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확후생리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26초

감마선조사가 저장중 마늘의 생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Garlic Bulbs During Storage)

  • 권중호;윤형식;손태화;변명우;조한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08-412
    • /
    • 1984
  • 감마선 조사 (50, 100 및 500 Gy) 가 수확후 마늘의 생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저온 $(3\;{\pm}\;1\;^{\circ}C$, R. H. 70-80%) 과 실온 $(12{\pm}\;5\;^{\circ}C$, R. H. 75-85%)에 10개월간 저장하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마늘의 호흡량은 감마선 조사에 의해 일시적으로 자극되었으며, 기간의 경과에 따라 호흡량은 저장조건에 상당한 영향을 받았다. 모든 조사 (照射) 구와 저온 저장구는 저장 10개월까지 발아가 완전히 억제되었으나, 비조사구와 50Gy 조사구에서는 저장후 4 개월경부터 발근 현상을 보였다. 적정 선량의 감마선 조사는 저장중 마늘의 중량변화 및 변폐율의 감소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와 같은 현상은 비조사구 마늘이 발아되면서부터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또한 발아억제를 위한 감마선 조사는 마늘의 견고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홍고추의 저온저장 후 모의 유통온도가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helf Temperature on the Quality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after Low Temperature Storage)

  • 박성민;강원희;이윤수;김일섭;정천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4호
    • /
    • pp.526-529
    • /
    • 2001
  • 홍고추를 수확하여 $7^{\circ}C$에서 30일간 저장 후 변온처리에 따른 생리적 특성과 품질변화를 구명하여 저장산물의 유통온도 및 유통기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C_2H_4$ 발생량 및 호흡량은 $10^{\circ}C$ 이상의 변온에서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모의유통 5일 후 조사한 당 함량은 약 6.1% 내외로 유통온도 간 차이가 없었으나, sucrose 함량은 유통온도가 $13^{\circ}C$ 이상일 때 지속적인 저온유통 과실에 비해 절반 정도 감소하였다. Capsaicinoid 함량은 변온처리별 큰 차이가 없었으나, ascorbic acid 함량은 $7^{\circ}C$에 저장 후 유통온도가 저장온도보다 높으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저장 후 변온에 따른 부패율은 $13^{\circ}C$ 이하의 유통온도에서는 부패되지 않았지만, $15^{\circ}C$에서 22.2%, 실온에서 68.8%로 $7^{\circ}C$ 저장 후 온도가 높아질수록 부패율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저온저장한 홍고추는 저장온도를 크게 벗어나지 않게 유통시켜야 하며, 30일간 저장한 홍고추는 유통온도 $13^{\circ}C$ 이하에서 10일 내에 판매하는 것이 요구된다.

  • PDF

수확시기별 총체벼 사일리지 급여가 거세한우 반추위 발효성상 및 혈액생리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Whole Crop Rice Silage Harvested at Different Mature Stages on Rumen Fermentation and Blood Metabolites in Hanwoo Steers)

  • 최창원;오영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91-200
    • /
    • 2011
  • 본 연구는 반추위 cannula를 장착한 거세한우 4두(평균체중 600 ${\pm}$ 48.4 kg)를 공시하여 수확시기별(유숙기, 호숙기, 황숙기 및 완숙기) 총체벼 사일리지의 급여가 한우 반추위 발효패턴 및 혈액대사물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여 총체벼 가축사료화를 위해 최적의 수확기를 제시코자 실시하였다. 시간대별 채취한 반추위 소화액의 평균 pH는 처리구 간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p>0.05). 일일 반추위 pH 패턴에서 완숙기 처리구의 최저 pH가 유숙기, 호숙기 및 황숙기 처리구(2~4 h) 보다 늦은 사료섭취 후 6 h에 나타난 것으로 볼 때, 완숙기 총체벼 사일리지 급여 시 반추위 내 retention time이 증가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수확시기별 총체벼 사일리지 급여에 따른 반추위액 암모니아태 질소 농도에 통계적인 유의성을 나타나지 않았지만 (p>0.05), 황숙기에 비해 유숙기 처리구에서 반추위액 암모니아태 질소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11). 혈액대사물질 분석에서는 유숙기 처리구에 비해 황숙기 총체벼 사일리지 급여 시BUN 농도가 수치적으로 감소되었다. 이것은 유숙기의 낮은 반추위 암모니아태 질소 농도를 고려할 때, 반추위 내 암모니아의 하부소화기관으로 유입 여부에 따라 반추위내 암모니아태 질소와 BUN 농도는 비례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완숙기 처리구에 비해서 호숙기의 낮은 혈중 albumin농도(p=0.03)는 호숙기 총체벼 사일리지 섭취 시 체내 단백질 합성이 높아짐이 예상되나, 향후 생체 영양소 이용 기전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총체벼 수확시기에 따른 한우의 반추위 발효패턴 및 혈액대사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및 기존 사료가치평가를 종합해 볼 때, 한우 생체 사료가치가 가장 우수한 황숙기 총체벼 사일리지의 이용이 가장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전자동 감자 파종기 현장 적응성 평가 (Evaluate Adaptability of Automatic Potato Planter)

  • 최일수;오종우;유홍섭;이동훈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88-88
    • /
    • 2017
  • 감자 재배 기계화를 위한 전자동 감자 파종기의 기구적인 개념 설계를 수행하고, 시작기를 제작하였다. 시작기의 성능평가를 통해 기계화에 적합한 감자 재배양식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감자 재배 양식에 따른 주요 감자의 생육 사항, 수량성, 상품성 및 품질, 주요 생리 장애등을 측정하여 기계파종 후 재배상의 문제점 파악과 파종 시 기계적인 미비점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기존의 국내 관행적 감자 재배 작형별 재배방식은 1줄 재배의 경우 재배 형식이 둥근두둑 방식이며, 2줄 재배의 경우 평두둑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감자 파종기를 이용한 기계화 재배의 경우 평두둑으로 2줄 재배 방법을 채택하였다. 본 연구는 공시품종인 수미를 이용하여 봄 재배 형식으로 강릉 재배단지에서 실시하였다. 감자 파종은 2016년 3월 31일에 실시하였으며, 재배기간 92일을 소요하여 수확은 2016년 6월 30일에 하였다. 기계파종의 경우 두둑형식은 평두둑 2줄 재배양식 흑색비닐(파종구 세절) 파종 방법으로 전자동 기계파종을 실시하였고, 인력 파종의 경우 기계 파종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력으로 실시하였다. 기존의 재래적 방식인 관행파종은 두둑형식은 외줄 1줄 흑색비닐(유공) 파종 방법으로 인력파종을 실시하였다. 관행 파종 방법은 이랑사이 75-80cm, 주간거리 20-25cm, 흙덮기 8-12cm로 재식밀도는 5,000-5,300주/10a로 씨감자 160kg/10a 소요하여 파종하였다. 실험 결과 감자 파종방법별 출현율은 기계파종의 경우 79.9-88.4%, 인력파종의 경우 97.9-99.2%로 기계파종에서 인력파종대비 결주율이 10.0-18.5% 정도 발생되었다. 씨감자의 절단 방법은 4절에 비하여 2절에서 양호하였다. 상품 지수의 경우 관행파종을 기준(100)으로 기계 파종(90)과 인력 파종(103)은 4절로 작업한 곳에서 상품성이 높았다. 파종 전 싹틔우기 여부에 따라서는 생육 초기(30일 이전)에는 싹틔운 파종 방법이 양호하였으나, 생육 후기(30일 이후)에는 싹을 틔우지 않은 파종 방법이 양호하였다. 기계 파종을 이용한 4절 씨감자 파종은 부패율이 12.2%로 다른 대비군에 비해 높았다(1.9-7.6%). 수확량(kg/10a)은 기계파종에서 2,748-3,503 kg 으로 관행 3,883 kg 대비 71-90% 수준으로 나타났다. 싹틔우지 않은 감자 4절을 이용한 기계 파종 시 결주율이 18.5%, 부패율 12.2%으로 싹틔운 감자 2절을 이용한 기계 파종으로 할 경우 결주율 10%, 부패율 4.1% 으로 낮출 수 있다.

  • PDF

양송이 배지로부터 분리된 Bacillus subtilis NO12의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subtilis NO12 from button mushroom substrates)

  • 김혜수;박현영;이찬중;공원식;조수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49-253
    • /
    • 2017
  • Cellulase와 xylanase 분비능이 우수한 세균을 분리하기 위하여 부여군 석성면 지역의 양송이 재배농장으로부터 수확후배지를 수집하였다. 양송이 수확후배지로부터 12종의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이 중 cellulase와 xylanase 활성이 가장 우수한 균주 NO12를 최종 선발하였다. 분리균 NO12의 생리적 생화학적 특성은 Bacillus ID kit와 MicroLog system을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분리균 NO12는 Bacillus subtilis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었다. 분리균 NO12의 16S rDNA 염기서열도 B. subtilis와 99.2%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분리균 NO12는 B. subtilis NO12로 동정되었다. 분리균이 분비하는 cellulase와 xylanase 활성은 분리균이 증식함에 따라 대수증식기 중반부터 급격히 증가하였고 정지기에 진입하면 효소활성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xylanase 활성은 대수증식기 초기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대수증식기 중반에 최대활성을 나타내었다.

양파 유기재배에서 주요 품종간 생육 및 수량특성 비교 (The Comparison of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among Principal Bulb Onion (Allium Cepa L.) Cultivars in Organic Growing)

  • 민병규;이선영;문진성;하인종;황해준;임채신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3-58
    • /
    • 2015
  • 본 시험은 유기재배에 적합한 양파 품종 선발을 통해 유기재배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농가 선호도, 육성계통, 육종회사, 고정종, 교배종, 국내종, 외국종 등을 고려하여 15개 품종을 선발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각 품종들은 저온생장성, 동해 저항성, 추대, 분구 등 생리장해에 대한 저항성, 수확기 도복률 및 상품 수량 등 5개 영역에서 평가되었다. 교배종에서는 e-조은, 카타마루, 팝, 아트, 신기한 등이, 교배종에서는 창녕대고, 서울대고, 천주중고 등이 유기재배에 적합한 품종으로 선발되었다. 비록 적합한 품종으로 선발되지는 못했지만, 선파워는 구 특성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다. 고정종, 교배종간에는 저온생장성(엽초경), 수확기 도복률(5월 24일)을 제외한 전 영역에서, 국내종, 외국종 간에는 월동 후 결주율을 제외한 전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귀리 종자흑변병에 관여하는 Alternaria alternata 검출 및 발생원인 (Detection of Alternaria alternata Associated with Discolored Black Oat Seeds in Korea)

  • 최지민;송지혜;안준섭;김대욱;양광열
    • 식물병연구
    • /
    • 제29권4호
    • /
    • pp.414-419
    • /
    • 2023
  • 2023년에 강진 귀리 재배농가에서 종자흑변병이 의심되는 종자가 다수 관찰되었다. 흑변 증상을 보이는 귀리종자 132개를 선발하여 곰팡이 감염률을 조사한 결과, Alternaria속이 84%를 차지할 만큼 우점으로 검출되었고 Alternaria alternata로 동정되었다. 강진 재배농가의 같은 포장에서 2022년에 수확한 종자와 외관 및 품질을 비교한 결과,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이 2023년의 귀리 종자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종자 품질을 평가하는 전기전도도는 2023년 종자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측정되어 종자의 활력에 차이가 있었다. 귀리 파이토알렉신으로 알려진 아베난쓰라마이드 함량은 2023년 종자에서 2022년에 비해 10배 정도 높게 분석되었다. 출수 후 수확하기 전 생식생장 기간에 해당하는 2023년 5월 강진의 한 달 평균 강수량은 2022년 5월에 비해 230배 많았고 평균 상대습도도 높아 A. alternata의 감염에 적합한 환경이 조성되어 종자흑변병이 발생하였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기후변화로 대발생할 수 귀리 병에 대한 모니터링과 함께 적극적인 방제 노력이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포도 품종간 송이 부위별 생리적 특성과 수확 후 냉각과 유통성 관계 (Physiological properties of grape cluster portions between cultivars and the effect of postharvest cooling on the marketability)

  • 민정호;임병선;최윤수;이경민;김달우;황용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39권1호
    • /
    • pp.1-8
    • /
    • 2012
  • Rapid loss of grape berry quality after harvest occurs due to poor postharvest management. Understanding physiological properties between cultivars is required to develop practical technologies to control fast quality deterioration of tables grapes.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whole cluster, rachis and berries were examined to find their effects on postharvest behaviour of table grapes. 'Tamnara' showed high respiration rate and browning of rachis compared to 'Campbell Early'. Weight loss of rachis of 'Cheongsoo' was highest of three cultivars. Berry decay in 'Cheongsoo' begins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peduncle and berry, and berry decay of 'Cheongsoo' was the most severe among three cultivars. Precooling at $0^{\circ}C$ showed better results than cooling at $10^{\circ}C$ regardless of cultivars but cooling effect decreased when simulated marketing period increased up to 10 days. Plastic film wrapping was effective on reducing decay in general but not at higher marketing temperature. For successful commercialization of newly developed grapes, the inhibition technology of rachis browning in 'Tamnara' is required and decay control in 'Cheongsoo' through establishment of cold chain system is recommended.

볏짚에 함유한 생리활성물질 탐색 (Search for Allelopathic Compound in Rice Straw)

  • 이춘우;김용욱;윤의병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75-381
    • /
    • 1997
  • 볏단이 있던 곳이나 콤바인 수확한 볏짚이 피복된 곳은 잡초 발생인 생육이 감소하는 현상이 관찰되고 있다. 이는 볏짚에 함유한 allelopathic 물질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어 볏짚을 80% 메칠알콜로 추출후 둑새풀로 생물검정, 10종의 표준 유기산이 둑새풀의 생육과 발아에 미치는 영향, 볏짚추출물을 silicagel column 으로 분획후 HPLC, GC/MS로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았다. 1. HPLC분석에 의하여 볏짚에는 fumaric acid와 4종류의 미확인 유기산이 확인되었다. 2. fumaric acid를 포함한 7종의 유기산은 $10^{-2}$의 농도에서 둑새풀의 생육을 상당히 억제하였고 특히 발아를 100-90% 억제시켰다. 3. 볏짚에 함유한 물질중 억제효과가 가장 큰 것은 GC/MS분석에 의하여 II-4-4Rf 0.5에 함유한 물질로 분자량 253인 치환된 유기산인 신물질로 Octadecanoic acid, 2-oxo-, methyl ester에서 methyl ester가 유리된 물질로 추정되었다.

  • PDF

전복에서의 갈조류 곰피의 섭취 및 phlorotannin 축적 (Dietary Intake and Accumulation of Phlorotannins in Abalone after Feeding the Phaeophyte Ecklonia stolonifera)

  • 이싸 방구라;홍용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780-785
    • /
    • 2015
  • 전복을 4일간 굶긴 후 phlorotannin-고함유 곰피를 제공하여 이의 섭취 및 phlorotannin 축적정도를 조사하였다. 전복의 성장속도는 곰피 혹은 일반 사료로 쓰이는 다시마를 20일간 투여한 경우 서로 비슷하였다. 주된 phlorotannin 성분인 7-phloroeckol 및 eckol은 역상 HPLC로서 측정하였다. 7-phloroeckolol은 섭취 6일만에 전복 건조육 1g당 0.58±0.13 mg 정도 축적되었다. Eckol은 6일만에 전복 건조육 1g당 0.25±0.05 mg 정도 축적되었으며 실험기간 내 그 정도를 유지하였다. 대조군로서의 다시마 투여 전복은 phlorotannin을 전혀 함유하지 않았다. Phlorotannin은 전복 조직내에서의 구성효소들에 의하여 분해되어 지는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닌 phlorotannin 물질들을 가진 고부가 가치의 전복 생산은 전복수확 6일전부터 간단히 사료만 phlorotannin-고함유 곰피로 바꾸어 공급함으로서 생산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