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마트 농업

Search Result 420,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Security Vulnerability and Countermeasures in Smart Farm (스마트 팜에서의 보안 취약점 및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 Chae, Cheol-Joo;Han, Sang-Kyun;Cho, Han-J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11
    • /
    • pp.313-318
    • /
    • 2016
  • Recently, the smart farm development using a PC and smart phone to manag the farm for improving competitiveness is in progress. In the smart farm, by using the various ICT technology including RFID, Wi-Fi, ZigBee, Wireless LAN, and etc., the growing environment of the crop and animals can be managed with the remote. By using the network including not only the TCP/IP based wired network but also ZigBee, Wireless LAN, and etc., each of the devices installed in the smart farm transmits the growing environment data to the server. So, smart farms have information and network security vulnerability. Therefore, we propose the method that analyzes the security vulnerability which can begenerated in the smart farm and user authentication method.

A study on optimal environmental factors of tomato using smart farm data (스마트팜 데이터를 이용한 토마토 최적인자에 관한 연구)

  • Na, Myung Hwan;Park, Yuha;Cho, Wan Hyun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8 no.6
    • /
    • pp.1427-1435
    • /
    • 2017
  • The smart farm is a remarkable system because it utilize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to bring high productivity and excellent qualities of crops. It automatically measures the growth environment of the crops and accumulates huge amounts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in real time growing in smart farms using multi-variable control of environmental factors. The statistical model using the collected big data will be helpful for decision making in order to control optimal growth environment of crops in smart farms. Using data collected from a smart farm of tomato, we carried ou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yield and environmental factors and to predict yield of tomato. In this study, appropriate parameter modification was made for environmental factors considering tomato growth. Using these new factors, we fit the model and derived the optimal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the yields of tomato. Based on this, we could predict the yields of tomato. It is expected that growth environment can be controlled to improve tomato productivities by using statistical model.

Development of Building System for Achieving an Optimal Growth Environment in a Vertical Smart Farm (수직형 스마트 팜의 적정 생육환경 조성을 위한 건축 시스템 개발 - 수직형 스마트 팜에 최적화된 내부 공기 균일성 향상에 대한 연구 -)

  • Kim, Handon;Lee, Jeonga;Choi, Seun;Jang, Hyounseung;Kim, Jimi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2 no.4
    • /
    • pp.3-10
    • /
    • 2021
  • According to the IPCC, humans are influencing the climate system. Such changes in the climate system can cause problems in the supply of food ingredients in the agricultural field by changing the existing growing environment. To solve this problem, vertical farms can be a good alternative for a stable supply of food ingredients. Although the vertical smart farm pays close attention to maintaining and managing the growing environment of crops,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implement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tion, oxygen,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in the building space. As a result of conduct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nalysis to ensure air uniformity, a remarkable result is that it is advantageous to continuously spray suitable carbon dioxide CO2 concentrations for a long period of time for air uniformity in a vertical smart farm. Through this resul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lan a growing environment system optimized for a vertical smart farm. Based on this study, if efficient crops are produced by creating an optimized growing environment for vertical smart farms,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agricultural field.

A Study on Analysis of Problems in Data Collection for Smart Farm Construction (스마트팜 구축을 위한 데이터수집의 문제점 분석 연구)

  • Kim Song Gang;Nam Ki Po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22 no.5
    • /
    • pp.69-80
    • /
    • 2022
  • Now that climate change and food resource security are becoming issues around the world, smart farms are emerging as an alternative to solve them. In addition, changes in the production environment in the primary industry are a major concern for people engaged in all primary industries (agriculture, livestock, fishery), and the resulting food shortage problem is an important problem that we all need to solv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primary industry, efforts are made to solve the food shortage problem through productivity improvement by introducing smart farms us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uch as ICT and BT and IoT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This is done through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This paper intends to consider the minimum requirements for the smart farm data collection system for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smart farms, the establishment of a sustainable agricultural management system, the sequential system construction method, and the purposeful, efficient and usable data collection system. In particular, we analyze and improve the problems of the data collection system for building a Korean smart farm standard model, which is facing limitations, based on in-depth investigations in the field of livestock and livestock (pig farming) and analysis of various cases, to establish an efficient and usable big data collection system. The goal is to propose a method for collecting big data.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obile services for the trading of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virtual space (가상공간에서의 농산물 거래를 위한 모바일 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 Min, Geum-Young;Jeong, M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575-577
    • /
    • 2015
  • 최근 스마트 기기를 통한 농업활동을 통해 생산과 유통, 소비에서 새로운 유통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이 활발해지고, 스마트 모바일 기기와 IT융합으로 유통, 판매 구조가 빠르게 변함에 따라 차세대 유통모델인 가상공간에서의 농산물 거래를 위한 서비스 모델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가상공간에서의 농산물 서비스 모델은 모바일 통합 플랫폼으로 스마트폰(App)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농업비즈니스 혁신을 위한 비즈니스모델 젠 적용 사례연구

  • Park, Sang-Hyeok;Park, Jeong-Seon;Seol, Byeong-Mun;Jo, Yong-Ho;Im, Gyeong-S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21-21
    • /
    • 2017
  • 귀농귀촌 문화가 유행하고 농업의 미래 가치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면서 농산업으로의 새로운 진출을 계획하는 인구가 늘고 있다. 우리의 농업은 자급자족경제로부터 상업경제로 발전되어 왔고, 글로벌 시장 개방 및 생산 기술의 지속적 발전으로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며 가격이 점점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농업 현장의 여러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농산업의 긍정적인 여건들도 형성되고 있다. 올바른 먹거리를 추구하는 식품 소비패턴의 변화, 환 생태 치유 자연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고조, 스마트 팜과 같은 생산환경의 자동화, 지역 자원을 근거한 공동경영체 운영 등과 같은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농산업분야에 새로이 진출하고자 하는 개인 또는 소규모 사업주체들은 자신의 사업에 대한 정체성을 이해하고, 효율적인 사업운영을 위한 차별화 전략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개별 또는 소규모 조직의 농업인과 예비농업인들이 자신의 사업에 대한 정체성을 이해하고, 사업운영을 위한 전략 선택을 돕는 비즈니스모델 템플릿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농업 전문가, 창업 전문가, 비즈니스모델 전문가 풀을 구성하여 농산업 특성을 이해하고 최근 농업 농촌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농업비즈니스 트랜드를 분석하였다. 근거 자료 및 전문가 토론을 통해 농산업 비즈니스를 '시장가치 추구형', '사회적가치 추구형', '연대하는 시장가치 추구형', '연대하는 사회적가치 추구형'의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각 유형별 사례기업을 조사하여 비즈니스모델을 분석하였다. 비즈니스모델은 비즈니스모델 젠 캔버스를 이용하여 표현하였다. 비즈니스모델 젠은 비즈니스 유형에 따라 일반 창업형, 협동조합형, 임팩트비즈니스형 등 차별화된 캔버스 모델을 제공하고 있으며, 고객중심의 비즈니스 관점을 보다 세밀히 제공하는 툴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즈니스모델 젠을 통해 4가지 유형의 농산업 비즈니스 모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농산업에 진출하는 사업주체의 사업진행 방향 및 전략선택을 위한 교육 컨설팅 현장에서 널리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Mobile Application Development for Irrigation Facilities and water Management (수리시설 및 물 관리를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

  • Kim, Jin-Taek;Oh, Seoung-Tae;La, Mi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43-443
    • /
    • 2012
  • 최근 지구 온난화 및 기후변화로 인하여 국지적 집중호우에 의한 농지 침수 및 유실 피해가 점차 증가 추세에 있으며 가뭄에 의한 물 부족 현상도 심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홍수 및 가뭄 피해에 대비하기 위하여 농업용 저수지와 수문 그리고 농수로와 같은 농업수리시설물이 신축 운영되고 있으나 이들 시설물은 비교적 규모가 작은 대신에 그 수가 매우 많고 또한 지역적으로 널리 산재해 있기 때문에 관리자가 이들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관리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특징이 있다. 더욱이 이들 시설물은 물과 항상 접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어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균열발생과 철근부식과 같은 노후화 현상이 뚜렷하게 진전되어 정기적 안전점검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농업수리시설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농업용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확보 운영하기 위하여 물관리 자동화 사업이 추진되어 많은 개선이 이루어졌으나 아직까지 현장업무가 관리자의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으며 농촌 용수의 정확한 정보가 제때에 제공되지 못하는 등 농업수리시설에 대한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농촌수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하여 농업수리시설 가운데 하나인 농수로의 수위 및 유량 정보를 자동으로 측정하며 농업수리시설물의 상태 정보를 입력하고 관리할 수 있는 모바일 App을 개발하였다. 안드로이드 OS 기반의 스마트폰을 활용하였으며 여기에는 시설물 고유정보가 포함된 QR코드 및 Active 태그를 통하여 시설물의 상태정보를 원격에 있는 서버 컴퓨터로 전송할 수 있는 원거리 무선통신 모듈이 구비되어 있다. 특히, 농업수리시설물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현장관리자가 기존에 수기방식으로 시설물을 관리해 오던 것을 휴대단말 상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를 함으로써 시설물 유지관리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특징이 있다.

  • PDF

국내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개발 및 하부 작물 생육 특성 분석 및 고찰

  • Kim, Geun-Ho
    • Bulletin of the Korea Photovoltaic Society
    • /
    • v.6 no.2
    • /
    • pp.15-24
    • /
    • 2020
  • 영농형 태양광 발전은 농업과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동시 상생이 가능한 기술로 현재와 같은 농업 환경 및 생태계 개선 그리고 에너지 전환의 시대에 대처해야 하는 훌륭한 대안이다. 한국형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개발 및 보급을 위한 국내 첫 연구개발 사업인 농림축산식품부(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첨단생산기술개발사업)의 "한국형 태양광 이모작(농업&태양광 발전 병행) 스마트 영농 시스템 개발(과제번호: 1545015977)"과제를 통해 총 60kW급 규모의 5개소 실증단지(10kW급 3개소 신규 개발 및 구축)를 활용한 최적 시스템 개발, 6품종(벼 2품종, 감자, 배추, 마늘, 양파 및 배) 표준재배기술 도출 등을 수행하였다. 기존 태양광 발전용 모듈(72cell) 대비 half-size(36cell) 모듈 개발, 작물 별 최적 구조물(차광률 30% 미만 적용) 도출, 대상 작물 감수율 20% 미만 달성 및 표준재배기술개발을 수행하였다. 추후 장기간 동안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의 경제성 확보, 시공성 개선 그리고 다양한 작물 대상 표준재배기술 최적화 등의 실증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확산 및 보급을 위해 국가적 지원과 농민들의 적극적인 참여 없이는 불가능 하다. 그리고 본 개발 기술은 농업인을 위한 기술로 범국민적인 수용성 개선 또한 수반되어야 한다. 특히, 정부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대한민국의 식량안보와 에너지안보를 확보를 위해 농업진흥지역에 대한 최대 20년까지 타용도 일시전용이 가능하도록 농지법 개정으로 화답 할 때이다.

Smart Water Management for Rural Water District for the pilot operating (농촌수자원 Smart 물관리를 위한 시범지구 운영)

  • Kim, Jin-Taek;Oh, Seoung-Tae;La, Mi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44-444
    • /
    • 2012
  • 본 연구는 세계적인 기후변화와 물부족 현상에 따라 우리나라에도 향후 물부족에 대비한 농업용수의 친환경적인 적정 관리의 필요성이 절실해지고 있으며 친환경 녹색기술 개발과 농촌수자원의 체계적인 관리가 중요한 국가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농촌은 고령화와 인구감소로 인하여 농업기반 수리시설과 농업용수의 전통적인 인력관리가 어려워지고 있으므로 이를 혁신할 수 있는 친환경, 녹색기술, 정보통신기술(ICT) 융합으로 농촌수자원 관리기술의 개발하고 이에 농업용수를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농촌지역 수리시설과 농업용수 관리를 위해 정보통신기술과 센서네트워크 계측제어기술 및 모바일기술을 적용하여 농촌수자원 스마트 물관리를 위한 시범지구를 운영 하였다. 시범지구는 섬진강댐 수계의 동진도수로, 김제간선, 정읍간선으로 용수를 공급하는데 이중 수혜면적 17,600 ha, 수로연장 59 km의 김제간선에 시범지구로 선정하였다. 김제간선의 용수공급량은 년평균 163,748천톤의 공급하고 있다. 시범지구 운영은 5개년 중 1차년도(2011년)에는 현장시설 설치 총 87지점에서 15개소를 설치하였으며 시범지구의 영농 및 물관리 특성, 용수공급량 조사 분석하였으며 시범지구의 운영시스템 구축과 Smart 물관리 프로그램(Web, App)개발 하였다. 시범지구 운영은 한국농어촌공사 물관리분야 관련 신기술의 실용화를 위한 인큐베이트 역할을 하며 통합수자원관리시스템과 연계하여 체계적인 현장 물관리 기술의 보급과 공사의 대표적인 물관리 시범지구로 활용 및 사업 홍보 효과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PDF

Crop Recommendation Service based on Agriculture Environment Data (농업 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농작물 추천 서비스)

  • Bae, Jiwon;Lee, Sangwook;Lee, Sywan;Lee, Yeji;Choi, Jun Hyung;Cho, Pil Kuk;Gil, Joon-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193-195
    • /
    • 2021
  • 최근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농작물은 지구 온난화 등의 영향으로 점점 북상하고 있다. 이러한 농업 환경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농업 재배지의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현재 농업 재배지에 최적화된 농작물을 추천할 수 있는 농작물 추천 서비스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농작물 추천 서비스에 활용하기 위해 농업 환경 데이터의 모니터링과 농작물 데이터 관리 스마트팜 모형을 설계 및 구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