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순화어

Search Result 1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Research to establish a road map for the standardization in military and commercial terminology (민·군규격용어 표준화를 위한 로드맵 구축 연구)

  • Park, jeong-ho;Choi, young-ho;Im, ik-soon;Jang, hyo-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51-252
    • /
    • 2015
  • 본 연구는 국방규격서의 전문어, 오용어, 어문규정 및 순화어 미(未)준수 어휘를 추출, 정의 또는 순화어로 정제하는 맵핑구조를 제시, 민 군규격용어 표준화를 위한 정보업무 로드맵을 구축하여 민간용어와의 호환성 및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지원체계를 연구하였다. 대상 규격용어는 KS용어표준 원칙을 기본으로 한 신뢰도 평가와 텍스트 마이닝 (text mining)빈도분석을 이용하여 선정하였으며, 시소러스(thesaurus) 체계를 삽입, 개념기반 서비스의 확장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산출된 규격용어 DB는 민간 및 국방 관련분야의 용어표준관리 정보체계에 검색 및 용어설명에 활용될 수 있다.

  • PDF

<2>인쇄매체에 잘못 표기되는 외래어 언제까지 이대로 둘것인가

  • Park, Do-Yeong
    • 프린팅코리아
    • /
    • s.24
    • /
    • pp.106-109
    • /
    • 2004
  • 인쇄관련 언론매체를 보면 놀랍게도 일본어로 표기된 단어를 많이 발견할 수 있다. 하리꼬미, 베다, 고마, 돔보, 도지, 구와에, 돈땡, 모루동, 후렉소, 아지로, 도무송, 싸바리, 단보루 등이 대표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필자는 자신들의 영역에서 외래어를 순화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을 보면서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 또한 일본어를 음역하여 견당, 습수, 정합, 노광, 타발, 사양, 중철, 소부, 돗판, 매엽, 하지, 상지 등 우리말에도 없는 것을 계속 사용하고 있는 것은 가슴아픈 일이다. 뿐만 아니라 영문 발음과 한글 표기가 정확하지 않은 것도 많다. 이에 시급히 바꾸어야 할 용어를 정리해 본다. 용어의 나열은 가 나 다 순으로 하되 먼저 잘못 표기된 용어를 적고 이어서 시정 또는 권장 용어를 나타내었다. 이해하기 어려운 것은 내용 설명을 덧붙였다.

  • PDF

<3>인쇄매체에 잘못 표기되는 외래어 언제까지 이대로 둘것인가

  • Park, Do-Yeong
    • 프린팅코리아
    • /
    • s.25
    • /
    • pp.126-130
    • /
    • 2004
  • 인쇄관련 언론매체를 보면 놀랍게도 일본어로 표기된 단어를 많이 발견할 수 있다. 하리꼬미, 베다, 고마, 돔보, 도지, 구와에, 돈땡, 모루동, 후렉소, 아지로, 도무송, 싸바리, 단보루 등이 대표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필자는 자신들의 영역에서 외래어를 순화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을 보면서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 또한 일본어를 음역하여 견당, 습수, 정합, 노광, 타발, 사양, 중철, 소부, 돗판, 매엽, 하지, 상지 등 우리말에도 없는 것을 계속 사용하고 있는 것은 가슴아픈 일이다. 뿐만 아니라 영문 발음과 한글 표기가 정확하지 않은 것도 많다. 이에 시급히 바꾸어야 할 용어를 정리해 본다.

  • PDF

Analysis on Research Trends and Proposal for Standardization of Construction & Architectural Terms in Korea (국내 건설·건축용어 연구의 동향 분석 및 표준화 제안)

  • Park, Eunha;Jeon, Jinw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5
    • /
    • pp.620-629
    • /
    • 2015
  • As the construction industry becomes bigger and more complicated, standardization of terms should be established between academic and industrial fields in order to accumulate and share information technolog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research trends and actual usage of construction and architectural terms in Korea.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research related to construction and architectural terms by searching RISS up to August 2014. We also analyzed document types and contents of research by year. As a result, 130 research studies related to construction and architectural terms were searched. Of document types, glossary ranks the highest, followed by academic journal papers, master's theses and research reports. Research related to construction and architectural terms began in 1939, and was actively studied between the mid-1980s to the mid-1990s. Within the research, list and opinion of related construction and architectural terms are found the most frequently, followed by standardization, analysis, alteration, dictionary and wordbook, and search system of terms. Despite these efforts and research, standardization of terms has not yet been consolidated between academic and industrial fields. Therefor, we suggest six proposals in order to standardize the terms. This study is an attempt to see the trends and conditions of construction and architectural terms and to provide base-line data and an insight for future research.

A discussion on suitability of registering term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and using term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in Korea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의 용어 등재와 수학 교과서에서의 용어 사용의 적합성에 관한 논의)

  • Park, Kyo-Sik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1 no.4
    • /
    • pp.361-378
    • /
    • 2011
  • Since textbooks a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curriculum, it might be said that the terms registered in curriculum can serve as guidelines for terms used in textbooks. But it really is not. In this study, so that terms registered in curriculum can serve as guidelines for terms used in textbooks, inconsistencies between them would be found out and improved. To this end, suitability of selecting and using terms are discussed, focusing on terms registered in curriculum and terms used in textbooks. In fac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erms registered in curriculum and the terms in textbooks, because there is not any criteria in selecting and using terms. In this study the five criteria with respect to registering terms in curriculum are proposed. Everyday language should not be registered. Naturalized terms should not be registered. Terms used in only elementary mathematics, but are already well-established should be registered. Same term used in diverse context should be registered only once. Terms which can be used without definition should be designated. Three criteria in regard to using terms in textbooks are proposed. Terms registered in curriculum must be used. Same term used in diverse context should be redefined in every context. Terms that are not certified and are not absolutely necessary must not be used.

  • PDF

A Study on the Formant Analysis of Korean Monophthongs and their Resonance Effect in Vocal Tract (한글 단모음의 포만트 분석과 성도내의 공명효과에 관한 연구)

  • Sin, Hyeon-Jae;Yun, Seok-Wang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6 no.2
    • /
    • pp.30-37
    • /
    • 1987
  • Twelve Korean monophthongs were studied by formant analysis, fundamental frequencies and their harmonics were considered as the parameters of analysis. The analyzed data were twelve Korean monophthongs which were pronounced with the five fundamental frequencies by the five male vocal musicians. The study shows that the first and the second formants are characterized by the resonance of the cavities of pharymx and mouth, respectively. The lip rounding effect detreases the second formant frequency. The phonemes of $[a]/[\alpha ], [e]/[\varepsilon] and [\partial]/[\Lambda]$were not distinguished well in this formant analysis.

  • PDF

A Critical Analysis on Definitions of Biyoul and Value of Bi in Elementary Mathematics in Korea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에서의 비율 정의와 비의 값 정의의 비판적 분석)

  • Park, Kyo-Sik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0 no.3
    • /
    • pp.397-411
    • /
    • 2010
  • In this paper, definitions of biyoul and value of bi in elementary mathematics in Korea are critically analysed. And identity of halpunri is reviewed. Regarding biyoul, it is suggested that the use of term 'biyoul' is restricted to such cases when the quantity to be compared and the quantity to be a base have same measuring unit, without consider ing biyoul in terms of two numbers. it is suggested to use "the number which express how many times the quantity to be compared is contained by the quantity to be a base is called biyoul." as a definition of biyoul. It is suggested to use "value of bi A : B is A/B" as a definition of value of bi. Halpunri is a variation of halbunri, which is coined by putting hal, pun, and ri together in purpose of using in school mathematics. The tem1 corresponding halpunri is 'bohap', however, in this paper it is suggested to use halpunri after defining it instead of using bohap. In that halpunri is an acclimatized term of bohap, and considered as a biyoul not as a way to indicate biyoul, it is suggested to use "biyoul when the quantity to be a base is considered 10." as a definition of halpunri. It is suggested to see hal, pun, and ri are units for halpunri, and call decimal 0.1 expressing biyoul 1 hal, decimal 0.01 expressing biyoul 1 pun, decimal 0.001 expressing biyoul 1 ri respectively.

  • PDF

Effects of Supplemented Salt in the Diet on Survival, Growth and Body Fluid Composition of Juvenile Grey Mullet (Mugil cephalus) Reared in Freshwater (어린 숭어(Mugil cephalus)의 담수사육에서 염분흡착 사료가 성장, 생존율 및 체액의 조성에 미치는 영향)

  • Chu, Chung;Chang, Young-Jin;Hur, Jun-Wook
    • Journal of Aquaculture
    • /
    • v.13 no.4
    • /
    • pp.317-323
    • /
    • 2000
  • Experimental cohorts of Mugil cephalus were divided into 5 groups : seawater~normal feed (SWN), acclimation to freshwater~normal feed (GFWN), acclimation to freshwater~salt feed (Gf\iVS), freshwater. normal feed (FWN) and freshwater-salt feed (f\iVS). Growth was faster in the SWN, Gf\iVS, and GFWN groups than in the f\iVS and FWN groups. Condition factor did not differ among the groups. Survival (92 %) of the juveniles was the highest in the Gf\iVS group; however, the other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Moisture of FWN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WN group (P < 0.05). Potassium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WN group than that of others (P < 0.05). It was highest (30 mmolfl) among the cohort of SWN.

  • PDF

Effects of Low Salinity acclimation on Oxygen Consumption in Giant Grouper, Epinephelus lanceolatus (염분변화가 대왕바리, Epinephelus lanceolatus의 산소소비에 미치는 영향)

  • Kim, Moon-Jin;Lim, Han-Kyu;Jeong, Min-Hwan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
    • v.27 no.2
    • /
    • pp.526-536
    • /
    • 2015
  • Changes of oxygen consumption in juvenile giant grouper, Epinephelus lanceolatu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find out the physiological responses associated with freshwater and low salinities acclimation. Salinity changes in this experiment were set as follows; 35 psu (Exp. I) as control, decrease in the manners of $35{\rightarrow}20{\rightarrow}10{\rightarrow}0$ psu (Exp. II), $35{\rightarrow}10{\rightarrow}0$ psu (Exp. III) and $35{\rightarrow}0$ psu (Exp. IV). The average oxygen consumption at $27^{\circ}C$ in Exp. I (control) was $106.9{\pm}0.7mg$ $O_2/kg/h$. In Exp. II, according to the changes of $35{\rightarrow}20{\rightarrow}10{\rightarrow}0$ psu in freshwater acclimation, fish showed the gradual decrease in oxygen consumption as $108.1{\pm}2.1$, $99.6{\pm}2.9$, $74.6{\pm}0.9$ and $62.7{\pm}1.0mg$ $O_2/kg/h$, respectively. The fish in Exp. III also revealed the same tendency as $106.5{\pm}1.3$, $77.0{\pm}1.2$ and $64.7{\pm}1.2mg$ $O_2/kg/h$, respectively. In Exp. IV, fish showed the decreased oxygen consumption from $109.0{\pm}0.9mg$ $O_2/kg/h$ of 35 psu to $71.6{\pm}2.0mg$ $O_2/kg/h$ of 0 psu. Giant grouper is thought to be a diurnal fish species, because the level of oxygen consumption during light period was higher than that during dark period.

Catalogue of the Pyralidae of Korea (Lepidoptera) I. Evergestiinae and Pyraustinae (한국산 명나방과 목록 I. 새들명나방아과(신칭), 들명나방아과)

  • Park K.T.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18 no.2 s.39
    • /
    • pp.89-100
    • /
    • 1979
  • [ $\lceil$ ]한국산 명나방과(Pyralidae)에 관하여는 이미 필자(1976)에 의하여 언급된바와 같이 1889년 영국인 곤충학자 J.H. Leech가 처음으로 9종의 신종을 발표한데 이어 현재까지 300여종이 기록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의 기록이 여러종류의 발표문에 산재해 있는 상태로 체계적인 정리가 이루어진바 없으며 학명뿐아니라 우리말 이름조차 갖가지로 쓰여지고 있어 곤충명 사용에 혼란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필자는 현재까지 발표되었던 종들을 조사하여 최근의 분류체계에 따라 학명 및 그들의 동의어(Synonym)를 정리함과 아울러 우리말 이름도 먼저 명명된 이름이나 또는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이름을 택하여 통일화하고 ( )안에 그 이명을 표시하였다. Evergestiinae(새들명나방아과, 신칭)은 현재까지는 주로 Pyraustinae(들명나방아과)에 포함되는 족(Tribe)으로 취급되어 왔으나 최근의 분류체계에 따라 독립된 아과로 취급하였다. 이들에 대해서는 Leech에 이어 일본인 Shibuya(1927년에 의하여 13종, 박세욱등 (1958, 1969)에 의하여 27종이 새로 기록되는등 1968년에 출판된 한국 동물명집 곤충편에는 94종이 수록되었다. 최근 필자(1976)에 의하여 우리나라 미기록종으로 발표된 24종과 기타 국내외의 문헌을 통한 기록의 근거를 기초로 작성된 이 목록에는 Evergestiinae에 1속 3종, Pyraustinae에 53속 123종이 포함되었으며 학명이 불분명하거나 채집의 근거가 불확실한 4종은 후미에 별도로 기재하였다. 분포란의 괄호안에 명시된 채집지는 필자에 의하여 채집 확인된 종들로서 그들의 표본은 농업기술연구소 곤충연구담당관실 표본실에 소장되어 있다. 다른 아과에 관하여는 정리가 완료되는대로 추후 발표할 예정이다.nemella hengsungica, Aphelenchoides besseyi 등으로 2아목 7과 11종이었다.는 내연가공한 옷생산에 사용되지 않는 것이 타당하겠다. 주아의 즙액에 의해서도 C. amaranticolor에 기계적 전염이 되었다. 7. C. amaranticolor 상에 계통분리된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내열성은 $65^{\circ}-70^{\circ}C$, 희석한계는 $10^{-}2-10^{-3}$, 그리고 보존한계는 2 일이었다. 8.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순화는 2회의 분획원심과 Sephadex gel filtration에 의해서 가능했다. 9. 전자현미경하에서 관찰한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는 길이 1200-1225mu 폭 10-12mu의 사상이었다. 10. 혈청학적 미량침강 반응법에 의해 마늘잎에서뿐만 아니라 인편과 주아에서도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검정이 가능했다. 11. 우리나라 5개 지방에서 수집한 마늘 종구 150개와 주아 30개에 대해 혈청학적방법으로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감염률을 조사한 결과 $100\%$의 감염률을 보였다. 12.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와 크기가 근사한 Potato Virus X. Potato virus Y, Potato virus S, Potato virus M 등과의 혈청학적 유연관계를 조사한 바,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는 이들과 구별되는 다른 바이러스라고 생각된다. 13. 마늘의 모자이크 감염주에서 단일계통으로 분리하여 본 실험에 사용한 바이러스는 마늘의 바이러스 무감염주를 얻을 수가 없기 때문에 직접 마늘잎에 접종해서 모자이크톤의 병원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없었지만, 검정식물상의 반응, 혈청학적반응, 전자현미경적 관찰등의 간접적인 조사 결과로 미루어 미인록의 마늘모자이크 바이러스라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