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크린 디지타이징

Search Result 13,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Development of Precise Vectorizing Tools for Digitization of Cadastral Maps (지적도면 수치화를 위한 정밀 벡터라이징 도구 개발)

  • 정재준;오재홍;김용일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8 no.1
    • /
    • pp.69-83
    • /
    • 2000
  • Cadastral map is the basic data that prescribe a lot number, the classification of land category, a boundary and ownerships of the parcels. Because the analogue cadastral map is not appropriate for the Parcel Based Land Information System, computerization of cadastral map is needed. When considering other automatic vectorizing softwares, we conclude that they can not satisfy the accuracy needed in cadastral map. Also screen digitizing methods demand lots of time. So we developed semi-automatic vectorizing program that realized almost capacities, such as overlay display which is needed for screen digitizing , window link, vector file generation , and so forth. As comparing screen digitizing method using AutoCAD with our developed program, we could obtain not only almost same accuracy , but also 35 minute reduction in vectorizing.

  • PDF

Accuracy on the Edge Detection Using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 (고해상도 위성 영상을 이용한 경계검출에 대한 정확도 분석)

  • 박운용;문두열;홍순헌;윤경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529-534
    • /
    • 2004
  •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수치지도를 제작함에 있어 가장 큰 문제점은 레스터 자료인 위성영상에서 경계검출을 통해 벡터자료의 형태로 제작하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계검출을 통하여 위성영상에서 지형의 경계를 검출해내고, 이를 스크린 디지 타이징 기법을 적용하여 벡터라이징 한 후 나타난 결과를 국토지리정보원의 수치지도와 비교하여 정확도를 비교ㆍ평가하였다. 대상 범위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동 일부지역을 IKONOS로 촬영된 공간해상도 1m의 위성영상을 사용하였다. 위성영상의 전처리는 기하보정과 정사보정을 거친 후 영상강조를 하였고, 여러 가지의 필터링을 적용하여 경계검출을 수행하였다. 경계검출 방법 중에 하나인 Sobel 연산자를 적용한 후 축척 1:5,000 수치지도와의 중첩을 통하여 표준편차(Root Mean Square Error : RMSE)를 산출하여 비교ㆍ분석하였다. 그리고 스크린 디지타이징 기법을 적용하여 추출한 벡터자료를 건물, 도로 및 임야로 분류하여 수치지도와 중첩하여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건물과 도로의 경우에는 공공측량 작업규정에서 정하고 있는 축척 1:5,000의 평면위치 허용오차 기준을 만족하고 있지만, 임야의 경우는 축척 1:10,000 이상의 허용오차기준에 만족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수치지도 제작을 위한 지형ㆍ지물의 경계추출

  • 박운용;차성렬;이동락;김용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3.10a
    • /
    • pp.433-437
    • /
    • 2003
  •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수치표고모델(DEM) 및 정사영상을 제작해서 수치지도의 갱신 및 지형공간정보체계의 자료기반으로써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Sobel 연산자를 이용하여 경계추출을 행한 후 스크린 디지타이징 방법으로 경계선을 추출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벡터자료와 기존수치지도와의 중첩을 통해서 건물, 도로, 임야의 평균위치오차를 분석해 보았다. 평균위치오차가 공공측량의 작업규정에 대한 1 : 5,000 수치지도 제작의 허용오차범위에는 들지 못하였지만, 특정 부분의 지형·지물의 경우에는 수정, 보완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산악지역 보다는 도심지에서의 경계추출이 뚜렷하기 때문에 위치정밀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Length of DMZ and MDL (비무장지대 및 군사분계선의 길이에 관한 연구)

  • KIM, Chang-Hw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2 no.1
    • /
    • pp.19-27
    • /
    • 2019
  •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length of the Demilitarized Zone and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MDL) on the Korean Peninsular. For this purpose, maps of the Armistice Agreement Volume II were used. These maps are nine sheets. In order to extract the MDL shown on the map, coordinates were assigned to the scanned image maps using the georeferencing module of ArcGIS based on the sheet line coordinates. The accuracy of the extracted vectors was checked by overlaying them on the maps of the Armistice Agreement Volume II. And I tried to validate these vector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vectors extracted from Kim(2007). Vectors extracted from Kim(2007) had errors in the curvilinear parts of the MDL, but the vectors extracted from this study exactly matched the MDL in the Armistice Agreement Volume II. The measured length is 239.42km(148.77miles). This means that the expression '155mile MDL' or '248km DMZ' in papers, reports or mass media has so far been inappropriate. I think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exact length of the DMZ in studies related with DMZ or in policy decisions by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However, it is deemed necessary to verify this result by 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NGII(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After these verification procedures, I hope that the national government will inform the people of the exact length of DMZ and MDL.

A Study on Watershed Management Technique using SWAT Model and High Spatial Resolution Satellite Imagery (SWAT모형과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하천유역 관리기법연구)

  • Lee, Ji-Wan;Lee, Mi-Seon;Shin, Hyung-Jin;Park, Geun-Ae;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8-22
    • /
    • 2010
  • 본 연구는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자료를 비점오염원 분석에 적합한 SWAT모형에 적용할 수 있는 정밀토지이용도의 분류항목으로 설정하고 영상에서 추출 할 수 있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지역은 경안천 유역($260.54km^2$)으로 기상자료는 1998년부터 2008년 동안의 경안천유역 6개의 강우관측소 자료와 3개의 기상관측소 자료를 수집하여 구축하였다. 수질자료는 환경부 물환경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1999~2008년까지 구축하여 사용하였다. 점오염원자료는 경안, 오포, 매산 하수처리장의 1990~2007년까지의 일자료를 사용하였다. 또한 고해상도 위성영상(KOMPSAT-2)을 환경부의 토지피복분류체계와 현장조사를 통하여 토지이용분류 항목을 설정하고 스크린 디지타이징 방법을 통해 제작한 정밀토지이용도를 사용하였다. 정밀토지이용도를 SWAT 모형에 적용하여 분석 시 활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30m 중해상도의 환경부 토지이용도와의 모형 결과를 비교하였다.

  • PDF

Detection of Roads Information and the Accuracy Analysis from IKONOS Satellite Image Data (IKONOS 위성 영상데이터로부터 도로정보의 판독과 그 정확도 분석)

  • 안기원;김상철;신석효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0 no.3
    • /
    • pp.235-242
    • /
    • 2002
  •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analysis of road extracting accuracy from the high resolution IKONOS satellite image data. A geometric correction of the image is performed using the RFM and interpretation with the screen digitizing is also performed for extracting the roads information. For the evaluation of road extracting accuracy, the road locations and the road widths are compared with the national digital map. The comparison results shows that the road boundary and the size of road width are able to extract with the geometric accuracy of $\pm$3.4m and $\pm$1.1m.

Extraction of Agricultural Land Use and Vegetation Information using KOMPSAT-3 Resolution Satellite Images (KOMPSAT-3급 위성영상을 이용한 농업 토지이용 및 식생 정보 추출)

  • Lee, Mi-Seon;Kim, Seong-Joon;Shin, Hyoung-Sub;Park, Jong-Hwa;Shin, Hyung-Jin;Jung, In-Kyun;Jung, Chul-Hoo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9.03a
    • /
    • pp.31-3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KOMPSAT-3급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전처리 후 정밀 농업 주제정보를 추출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KOMPSAT-3급 고해상도 위성영상은 IKONOS (2001/5/25, 2001/12/25, 2003/10/23) 3개의 영상, QuickBird (2006/5/1, 2004/11/17) 2개의 영상, KOMPSAT-2 (2007/9/17) 1개의 영상 등 모두 6개의 영상을 확보 및 각각에 대한 현장 GCP자료 및 RPC, RPB 자료를 수집하여 정사보정을 실시하였다. RMSE는 약 $0.12\sim3.18$의 값으로 분포되었다. KOMPSAT근 급 영상자료로 부터 정밀농업물재배지도를 작성하기 위해 각 벤드별 Scatter기법을 이용하여 각 밴드간의 상간관계를 살펴보고, 3개의 최적의 밴드를 선정하였다. 또한 작물별 최적의 밴드 결정을 위해 각 밴드별 픽셀 값을 사용하여 Texture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논의 경우 모든 밴드에서 분석이 용이 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4밴드의 경우 3개의 작물(고추, 옥수수, 벼)의 분석시 매우 적합한 밴드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각 영상별 필터링 기법과, ISODATA 방법을 이용한 정밀농업 토지이용도 작성하여 기존 스크린 디지타이징 기법으로 작성한 정밀토지이용도와 비교하였다. 다양한 식생정보를 추출하는 위하여 확보된 영상자료로부터 RVI, NDVI, ARVI, SAVI 식생지수 를 추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현장자료로부터 추출한 식생지수간의 결과 값과 비교분석하였다.

  • PDF

Estimating the Application Possibility of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 for Update and Revision of Digital Map (수치지도의 수정 및 갱신을 위한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적용 가능성 평가)

  • 강준묵;이철희;이형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0 no.3
    • /
    • pp.313-321
    • /
    • 2002
  • Supplying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 we take much interest in the update and the revision of digital map and thematic map based on the satellite image. This study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the update and the revision to the existing digital map on a scale of l/5,000 and 1/25,000 to take advantage of the IKONOS satellite image. We performed geometric correction to make use of the ground control points of the existing digital map in IKONOS mono-image and created ortho-image by extracting digital elevation model from three dimensional contour data and altitude on the existing digital map. We revised changed features in the method of screen digitizing by overlapping orthorectified satellite image and existing digital map and flawed features of the unchanged area on the satellite images for positional accuracy analysis. As a result, rectification error is calculated at $\pm$3.35m by RMSE. There is a good possibility of update of digital map under the scale of 1/10,000. It is possible to the update of the large scale digital map over the scale of l/5,000, as if we used the method of stereo image and ground control point surveying.

Analysis of Position Accuracy of Topography using LiDAR Data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지형지물의 위치정확도 분석)

  • Kim, Yong-Suk;Kim, Seong-Cheo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8 no.3
    • /
    • pp.270-278
    • /
    • 2008
  • This study : An analysis of position accuracy of topography according to using LiDAR data, aerial photo and digital map for a study area was conducted. The study area was selected in Hadan area, Sahagu, Busan aerial LiDAR data and aerial photo in the scales of 1:20,000, which are high tech surveying ways were used. The final digital orthoimage according to orientation process for each image and image resampling was producted. Using it, a checkpoint was chosen, information about the checkpoints selected was extracted, a coordinate of Horizontal Position through the screen digitizing was also extracted. Both the coordinates of LiDAR data and aerial photo using digital map in the scales of 1:20,000 announced to the public from NGII(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were gradually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digital map, as a result of being both compared and analyzed, it has shown to us that horizontal position of aerial photo is more accurate than that of aerial LiDAR surveying (RMSE-building x:24cm, y:26cm).

A Study on Best Management Practices in Byulmicheon Watershed Using SWAT Model (SWAT 모형을 이용한 별미천 유역의 최적관리기법 적용 연구)

  • Park, Hye-Sun;Kim, Sang-Ho;Jung, Hyuk;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81-78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수문-수질 모의가 가능한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을 이용하여 경안천 상류의 별미천 유역($1.21km^2$)을 대상으로 최적관리기법(Best Management Practice, BMP) 적용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별미천 유역내 논($0.049km^2$)과 밭($0.018km^2$) 지역에 대한 BMP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먼저, 논에서는 계단식(Terrace) 재배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밭에서는 등고선(Contour farming) 재배 방법과 볏짚지표피복 시나리오를 적용하였다. 여기서, 볏짚지표피복 시나리오는 현재 $1276.6m^2$, 경사도 약 3.2%의 콩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는 시험포장에서 수행된 결과를 이용하여 SWAT 모형의 지표유출관련 매개 변수를 조정하였다. SWAT 모형의 적용성 평가를 위해, 1:5,000 수치지도로부터 2m DEM(Digital Elevation Model) 및 QuickBird(2006.05.01) 위성영상으로부터 스크린 디지타이징기법(On-Screen Digitizing Method)을 이용하여 총 21개 토지이용항목의 1:5,000급 정밀토지이용도를 작성하고, 농촌진흥청에서 제공하는 1:25,000 정밀토양도를 구축하였다. 또한, 유역출구점에서 자동수위 및 강우량 계측기, 수질측정을 위한 오토샘플러를 설치하여 시간당 수위(유량), 강우 자료와 강우발생에 따른 수질자료(Sediment, Total Nitrogen, Total Phosphorus)를 이용하여 모형의 검보정(2011.06.08 ~ 2011.10.31)을 실시하였다. 모형의 검보정 후, 논에서의 Terrace 및 밭에서의 Contour farming, 밭 시험포장에서의 저감효과가 분석된 지표피복시나리오의 적용을 위한 SWAT 모형의 관련 매개변수를 정의하고, 각 BMP 시나리오별 비점오염원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