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순 에너지

Search Result 768,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고유가정책과 석유산업

  • 신의순
    • 석유와에너지
    • /
    • 5호통권195호
    • /
    • pp.4-7
    • /
    • 1997
  • 교통세 인상은 정유업계의 수익성 개선이나 경쟁력 강화와는 관계없고 오히려 정유사들이 유가인상의 주도자로 인식되어 국민 불만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 PDF

중동사태와 우리경제의 대응방안

  • 신의순
    • 석유와에너지
    • /
    • 9호통권115호
    • /
    • pp.81-86
    • /
    • 1990
  • 이 자료는 지난 8월 31일 쉐라톤 워커힐 호텔에서 열린 한국자원경제학회 세미나에서 발표된 논문을 전재한 것이다. <편집자 주>

  • PDF

시설채소 생산시스템의 순 에너지 분석 (Net Energy Analysis for Protected Vegetable Production System)

  • 홍지형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5-64
    • /
    • 1995
  • This paper presents analytic results of energy sequestered for the forcing cultural Cu- cumber and the others production system with the input-output tables method in the suthern parts of Korea. In this study an attempt is made to evaluate input of direct and indirect energy, output of yield energy and net energy in order to achieve increased energy productivity under P E greenhouse. Cultural practices were grouped soil and soilless with perlite for vegetable product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otal energy inputs in cucumber production were calculated to be 510 GJ/l0a(di- rect energy : 480 GJ/lOa, indirect energy : 30 GJ/lOa) from soil culture and 440 GJ/ 10a(direct energy : 420 GJ/lOa, indirect energy : 20 GJ/lOa) from soilless culture in perlite hydroponics. 2. Energy outputs from cucumber and biomass were 7 GJ/lOa and 120 GJ/lOa at a uniform rate respectively. 3. Heating fuel as diesel is a major energy inputs approaching 90% of the total energy requirements for cucumber production. 4. Net energy in cucumber production was calculated to be 503 GJ/lOa from soil cul- ture and 431 GJ/lOa from soilless culture. Net energy productivity was maintained costantly as 0.98. 5. Energy productivity in cucumber was calculated to be 0.029 kg/MJ from soil culture and 0.043kg/MJ from soilless culture, while energy efficiency was 0.012 and 0.015 respectively. It is expected that a soilless cultural production system seems to be reduc- tive in seguestered energy input by 13%.

  • PDF

대기복사식을 이용한 남한지역 순 장파복사량의 추정 (Estimation of Net Longwave Radiation in South Korea using Stefan Boltzmann Equation)

  • 김현우;황교택;최민하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219-219
    • /
    • 2011
  • 순 장파복사량은 지표면으로 입사되는 하강 장파복사량(Downward Longwave Radiation, $R_{ld}$)과 지표면에서 반사되는 상승 장파복사량(Upward Longwave Radiation, $R_{lu}$)의 차이로 정의되는데 이는 에너지 수지 및 농업기상 연구의 중요한 주제 중 하나로서 다루어져 온 순복사량의 중요한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R_{lu}$의 경우 지표면 온도와 방사율(emissivity)를 이용하여 산출되므로 정확히 추정이 가능하나, $R_{ld}$의 경우 대기 최상층에서 관측되는 방사량과 지표면 근처의 방사량을 함께 고려해야 하므로 실측이 어렵다. $R_{ld}$는 야간 복사계(pyrgeometer)를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지만 관측기기 자체가 구비되어있는 관측소가 적어 매우 드물게 이용된다. 또한 단파 복사 에너지 측정 기기에 비해 비용이 많이들고 종종 관측값이 큰 오차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실무에 적용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따라서 기상 관측소에서 얻어지는 증기압과 온도 관측치를 물리식, 경험식 등에 적용하여 산정하게 된다. 현재는 $R_{ld}$의 추정은 관측된 방사량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경험식을 기반으로 지표면 근처의 대기 온도와 습도를 이용하여 산출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증발산 산정 알고리즘 개발의 시발점으로써 $R_{ld}$를 먼저 구하고 $R_{lu}$를 구하였다. 신뢰성 높은 방법을 이용하여 $R_{ld}$를 구하게 되면 정확도 높은 $R_N$을 구하는 데 기여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보다 정확한 증발산을 산정할 수 있게 된다. $R_{ld}$는 일반적으로 clear sky 조건 하에서의 복사 에너지 플럭스($R_{ldc}$)를 구한 후 구름의 양에 따라 보정한다. 하강 장파복사량의 경우 널리 사용되는 공식 중 하나인 Brutsaert의 공식을 사용하였다. 광릉, 해남에 위치한 플럭스 타워지점에서 실측된 기온과 실제 수증기압을 입력인자로 사용하여 지점별 $R_{ldc}$를 먼저 구하고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MODIS) 영상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한 뒤 최종적으로 남한지역을 대상으로 순 장파복사량 지도를 작성하였다. 이를 위해 MODIS 07 대기 프로파일 산출물(Atmospheric Profile Product)중 기온 및 이슬점온도를 추출하여 산정식의 입력자료로서 사용하였다. 상승 장파복사량의 경우 MODIS 11 지표면 온도 산출물(Land Surface Temperature product)를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이는 남한 지역의 증발산량 추정 및 에너지 수지 연구를 위한 중요한 기본 자료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Bloom의 신 교육목표 분류학에 의한 초등 과학 영재교육 자료의 수업목표 사례 분석 (Analysi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in a Teaching-Learning Material for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Science by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 하소현;곽대오
    • 영재교육연구
    • /
    • 제18권3호
    • /
    • pp.591-612
    • /
    • 2008
  • 본 연구에서 K 초등 과학 영재교육 자료에 제시된 수업목표를 Bloom의 신 교육목표 분류학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시된 수업목표는 13개 주제에 총 217개였고 영역별로는 에너지 27개, 물질 68개, 생명 52개, 지구 70개였다. 지식차원에서는 개념적 지식에 해당하는 수업목표가 가장 많았고 절차적 지식, 메타인지 지식, 사실적 지식 순으로 나타났다. 인지과정 차원에서는 '이해하다'에 해당하는 수업목표가 가장 많았으며 '적용하다', '창안하다', '분석하다'와 '평가하다' 순이었고 '기억하다'는 매우 적었다. 수업목표를 에너지, 물질, 생명, 지구의 네 영역으로 나누어 분류한 결과 지식 차원에서는 에너지, 물질, 지구 분야의 경우 개념적 지식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절차적 지식, 메타인지 지식, 사실적 지식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생명 분야는 절차적 지식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다음으로 메타인지 지식, 개념적 지식, 사실적 지식 순으로 나타났다. 인지과정 차원에서는 네 영역 모두 '이해하다'에 해당하는 수업목표가 가장 많았는데 그 비율은 지구 영역에서 가장 높았으며 물질, 에너지, 생명 순으로 나타났다. '기억하다' 범주에 해당하는 수업목표는 네 영역 모두에서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K 초등 과학 영재교육 자료의 수업목표는 복잡한 지적 조작을 요구하는 상위 수준의 사고 기능을 기르는 데 목표를 두고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