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숭어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31초

사육수의 pH변화가 숭어(Mugil cephalus)에 미치는 생리적 영향 (Physiological Responses of Gray Mullet Mugil cephalus to Low-pH Water)

  • 문혜나;박진희;박천만;남궁진;김기혁;여인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53-159
    • /
    • 2017
  • We examined changes in the physiological responses of gray mullet Mugil cephalus exposed to acidic seawater (pH 6.0, 6.5, 7.0) and normal seawater (pH 8.0, control) for 15 days. As pH decreased, survival rate and body weight also decreased. Levels of aminotransferase, total protein and triglycerides also differed significantly with changes in pH, presumably due to stress caused by exposure to acidic water. The level of osmotic pressu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H 6.0 group than in other groups. Superoxide dismutas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H 6.5 and 7.0 groups than in the pH 8.0 group, and glutathione level was lowest in the pH 6.0 group. We conclude that decreasing the pH level of seawater induces a stress response in fish, damaging their ability to control their hematological and osmotic pressure. Antioxidant enzymes are generally sensitive to osmotic stress; in this study, antioxidant activity significantly changed with pH leve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hysiological stress induced by exposure to acidification reduces survival rates and inhibits growth in M. cephalus.

마산만 해역에서 서식하는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출현량 변동 (Tempor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 Assemblages in Masan Bay)

  • 곽성남;허성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2-141
    • /
    • 2007
  • 마산만 해역에서 유자망을 이용하여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출현량 변동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27종이 출현하였으며, 우점종은 전어(Konosirus punctatus), 숭어(Mugil cephalus), 멸치 (Engraulis japonicus), 샛돔 (Psenopsis anomala), 농어 (Lateolabrax japonicus), 주둥치(Leiognathus nuchalis), 등줄숭어(Chelon affinis), 전갱이(Trachurus japonicus)였는데, 이들 어종은 전체 개체수의 87.6%와 총 생체량의 95.4%를 차지하였다.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출현량 변동이 뚜렷하였는데, 출현 개체수는 2005년 3월과 7월, 생체량은 2005년 9월과 11월에 높게 나타났다. 한편 출현개체수 및 생체량은 모두 2005년 11월에 가장 낮게 나타났다. 수온이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출현량 변동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 유자망은 어획대상 어종이나 어획 체장에 강한 선택성을 가지고 있었지만, 상업성어종의 채집에 효율적이었다.

고리 주변해역 삼각망에서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 Assemblages Collected by a Three-side Fyke Net in the Coastal Waters off Gori, Korea)

  • 백근욱;허성회;박세창;김지형;박주면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86-194
    • /
    • 2010
  • 2006년 1월에서 12월까지 매월 삼각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의 계절변동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35과에 속하는 59종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대부분 부 어류로 전갱이 (Trachurus japonicus), 숭어 (Mugil cephalus), 전어 (Konosirus punctatus), 열동가리돔 (Apogon lineatus), 성대 (Chelidonichthys spinosus), 망상어 (Ditrema temmincki),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그리고 줄도화돔 (Apogon semilineatus)이었는데, 이들 8종은 전체 채집 개체수의 92.7%를 차지하였다. 본 조사해역의 채집된 어류는 뚜렷한 계절 변동을 보였는데 개체수는 12월, 생체량은 3월에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수온이 낮은 겨울철에 개체수와 생체량이 모두 낮은 값을 보였다. 종다양도지수는 12월에 다른 계절에 비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Response Surface Methodology를 이용한 숭어(Mugil cephalus) 반염건품의 개발 (Development of Salted Semi-dried Common Gray Mullet Mugil cephalu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박권현;허민수;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839-848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the optimal salting drying method and processing conditions (salt concentration, curing time, dry temperature, and drying time) for preparing salted semi-dried common gray mullet (SSD-CGM) Mugil cephalus based on the moisture content, salinity, and overall acceptance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The moisture content, salinity, and overall acceptance of SSD-CGM prepared with different salting methods revealed that dry salting was the optimal salting method for preparing high-quality SSD-CGM. The optimal drying method for preparing high-quality SSD-CGM based on the drying velocity and sensory color was hot air-blast drying. The results of the RSM program indicated that the optimal independent variables ($X_1$, salt concentration; $X_2$, curing time; $X_3$, dry temperature; $X_4$, drying time) based on the dependent variables ($Y_1$, moisture content; $Y_2$, salinity; $Y_3$, overall acceptance) for high-quality SSD-CGM were 5.6% for $X_1$, 2.7 h for $X_2$, $47.0^{\circ}C$ for $X_3$, and 8.5 h for $X_4$ for uncoded values. The predicted values of $Y_1$, $Y_2$, and $Y_3$ for SSD-CGM prepared under optimal conditions were 54.4%, 4.2%, and 6.3, respectively, while the experimental values were $55.2{\pm}1.0%$, $4.1{\pm}0.3%$ and $6.7{\pm}0.8$. The actual and predicted values did not differ.

여수 연안 승망 어장의 환경요인과 어획변동에 관한 연구(I) -수온.염분과 어획량과의 관계 - (A Study on the Assembling Factors and Catch Fluctuation of Fyke Net Grounds in the Coastal Waters of Yosu(I) -Relation between Catch Fluctuation of Common Mullet, Mugil Cephalus and Temperature and Salinity -)

  • 김동수;주찬순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7권2호
    • /
    • pp.71-77
    • /
    • 2001
  • 여수 연안 승망 어장의 주변 해역을 중심으로 조사한 해양 관측 자료와 현지에 조사한 어획량 등을 이용하여 여수 연안 승망 어장의 환경특성과 어획량 변동과의 관계를 분석 정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승망 어장에서의 수온의 분포범위는 13.0-$25.^0\circ$C이고, 4월부터 상승하기 시작하여 8월에 최고 수온 $25.^0\circ$C을 나타내다가 9월부터 하강하기 시작했다. 2) 어장에서의 염분의 분포범위는 28.6-33.8$\textperthousand$이고, 4월과 5월에는 32.0$\textperthousand$이상의 염분수가 분포하며, 6월부터 하강하기 시작하여 8월에는 최저염분 28.6$\textperthousand$를 나타내다가 9월부터 다시 상승하기 시작한다. 3) 여수 연안 승망에 어획되는 주어종인 숭어의 어획량은 5월에 최대 어획을 나타내고 6월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여 11월에는 최소 어획을 나타냈다. 수온이 높아지기 시작한 시기인 5월의 수온이 15.0-16$25.^0\circ$C에서, 저염보다 고염분인 32.6-33.8$\textperthousand$에서 어획이 양호하게 이루어졌다.

  • PDF

식용어류(食用魚類) 분류(分類)를 위(爲)한 어육단백(魚肉蛋白)의 전기영동상(電氣泳動像) 연구(硏究) (제 1 보(第 1 報)) (Studies of Disc-electrophoretic Patterns of Fish Muscle Protein for Species Identification of Edible Fish (I))

  • 최흥민;한양일;이정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30-33
    • /
    • 1970
  • 각종(各種) 어류(魚類)의 가열(加熱)된 어육단백(魚肉蛋白)을 acrylamide gel을 사용(使用)하여 전기영동(電氣泳動)한 결과(結果)로 나타나는 분획상(分劃像)의 특이성(特異性)으로서 어류품종(魚類品種)을 분류(分類)할 수 있었다. 즉 숭어 대구 삼치 고등어 참조기 방어 갈치 금태 아지 병어의 특징있는 전기영동분획상(電氣泳動分劃像) 10 개(個)를 만들었다. 이로써 acrylamide gel 을 이용(利用)한 disc-전기영동(電氣泳動)을 통하여 조리(調理)된 어육제품(魚肉製品) 소편(小片)으로 그 어류품종(魚類品種)을 감별(鑑別)해 낼 수 있는 표준(標準)이 확실(確實)하게 되었다. 그러나 아직 본(本) 실험결과(實驗結果)를 통조림된 어육(魚肉)에는 적용(適用)할 수가 없다.

  • PDF

한국연안의 호염성 비브리오균에 관한 연구 3. 부산시 해수욕장의 호염성 비브리오균의 분포 (Vibrio parahaemolyticus IN KOREAN COASTAL WATERS 3. The Ditribution of Vibrio Flora in the Public Beach of Busan City)

  • 이원재;최위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6권1_2호
    • /
    • pp.20-26
    • /
    • 1973
  • 호염성 비브리오균의 계절별 분포를 알고 식중독 구명자료를 얻고자 해운대, 수영, 광안리, 용호, 송도, 다대포에서 해수, 이토, 어패류 198 시료를 수집하여 이들 시료에서 분리된 세균에 관하여 몇 가지 견해를 얻었기에 보고한다. 1. 계절별 분포율을 보면 V. parahaemolyticus는 5월부터 11월까지 분포하고 8월부터 9월까지 높은 분포를 모였으며, V. alginelyticus는 4 계절 분포를 나타내었다. 2. 시료별 분포율은 해수 40 시료에서 40균주, 이토 40 시료에서 25균주, 맛조개 48 시료에서 10 균주, 진주담치 40 시료에서 2 균주, 전어 10 시료에서 1 균주, 숭어 10 시료에서 1 균주가 분리되었다. 3. 해역별 분리율은 해운대 20 시료 중 4 균주, 수영에서 25 시료 중 19 균주, 광안리 26 시료중 3균주, 용호만 35 시료 중 29균주, 송도 29 시료 중 6균주, 다대포 63시료중 19균주로서, 용호만과 수영만에서 높은 분포를 보였다. 4. 분리된 총균주수는 80 균주였는데 V. parahaemolyticus가 20 균주, V. alginelyticus 60 균주였다.

  • PDF

가덕도 주변 해역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 -2. 삼각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Fish Assemblage in the Coastal Water off Gadeok-do, Korea -2. Fishes Collected by Three Sides Fyke Nets-)

  • 허성회;안용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66-379
    • /
    • 2002
  • 가덕도 주변 해역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1998년 1월부터 12월까지 삼각망을 이용하여 어류를 매월 소조기에 채집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는 69과 136종이었다. 전갱이 (Trachums japonicus), 전어 (Konosirus pu-nctatus), 숭어 (Mugil cephalus)가 우점하였는데, 이들 어종이 전체 채집 개체수와 생체량의 $63.7\%$$83.1\%$를 차지하였다 그밖에도 주둥치 (Leiognathus nuchalis), 복섬 (Takifugu niphobles), 고등어 (Scomber japonicus), 갈치 ( Trichiurus leptrus), 등줄숭어 (Chelon afnnis), 열동가리돔 (Apogon lineatus), 수조기 (NibeaalbiHora),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등이 비교적 많이 채집되었다 채집 종수는 여름에 많았고 겨울에 적었다. 채집량은 봄에 높은 값을 보였으며, 겨울에 낮은 값을 보였다. 종다양도지수는 다른 계절에 비해 봄에 낮은 값을 보였다.

남해도 연안해역에서 서식하는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 Assemblage in the Coastal Water off Namhae Island)

  • 곽석남;허성회;김하원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03-312
    • /
    • 2008
  • 남해도 연안해역에서 이각망을 이용하여 어류군집의 계절에 따른 종조성 및 출현량 변동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89종이 출현하였으며, 우점종은 전어(Konosirus punctatus), 숭어(Mugil cephalus), 농어(Lateolabrax japonicus),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 볼락(Sebastes inermis), 동갈민어(Nibea mitsukurii), 청어(Clupea pallassi), 덕대(Pampus echinogaster),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 문치가자미(Limanda yokohamae)였는데, 이들 어종은 전체 개체수의 61.6%와 총 생체량의 80.3%를 차지하였다. 어류 종조성 및 출현량은 계절 변동이 뚜렷하였는데, 출현 개체수 및 생체량은 4월, 5월 및 9월에 높았으며, 1월에 가장 낮았다. 수온 및 이와 관련된 요인이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출현량 변동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 이각망은 연안해역을 이용하는 다양한 크기의 부어성 어류를 어획하는 데 유용한 어구였으며, 특히 상업성 어종의 어획에 효율적이었다.

경남 고성지역의 소하천 어류상 (Ichthyofauna of Stream on Goseong in Gyeongsangnam-do, Korea)

  • 김준섭;안순모;곽우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22-330
    • /
    • 2014
  • 2011년 9월부터 2012년 8월까지 경상남도 고성에 있는 4개 하천의 환경 특성을 파악하고, 각 하천의 어류상과 어류군집을 조사하였다. 채집된 어류는 고성천 17종, 마암천 18종, 구만천 20종, 배둔천 15종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집괴 분석 결과 해수 영향 유무에 따라 A 그룹은 구만천, 마암천, B 그룹은 고성천, 배둔천의 2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A 그룹에는 민물검정망둑(Tridentiger brevispinis), 날망둑(Gymnogobius castaneus), 숭어(Mugli cephalus), 문절망둑(Acanthogobius flavimanus)과 같은 주연성 어류들이 출현하였지만, B 그룹은 출현하지 않거나 소수만 출현하였다. 반면에 B 그룹에 출현한 참붕어 (Pseudorasbora parva), 긴몰개 (Squalidus gracilis majimae), 참갈겨니 (Zacco koreanus)와 같은 1차 담수 어류들은 A 그룹에 소수만 출현하였다. A 그룹의 하천은 하구둑이 없어서 담수와 해수 유통이 원활한 자연적인 하류지역이며, B 그룹은 하구둑이나 수중보에 의해 담수와 해수의 소통에 영향을 받는 곳이다. 결과적으로 하구둑과 수중보와 같은 인위적인 요인에 의한 담수와 해수 흐름의 변화가 고성인근 하천의 어류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