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각선호도

Search Result 232,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Implementation of Time Series Analysis and Visualization about Author's Books for Book Recommendation (도서 추천을 위한 임의 저자 도서에 대한 시계열 분석 시각화)

  • Kim, Seo-Hee;Jung, Kwang-Chul;Lee, Won-Jin;Kim, Se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1a
    • /
    • pp.23-26
    • /
    • 2015
  • 도서 정보 양이 급증하면서 사용자 성향과 선호도에 맞는 정보를 추천해주는 서비스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도서를 추천해주는 플랫폼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독자에게 성향과 선호도에 맞는 추천을 해주기 위해서는 사용자, 도서, 저자 등을 대상으로 하는 분석이 필요하며, 분석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제공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저자에 대한 도서 정보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제공하는 시각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저자의 도서를 시계열 방식으로 분석하고, 이를 시간 시각화와 레이더차트를 사용하여 도서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시간 시각화와 레이더 차트를 통해 두 저자의 도서 일대기와 분류의 변화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 PDF

The Assessment of Visual Preference and Landscape Image in Odaesan National Park (오대산 국립공원 경관의 이미지 및 시각선호성 평가)

  • 김세천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9 no.2
    • /
    • pp.232-249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is to suggest objective basic data for the use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management of the national park through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visual quality included i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Odaesan National Park, for this, spatial images structure of physical elements have been analyzed by factor analysis algorithm and degree of visual quality have been measured mainly by questionnaries. Result of this the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actors covering the spatial image of the Odaesan National Park landscape have been found to be the pverall synthetic evaluation, physical, spatial, natural quality and, appeal factors such as the overall the synthetic evaluation, spatial and appeal yield high factor scores. As for the factors determining the degree of visual quality of clear of valley, peculiarity of configuration, natural of trail, harmony of suitable artificaial planting and temple.

  • PDF

Estimation of Optimal Water Surface Width/River Width Ratio and Investigation of Visual Preference for the River Scenery (하천경관을 고려한 적정 수면폭/하폭 비의 산정 및 시각적 선호도 조사)

  • Lee, Joo-Heon;Yoo, Sang-Wan;Jeong, Sang-Man;Kim, Do-Hee;Lee, Y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57-65
    • /
    • 2006
  • 본 연구는 유량에 의한 수면폭의 변화로 인한 하천경관의 시각적 선호도에 미치는 선호요인 파악하였다. 등간척도의 점수부가체계를 적용하여 이용자에 의한 금강경관의 시각적 선호를 평가한 후 시각적 선호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선호요인들과의 관계를 다중회귀분석방법으로 검정하였다. 수면폭 변화에 따른 금강경관의 시각적 선호요인 변수는 심미성 인자, 물리적 특성 인자, 복잡성 인자로서 3개 변수 모두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모든 선호요인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시각적 선호의 값도 증가를 가져오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다중회귀모형에서 다른 조건이 불변일 경우, 심미성 인자의 값이 증가할 때 전체적인 시각적 선호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다음으로 물리적 특성 인자가 두 번째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선호요인이 시각적 선호에 기여하는 상대적 중요도는 심미성 인자, 물리적 특성 인자, 복잡성 인자 순으로 나타났다. 심미성 인자는 복잡성 인자에 비해 3.2배 만큼 중요도가 크며 물리적 특성 인자는 복잡성 인자에 비해 3배의 중요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심미성인자는 가장 중요한 선호요인으로 판명되었다. 수면폭 변화에 따른 금강경관의 시각적 평가에 의한 선호 요인 분석 결과는 하천의 수면폭 및 수량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수위 변화로 인한 하천 경관의 선호 요인을 파악함으로서 금강 유지유량의 결정에 지침을 마련하고, 시각적 선호도에 따른 최적의 수면폭/하폭비 산정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는 수량에 의한 수면폭/하폭 비의 변화로 인한 하천경관의 수량결정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용자의 만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경관조성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통하여 유기농업의 실현을 도모하여 소비자의 욕구에 맞는 작물 생산 및 농촌관광단지 조성을 통해 부가가치증대 및 소득증대를 꾀함으로 농촌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를 통해 GIS 와 RS의 기술이 농촌분야에 더 효율적으로 적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농업기술센터를 통한 정보제공을 함으로써 대농민 서비스 및 농업기관의 위상이 제고 될 것으로 기대된다.여 전자파의 공간적인 가시화를 수행할 수 있었다. 본 전자파 시뮬레이션 기법이 실무에 이용될 경우, 일반인이 전자파의 분포에 대한 전문지식을 습득할 필요 없이, 검색하고자 하는 지역과 송전선, 전철 등 각종 전자파의 발생 공간 객체를 선택하여 실생활과 관련된 전자파 정보에 예측할 수 있어, 대민 환경정보 서비스 질의 개선측면에서 획기적인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사료된다.acid$(C_{18:3})$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야생 돌복숭아 과육 중의 지방산 조성은 포화지방산이 16.74%, 단불포화지방산 17.51% 및 다불포화지방산이 65.73%의 함유 비율을 보였는데, 이 중 다불포화지방산인 n-6계 linoleic acid$(C_{18:2})$와 n-3계 linolenic acid$(C_{18:3})$가 지질 구성 총 지방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함유 비율을 나타내었다.했다. 하강하는 약 4일간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

  • PDF

An Image and Visual Characteristics Analysis of Gyeongju Daereungwon Area Using Virtual Walkthrough (Virtual Walkthrough를 이용한 경주 대릉원지구의 경관이미지 및 시각적 특성 분석)

  • Deng, Bei-Jia;Kim, Young-Hun;Jeong, Jae-Hyun;Heo, Sang-Hy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8 no.2
    • /
    • pp.108-117
    • /
    • 2020
  • This study takes the Gyeongju Historic Areas Daereungwon Area as the research object, uses the Virtual Walkthrough method for virtual experience and evaluation, the visu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o analyze landscape visual characteristics an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 factors and visual preferences, the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preference analysis of the Daereungwon Area show that the preference of scene3 where located on the western boundary of Noseo-rl tumuli got the highest score, and the preference score of scene5 where located on the western boundary of Daereungwon less than three points.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of visual characteristics, three factors were analyzed: regularity factor, spatiality factor and historical factor. The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 scores and visual preferences show that regularity factor was analyzed as the biggest factor that affects the visual preference of the Historical-cultural landscape Daereungwon Area. Virtual Walkthrough method has a strong three-dimensional and strong production of the real landscape scene, it's an effective method in landscape analysis. The results of research provides data and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visual quality of Historical-cultural landscape and it's expected to be applied in the future of landscape planning.

Personalized TV Program Recommendation Considering Time-based Global and Local Preference (시간 기반의 전역 선호도와 지역 선호도를 고려한 개인화된 TV 프로그램 추천)

  • Oh, Suntak;Lee, Jee-H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1a
    • /
    • pp.47-50
    • /
    • 2015
  • TV는 타 도메인과 달리, 사전에 정해진 시간에 콘텐츠가 방영된다. 그러므로 TV 프로그램 추천 시스템은 시청자의 현재 시각(time-context)을 고려해야 한다. 시간 기반의 TV 프로그램 추천 방법이 다수 연구되었지만, 대부분의 기존 연구는 특정 시간대(timeslot)에서의 시청자의 선호도를 계산하는 데에만 집중되어 있고, 시청 내역 전체기간에서의 선호도를 고려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청자의 지역 선호도와 전역 선호도를 모두 고려한 시간 기반의 TV 프로그램 추천기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제안 방법에서는 시간대의 길이에 따라 여러 가지 선호도 모델을 사용한다. 여러 개의 선호도 모델로부터 산출된 선호도를 병합하여 가장 선호도가 높은 TV 프로그램을 추천한다. 실 데이터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기준방식과 비교함으로써, 제안 방법의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 PDF

A study on visual sensibility of color combination for clothing (의복배색의 시각적 감성 연구)

  • 은소영;이경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167-172
    • /
    • 1999
  • 본 연구는 의복배색에 의해 표현되는 다양한 감성을 파악하기 위해 여성복을 대상으로 배색(2색배색)에 따른 시각적 감성의 구성요인, 시각적 감성의 차이, 시각적 감성 포지셔닝, 선호도ㆍ구매욕구ㆍ고급감ㆍ쾌감과 시각적 감성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자료수집은 서울ㆍ부산 지역의 20대 여성 803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분석은 SAS를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그 결과 배색연출, 배색방법, 지역에 따른 시각적 감성의 차이가 현저히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의복 색채기획 및 감성을 바탕으로한 마케팅 전략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Quantitative Analysis of Landscape in Tokyusan National Park (덕유산 국립공원 경관에 대한 계량적 분석)

  • 김세천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7 no.2
    • /
    • pp.231-240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objective basic data for applying to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management of the national park through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visual quality included in the and physical environment of the Tokyusan National Park. For this, spatial images and structures, of natural elements have been analyzed by factor analysis algorithm, and degree of visual quality has been measured mainly through questionnaries.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actors covering the spatial image of the Tokyusan National Park landscape have been found to be the overall synthetic evaluation, appeal, spatial, natural quality and dignity factors such as the overall synthetic evaluation, spatial and appeal yield high factor scores. The main factors determining the degree of visual quality are the clearness valley, peculiarity of configuration, natural of trail, harmony of suitable artificial planting and temple.

  • PDF

Landscape Preference over Single-Spaned Steel Box Girder Bridge by Bridge Shape Parameters (단경간 강박스거더교의 교량형상계수별 경관선호도 분석에 관한 연구)

  • Kim, Rak-Gi;Geum, Gi-Jeong;Yang, Gye-Seung;Im, Seong-B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4 no.2 s.88
    • /
    • pp.7-1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landscape Preference and define elements of difference in landscape preference of the 1-span Steel Box Girder Bridge by Bridge Shape Parameters(BSP) through Design of Experiments. Lately, the 1-span Steel Box Girder Bridge is dominations much component ratio and the Steel Box Girder Bridge has strong Points that is economically Profitable and management has easy when construct. but landscape preference of the 1-span Steel Box Girder Bridge was evaluated low because impression of landscape is being surfeited and dulled. Do to consider optimization in design that give change to Bridge Shape Parameters(BSP) to supplement this shortcoming in this study. Therefore, this study changes Bridge Shape Parameters(BSP) and extract elements that influence in landscape preference of the 1-span Steel Box Girder Bridge. and based on the design that consider landscape Preference of the 1-span Steel Box Girder Bridge, some essential guidelines for rational design of the 1-span Steel Box Girder Bridge suggested.

A Study on Visual Elements in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poster (제19대 대통령 선거포스터에 나타난 시각표현 요소 연구)

  • Lee, Young hwa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8 no.6
    • /
    • pp.199-207
    • /
    • 2017
  • This study would analyze the visual expression elements, including layout, color, picture and typography in the election posters with the five main candidates of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as the targets of the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the candidates' images in the election posters and conducted a survey of the visual expression elements survey by the age of the vot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residential Candidate Moon Jae-in felt fresh, and Yoo Seung-min like Moon had high percentages in layout and color, highlighting his clean image. Hong Jun-pyo had the most diverse preferences by age, and Ahn Cheol-soo, who showed the most unprecedented poster, too, had diverse preferences by age. Shim Sang-jung, who emphasized her familiar image, had preferences for her visual expression elements by all age groups in the following order: layout, color, picture and typography. Therefore, in order to utilize the visual expressions of the election posters, effectively,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messages that the candidates would claim. For this purpose, objective research should continue so that they can be further developed artistically and academically through broad understanding and analysis of the voters rather than subjective expres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