor area, and cerebellum according to the stimulation paradigm. Materials and Methods : Functional MR imaging was performed in 5 healthy volunteers with visual and motor activity using EPI technique. LED and Checker-Board stimulation were performed for visual activity. Thumb motion and Finger Tapping were performed for motor and cerebellum activity. Stimulus timing was 60sec. off, 120sec. on, 60sec. off. Data processing was carried out by using the cross-correlation method for each pixel. Each pixel was then selected and assumed activated i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equal or larger than a threshold value. Time course data was obtained by calculating the total activation which was defined as the number of activated pixel x averaged pixel intensity. Results : In the case of visual activity with LED stimulation, we found increased total activity of more than 100% compared with Checker-Board stimulation. In the case of motor area and cerebellum with Finger tapping stimulation, we found increased total activity of more than 10% and 150%,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umb motion stimulation.

  • PDF

Research on Correlation between Facial EMG and Arousal Level (각성수준과 얼굴근전도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 류은경;황민철;변은희;민병찬;김철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8.04a
    • /
    • pp.75-80
    • /
    • 1998
  • 본 연구는 얼굴근전도(facial EMG)가 다양한 시각자극에 의해서 유발된 감성을 평가할 수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감성의 차원중 각성-이완차원에서의 차이를 얼굴근전도를 이용하여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사용된 자극은 15개의 시각자극이었다 . 각각의 자극은 30초씩 무선적으로 제시되었고, 각 자극의 제시사이마다 120초씩의 휴식기를 두었다. 매 자극제시후 피험자는 제시된 자극에 대해 각성-이완의 정도를 주관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참가자는 25명의 여자대학생이었으며, 왼쪽이마의 추미근(corrugator muscle)과 빰의 관골근(zygomatic muscle)의 얼굴근전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얼굴근전도에 대해서 절대값을 취해 면적을 구하였다. 최대 각성(the most arousing stimulus), 최소 각성(the least arousing stimulus), 최소이완(the least relaxing stimulus), 최대이완(the most relaxing stimulus)이라고 피험자들마다 주관적으로 평가한 가극에 대한 얼굴근전도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마의 추미근이 각성과 이완감성의 차이를 변별할 수 있었다. 즉 각성감성을 느낄수록 이마의 추미근의 활동이 증가함을 보였다. 또한 최대각성감성을 느낄때 이마의 추미근의 활동이 증가함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얼굴근전도가 다양한 시각자극에 의해 유발된 감성의 각성-이완차원을 측정할 수 있는 좋은 지표가 될수 있음을 나타낸다.

  • PDF

f-MRI with Three-Dimensional Visual Stimulation (삼차원 시각 자극을 이용한 f-MRI 연구)

  • Kim C.Y.;Park H.J.;Oh S.J.;Ahn C.B.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v.9 no.1
    • /
    • pp.24-29
    • /
    • 2005
  • Purpose : Instead of conventional two-dimensional (2-D) visual stimuli, three-dimensional (3-D) visual stimuli with stereoscopic vision were employed for the study of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In this paper f-MRI with 3-D visual stimuli is investigated in comparison with f-MRI with 2-D visual stimuli. Materials and Methods : The anaglyph which generates stereoscopic vision by viewing color coded images with red-blue glasses is used for 3-D visual stimuli. Two-dimensional visual stimuli are also used for comparison. For healthy volunteers, f-MRI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2-D and 3-D visual stimuli at 3.0 Tesla MRI system. Results : Occipital lobes were activated by the 3-D visual stimuli similarly as in the f-MRI with the conventional 2-D visual stimuli. The activated regions by the 3-D visual stimuli were, however, larger than those by the 2-D visual stimuli by $18\%$. Conclusion : Stereoscopic vision is the basis of the three-dimensional human perception. In this paper 3-D visual stimuli were applied using the anaglyph. Functional MRI was performed with 2-D and 3-D visual stimuli at 3.0 Tesla whole body MRI system. The occipital lobes activated by the 3-D visual stimuli appeared larger than those by the 2-D visual stimuli by about $18\%$. This is due to the more complex character of the 3-D human vision compared to 2-D vision. The f-MRI with 3-D visual stimuli may be useful in various fields using 3-D human vision such as virtual reality, 3-D display, and 3-D multimedia contents.

  • PDF

Spatial Attention Can Enhance or Impair Visual Temporal Resolution (공간 주의가 시각적 시간 해상도에 미치는 영향)

  • Baek, Jong-Soo;Kham, Kee-Taek;Kim, Min-Shik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8 no.3
    • /
    • pp.285-303
    • /
    • 2007
  • Transient attention impairs observers' temporal resolution in a cued location. This detrimental effect of attention was ascribed to inhibitory connections from parvocellular to magnocellular neurons [1]. Alternatively, the difficulty might arise because attention facilitates the temporal summation of two successive stimuli.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is hypothesis by manipulating the luminance polarity of the stimuli against a background. Attention should not modulate temporal summation of two anti-polar stimuli because these are processed in separate channels. Indeed, observers judged the temporal order of two successive stimuli better in the cued location than in the uncued location when the stimuli were opposite in polarity, but temporal resolution was worse in the cued location when the stimuli had the same polarity. Thus, attentional effects on temporal resolution may be attributed to temporal summation rather than parvocellular inhibition of magnocellular activ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