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마트농업 표준화

Search Result 3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rends and Prospects of Smart Farm Technology (스마트팜 기술동향 및 전망)

  • Kim, G.J.;Huh, J.D.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0 no.5
    • /
    • pp.1-10
    • /
    • 2015
  • 우리나라 농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스마트팜 기술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현재 스마트팜은 외산시스템 도입을 통해 선도농가를 중심으로 파프리카, 딸기, 토마토 등의 재배에 일부 적용되고 있고, 농림수산식품부는 시범사업을 통한 확산 의지를 피력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 실정은 스마트팜 주요 장비의 외산 의존에 따른 구조적 한계점(경제성 및 유지보수성 취약)에 봉착하고, 농가의 실질적 소득증가 기여도가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따라서 본고는 최근 국내외 스마트팜 기술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이를 기반으로 향후 발전방향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 스마트팜 주요 장비의 국산화 및 표준화, 가공 유통 외식 관광 레저 등 2/3차 산업 및 기상 물환경 등 타 산업과의 융복합을 통한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이 핵심사항으로 여겨진다.

  • PDF

Reference model Analysis for Smart Farming and Livestock Farming (스마트 농축산업을 위한 기준모델 분석)

  • Kim, Dong Il;Chung, Hee 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7.10a
    • /
    • pp.718-720
    • /
    • 2017
  • IT convergence with agriculture and livestock farming are expected to bring more efficiency and quality improvement in producing, distributing, consuming of agricultural products with the aid of information processing and autonomous control technologies of the IT area. In this paper, it is analyzed reference model and consider the actualized IT convergence case for agriculture and livestock, namely Smart Farming and Smart livestock Farming as a solution to cope the presented problems.

  • PDF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Strawberry Production in Machine Learning Infrastructure (머신러닝 기반 시설재배 딸기 생산량 예측 연구)

  • Oh, HanByeol;Lim, JongHyun;Yang, SeungWeon;Cho, YongYun;Shin, ChangSun
    • Smart Media Journal
    • /
    • v.11 no.5
    • /
    • pp.9-16
    • /
    • 2022
  • Recently, agricultural sites are automating into digital agricultural smart farms by applying technologies such as big data and Internet of Things (IoT). These smart farms aim to increase production and improve crop quality by measuring the environment of crops, investigating and processing data. Production prediction is an important study in smart farm digital agriculture, which is a high-tech agriculture, and it is necessary to analyze environmental data using big data and further standardized research to manage the quality of growth information data. In this paper, environmental and production data collected from smart farm strawberry farms were analyzed and studied. Based on regression analysis, crop production prediction models were analyzed using Ridge Regression, LightGBM, and XGBoost. Among the three models, the optimal model was XGBoost, and R2 showed 82.5 percent explanatory power.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positive fluid absorption and environmental data was confirmed, and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for the production prediction study.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reduction of sheep through the management of sheep by studying the amount of sheep absorption, such as information on the growing environment of crops and the ingredients of sheep.

Design of Initial Decision-Making Support Interface for Crop Facility Cultivation (작물 시설재배 초기 의사결정 지원 인터페이스 설계)

  • Kim, Kuk-Jong;Cho, Yong-Yoon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
    • v.8 no.2
    • /
    • pp.71-78
    • /
    • 2022
  • Recently, the number of people wishing to return to farming is increasing, However, the lack of farming experience and management information of returnees is one of the main reasons for increasing the probability of agricultural failure. This study proposes an interface to support early facility cultivation management decision-making for returnees who want facility cultivation. The proposed interface is designed with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and provides key decision-making information such as land/crop suitability, land/facility costs, and management costs according to input data such as cultivation areas, selected crops, and cultivation types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proposed interface, facility cultivators can effectively and quickly acquire initial decision-making information for facility cultivation in the desired target area.

Technology and Standardization Trends on Smart Agriculture (스마트농업 기술 및 표준화 동향)

  • Min, J.H.;Park, J.Y.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3 no.2
    • /
    • pp.77-85
    • /
    • 2018
  • At present, agriculture in Korea is experiencing difficulties, such as a stagnation in farm income, an increase in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a decrease in arable land, a decrease in the self-sufficiency rate of grain, a decrease in rural population, and aging. To solve these problems and vitalize the rural economy, our government is promoting its 6th industrialization policy, which links agriculture with primary industry, secondary, industry and tertiary industry, and as well as smart agriculture bas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mart agriculture is an agriculture form u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rural areas through making greater efficiency and intelligence by applying ICT convergence technology to the whole entire process of agricultural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in the areas of outdoor agriculture, facility horticulture, and livestock. Therefore,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policy, technology, and standardization trends of domestic and foreign smart agriculture, and suggest ways to apply them to domestic smart agriculture during the in the introduction stage.

Analysis of Water Distribution Network using Digital Data in Agricultural Watershed (농업용수 디지털 정보를 활용한 용수공급 네트워크 분석)

  • Shin, Ji-Hyeon;Nam, Won-Ho;Yoon, Dong-Hyun;Yang, Mi-Hye;Jung, In-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510-511
    • /
    • 2022
  • 물관리기본법의 시행 및 제1차 국가물관리기본계획의 이행에 따라 물관리 자료의 정보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과거 농업용수관리는 기초자료의 오류, 계측데이터의 부족 등이 한계점으로 지적되었으며, 과학화·표준화된 농업용수 물수급 분석 체계 구축 및 물정보의 정확성이 요구된다. 최근 통합물관리 국가정책 대응을 위한 물수급 분석 기반 마련을 목적으로 한국농어촌공사에서는 농업용수 용 배수 계통 정밀조사, 공간자료 재구축 등을 통한 농업용수 디지털 정보체계 구축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속수치지형도 및 토지피복, 스마트팜맵 등의 디지털 공간자료를 수집하고 현장조사와 영농조사를 바탕으로 최신화된 용배수계통도, 수혜면적 자료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화한 용배수계통도를 이용하여 수리해석 모델 기초자료를 구축하고, 들녘단위 (주·보조수원, 저수지 및 양수장 등) 용수계통도 구현함으로써 수원공별 용수공급 네트워크를 분석하고자 한다. 농업용수 공급체계 반영이 가능한 EPA-SWMM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Storm Water Management Model)을 활용하여 다양한 물공급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최적의 물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안성시 고삼저수지를 대상으로 연속수치지형도, 농경지전자지도, 고해상도 DEM 등을 활용한 디지털 조사와 수로 표고, 길이 및 너비 등 현장조사를 수행하였으며, 현장 물관리 방안을 적용하여 물분배 모의가 가능한 EPA-SWMM 기반 수원공-용수로-수혜구역을 연결하는 용수공급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농촌용수종합정보시스템 (Rural Agricultural Water Resource Information System, RAWRIS)에서 제공하는 계측 자료를 활용하여 관개기간의 강수량, 소비수량, 증발산량, 공급량 등을 적용하여 농업용수 공급량, 배분량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물관리 담당자에게 상세한 현행 용수공급량 및 용수공급체계 정보 제공과 향후 국가물관리기본계획, 농어촌용수이용합리화계획의 물수급 분석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ervice Model Standardization of Risk Mitigation on Livestock Pandemic based on Network (네트워크 기반에서 가축 유행병 위기 완화 서비스 모델 표준화)

  • Kim, Dong Il;Chung, Hee 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2.05a
    • /
    • pp.450-452
    • /
    • 2022
  • In this paper, we present a standard model of livestock epidemic service in the field of smart livestock, which is emerging as an important issue in smart agriculture. By using the network to identify the global livestock epidemic disease risk and provide relevant models to service user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actually provide economic benefits to livestock owners and ultimately help the national livestock industry economy. In order to apply the standard livestock epidemic service standard model and the livestock infectious disease crisis mitigation standard model sharing method that is presented in conjunction with ICT to the standards i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agricultural and livestock industries in the future, continuous research will be carried out.

  • PDF

Service Model Standardization of Risk Mitigation on Livestock Pandemic based on Network (네트워크 기반에서 가축 유행병 위기 완화를 위한 개념 모델 표준화)

  • Kim, Dong Il;Chung, Hee 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2.10a
    • /
    • pp.12-14
    • /
    • 2022
  • In this paper, we present a standard conceptual model of livestock epidemic service in the field of smart livestock, which is emerging as an important issue in smart agriculture. By using the network to identify the global livestock epidemic disease risk and provide relevant models to service user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actually provide economic benefits to livestock owners and ultimately help the national livestock industry economy. In order to apply the standard livestock epidemic service standard model and the livestock infectious disease crisis mitigation standard model sharing method that is presented in conjunction with ICT to the standards i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agricultural and livestock industries in the future, continuous research will be carried out.

  • PDF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and Smart Water Management (지속가능한 도시재생과 스마트 물 관리)

  • Lee, Yoo Kyung;Lee, Seu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86-86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의 도시재생과 스마트 물 관리의 정책 분석을 위하여 도시재생과 스마트 물 관리의 등장 배경, 주요 현안 및 연계성을 모색하고 도시재생방안으로서 스마트 물 관리체계의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50년대의 도시재건(Urban Reconstruction)과 1970~80년대의 도시재개발(Urban Renewal, Urban Redevelopment) 등의 정비 사업은 물리적 환경정비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1990년대 환경문제가 세계적 이슈로 등장하면서 교외지역 난개발 문제에 대한 대응책이 필요하게 되었고 도시의 물리 환경적, 산업 경제적, 사회 문화적 측면을 부흥시키는 도시재생 접근법이 출현하였다. 한국 정부는 2017년부터 시작한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일환으로 스마트 기술을 적용한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스마트도시 선도국가 도약과 세계적 흐름에 부합하는 도시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1980년대 초 등장한 스마트 기술은 2000년대 들어와 스마트 도시, 스마트 인프라, 스마트 그리드 등의 분야로 확대, 진보하였다. 물 분야의 스마트 기술은 2009년 스마트워터그리드 이니셔티브(Smart Water Grid Initiative)의 발족과 함께 IBM, CISCO, Intel 등의 IT 기반 물 관리 워킹그룹 형성, Suez, Veolia, Siemens 등 수처리 기업의 스마트워터그리드 분야 진출 모색과 함께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2012년 유엔 스마트 물 관리 포커스 그룹(ITU-T SG 5)의 스마트 물 관리 표준화 연구가 착수되었고 한국은 국토교통부 건설교통기술 연구 개발사업 중 하나로 스마트 물 관리 장기 연구 사업을 시작하였다. 스마트 물 관리는 수자원 및 상하수도 관리의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스마트 미터, 센서, 디지털지도제작 등 ICT를 이용한 차세대 물 관리시스템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인 대상 분야를 고려한다면 하천수, 우수, 지하수, 하폐수처리수, 해수담수 등 다양한 수자원의 관리, 물의 생산과 수송, 사용한 물의 처리 및 재이용 등 물 관리 전 분야를 포함한다. 그러나 스마트 물 관리의 용어와 개념을 처음으로 도입한 미국 등 선진국과 관련기업들은 스마트 물 관리를 '스마트 워터 미터, 센서, 첨단 모델링, 수문 지도제작, 스마트 관개농업, 자동화 로봇 등 다양한 기술을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지능적인 수자원 관리를 위한 정보네트워크'로 정의한다. 일찍이 도시재생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실시한 영국 및 일본과 달리 한국의 도시재생은 개념, 구성요소, 범위, 사업방식 등의 여러 가지 측면에서 아직 형성단계에 있다. 또한 한국의 스마트 물 관리 논의는 개념정립 측면에서 심층적 논의가 거의 부재하였다. 기존의 논의들은 수자원 혹은 상하수도서비스 분야에서의 연구결과와 기술개발성과를 기계적으로 적용하고 확대하는 측면만을 부각시켰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마트 물 관리에 대한 논의는 정보통신기술과 물 관리 서비스를 단편적으로 연결하고 적용범위를 제한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한계성이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문헌검토를 바탕으로 한국의 도시재생과 스마트 물 관리의 정책을 분석하고 지금까지 별개로 간주된 두 개념의 장점을 융합하여 향후 지속가능한 도시개발 사업으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Study on the Next Disaster Safety Communication Network in M2M Communication (사물지능통신을 이용한 차세대 재난안전통신망에 관한 연구)

  • Kang, Heau-Jo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15 no.4
    • /
    • pp.585-590
    • /
    • 2011
  • In the past few years, M2M (Machine-to-Machine) applications have become a hot topic in the wireless industry. While M2M applications can be used for many purposes (smart homes, smart metering/electricity meter reading, fleet management, mobile workforce, automobile insurance, vending machines, etc), and in many sectors (healthcare, agriculture, commercial, industrial, retail, utility, etc.), smart metering applications or smart grids present the biggest growth potential in the M2M market today. M2M platform is the future ubiquitous network technologies which provide the integrated service with the networks and devices. The promising technologies to tackle these problems are the Semantic technologies, for interoperability, and the Agent technologies for management of complex systems. In this paper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ique based on the disaster prevention system's for the M2M, concepts and its requirement technology and application are stud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