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트레스 대처이론

Search Result 28,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Stress - Coping - Adaptation model for Unwed Mothers : It's Empirical Test (미혼모의 스트레스-대처-적응 모형 검증)

  • Lee, Hyun-Joo;Um, Myung-Yong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4 no.2
    • /
    • pp.113-140
    • /
    • 2013
  •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test the causal model of stress-coping-adaptation for unwed mothers, which was built upon the Lazarus and Folkman's(1984) "Stress-Coping-Adaptation" model. In doing so researchers endeavored to provide practice implications as well as theoretical ones which would be helpful both to alleviate the unwed mothers' stress level, and to facilitate social adaptation of the unwed mothers. In order to fulfill research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national sample of 423 unwed mothers in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verall goodness of the fit of the proposed causal model was excellent. Most of the path coefficients between social support, stress, coping, and adaption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oderating effects of "pursuit of social support" between stress and adaption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though.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provided to reduce the level of stress of the unwed mothers, and to facilitate the adaptation of the unwed mothers.

The Conceptual Model of the Effect on the Motivation with Job Stress of the Emergency Nurse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동기부여에 미치는 영향의 개념적 모형)

  • Oh, Hung-Suk;Jun, Soon-Yo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b
    • /
    • pp.954-958
    • /
    • 2010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대처방안을 파악하여, 응급실 간호사의 스트레스를 보다 합리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직무만족 및 효율적인 간호활동에 도움을 주기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스트레스와 동기부여 이론을 제 고찰해보고, 응급실 간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가 간호사들의 동기부여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개념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 PDF

Integrated Theoretical Approach for the Stress Management of Dual-Career Family

  • 현은민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31 no.4
    • /
    • pp.23-35
    • /
    • 1993
  • 현대사회에서 맞벌이부부 가족이 증가하고 있고 맞벌이부부가족으로써 가족체계가 유지되고 발달됨에 따라 맞벌이부부 가족의 스트레스 관리 방식을 밝히기 위해서는 가족간의 정서적, 관계적 상호작용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맞벌이부부 가족에 관한 이전의 연구들은 가족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촛점을 두었고 정서적 상호작용과정에 대해서는 중요시 하지 않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맞벌이부부 가족의 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하여 가족의 발달적인 측면에 중점을 두어 두가지 이론―가족자원관리 이론과 Family FIRO모델의 통합을 제시하는데 있다. 가족자원관리 이론과 Family FIRO모델의 통합은 이론이 설명하지 못하는 측면에 대해 상호보완적이 시각을 제시해 준다.

  • PDF

Work-Family Role Strain in Dual-Earner Families:A Theoretical Model for Wives (맞벌이 부부가족에 있어서의 일과 가정생활의 역할 긴장에 관한 이론적 모델 연구: 이론적 모델의 검증)

  • 김영희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30 no.2
    • /
    • pp.139-158
    • /
    • 1992
  • 본 연구는 가족스트레스 이론적 모델인 Double ABCX Model과 일과 가정생활의 역할 긴장에 관한 선행연구를 기초로하여 제안된 이론적 모델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론적 모델의 검증을 통하여 일과 가정생활의 역할 stressor나 두 가지 역할의 누적으로 쌓이는 역할 긴장이 가족스트레스 이론으로 설명될 수 있는가\ulcorner 또한 매개 변수인 가족자원과 대처방안에 의해 어떻게 중재되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미국 로스앤젤레스 지역의 한국교민 중 맞벌이 부부인 가족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설문지법으로 남편과 부인의 자료를 분리하여 표집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153명의 부인으로부터 얻은 자료만을 분석하고자 한다. 자료는 이론적 검증에 유용한 LISREL VII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한다. 자료의 분석결과가 처음 제안된 모델은 검증하지 못했지만 가족자원 변인과 대처방안 변인간의 상호 관계 효과를 고려하여 수정된 모델은 가족스트레스 이론으로 일과 가정생활을 병립하는데서 오는 stressor나 누적된 역할 긴장을 이해할 수 있음이 검증되었다. 모델의 검증을 통하여 맞벌이 부부가족의 부인에게는 일과 가정생활의 stressor가 누적되어 역할긴장을 증가시켰으며 이 역할긴장은 주로 가정생활의 역할 stressor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자원은 일과 가정 생활의 두 역할 stressor에 의해 강도를 더하는 역할 긴장을 감소시키고 삶의 질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매개변수로 나타났다.

  • PDF

Work-Family Role Strain in Dual-Earner Families : A Theoretical Model for Husbands (맞벌이 부부가족에 있어서의 일과 가정생활의 역할 긴장에 관한 연구: 남편에 대한 이론적 모델의 검증)

  • 김영희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30 no.3
    • /
    • pp.271-283
    • /
    • 1992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스트레스 이론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제안된 이론적 모델의 검증을 통하여 일과 가정생활의 두 역할을 병행하는 데서 기인하는 역할긴장이 매개변수인 가족자원과 대처방안에 의해 어떻게 중재되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는데 있다. 다단계 추출법으로 미국 로스엔젤레스에 거주하는 한인교포 중 맞벌이부부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질문지를 통해 남편과 아내의 자료를 표집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117명의 남편의 자료만을 결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이론적 검증에 유용한 LISREL Ⅶ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처음에 제안된 이론적 모델의 검증에는 문제를 보였지만 PSI Matrix를 고정하고 가정생활의 역할 stressor와 가족자원의 경로를 첨가하여 수정된 모델은 자료에 의해 충분히 검증되었다. 그러나 남편의 이론적 모델은 가족스트레스 이론을 일반화시키지 못했기 때문에 일과 가정생활의 두 역할을 병행하는 데서 기인하는 남편의 역할긴장을 가족스트레스 이론으로 설명하는데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된 이론적 모델의 의미와 제한점 등을 살펴본 후 미래연구가를 위한 방안이 제시되었다.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ADHD and Family Resilience (ADHD아동을 양육하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대처와 가족탄력성의 관계)

  • Lee, Jung-Eun;Choi, Yeon-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1
    • /
    • pp.96-107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family resilience in children with ADHD. Method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hierarchically regressed. The participants were 113 mothers of children with ADHD and who lived in resident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Province. The main conten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amily resilience level according to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family monthly income. Second, the higher the parenting stress, the lower the family resilience ($r=-.622^{**}$), and all three types of coping methods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family resilience. Third, the variables affecting family resilience were in the order of problem - centered coping (${\beta}=.376$), parenting stress (${\beta}=-.338$) and mother's academic ability (${\beta}=.239$). Based on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ed a social welfare practice plan to reduce the parenting stress and increase the resilience of the mother of the child with ADHD.

The Relationships among Work Stress,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s of Child Welfare Employees (아동복지 종사자들의 직무 스트레스 요인, 소진 및 이직의도의 관계)

  • Kang, Hyun-Ah;Nho, Choong-Rai;Park, Eun-Mie;Shin, He-Reong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0 no.3
    • /
    • pp.107-127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the direct or indirect effects through burnout of sources of work stress of child welfare employees on turnover intentions. In addition, the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stress coping resources, which was hypothesized to buffer the negative effects of the sources of work stress on burnout.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190 social workers in foster care services and child protective services. As a statistical metho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mployed.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sources of work stress affect indirectly though raising the level of burnout. The study did not fi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tress coping resource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child welfare practice were discussed.

  • PDF

The Theoretical Perspective of Alcoholic Couple (알콜중독자 부부에 관한 이론적 관점)

  • 정혜정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2 no.1
    • /
    • pp.11-23
    • /
    • 1994
  • 이 논문은 알콜중독자 부부에 관한 여러 가지 이론적 관점을 고찰한 것이다 성격 장애가설 보상상실 가설, 사회학적 스트레스이론, 대처적 관점, 사회학습이론, 그리고 체계이 론의 기본가정과 원칙이 간략히 소개되고 이러한 관점들이 알콜중독자 부부를 개념화하는데 어떻게 적용되었으며 이 관점들에 기초한 실증적 연구결과들이 고찰 되고 논의 된다 마지막 으로 이 관점들이 알콜중독자 부부에 관한 연구와 치료를 어떤 측면에서 조명할 수 있는지 가 논의 된다,.

  • PDF

The Effects of Stress factors and Self-Esteem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the young-old, the old-old, the oldest-old groups: The Mediating Role of Two Dimension Self-Esteem (노년기 연소노인, 중고령노인, 초고령노인 집단의 스트레스 요인과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 2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 Kwon, Tae-yeo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0 no.1
    • /
    • pp.163-196
    • /
    • 2009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rect impact and pathways of stress factors, internal resources(positive self-esteem and negative self-esteem) on the depressive symptoms based on stress coping theory, grouping older stage into three groups such as, the young-old, the old- old, oldest-old. This study further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factors and depressive symptoms. Data from 1st year Korea Welfare Panel Study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was 4,338 who were over 65. Data a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revealed that stress factors and internal resources(positive self-esteem and negative self-esteem) directly affected depressive symptoms. The effects of stress factors on depressive symptoms were mediated by positive and negative self-esteem.. Results of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the effects and pathways of stress factors and self-esteem on depressive symptoms were different into the three old groups. Based on the findings, the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were discussed.

The Effects of Perceived Social Stigma on the Life Satisfaction of Sexual Minorities (사회적 낙인 인식이 성소수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Kang, Byung Chul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2 no.2
    • /
    • pp.381-417
    • /
    • 2011
  •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affect how satisfied sexual minorities are with their lives. This study focuses on how sexual minorities perceive social stigma, the social influences involved in its perception, and the effects this perception has. Using stress-coping theory, this study looks at how social stigma, as a perceived stress, affects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how the stigma influences the degree to which individuals "come out" in an effort to cope, and the resultant effects of this coping mechanism on life satisfaction. The data used if from a sample of 478 individuals who self identify as gay, lesbian or bisexual. It was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Using SEM, the quality was evaluated by analyzing the measurement model, and the relationship of the variables included in the theoretical model was verified by analyzing the structural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social stigma directly affects the life satisfaction of Korean sexual minorities. It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social support they receive(from family and sexual minority peers), and their self-esteem. The degree to which the individual "comes out" is shown to affect life satisfaction as well. In contrast, the mediating effect of heterosexual support is shown to be insignificant. Based on the analyses, practical strategies regarding social stigma,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coming out" are suggested for sexual minorities. The social stigma should be reduced and society-scaled campaigns promoted in order to improve their level of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institutional protection should be developed and specialized educational courses on human rights provided which will empower these minorities with self-help mechanisms. Furthermore, issues such as establishing support system and providing a social welfare system for the sexual minority community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