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확기계

Search Result 404, Processing Time 0.02 seconds

Current Status and the Way Forward for Fruit Harvesting Mechanization (과수 수확작업 기계화 현황 및 추진방향)

  • Kim, Young-jin;Choi, Kyu-hong;Kim, Seo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53-53
    • /
    • 2017
  • 연구목적: 국내 과일 산업의 한 단계 도약과 대외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확작업의 기계화가 시급함. 이 연구는 국내외 과일 수확 기계화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향후 수확작업 기계화 방향을 제시하고자 수행 수확기계 실용화 현황 및 고찰 (국내) 과일을 직접 수확이 아닌 수확 작업을 보조해주는 고지 작업기(수동형, 모터 진동형)와 고소 작업차가 대부분임. 수동형은 사과 감 등을 수확하지만, 작업능률이 낮고 작업자가 쉽게 피로하여 장시간 작업이 불가능하므로 실질적인 대안이 되지 못함. 진동형은 자체 동력을 이용하여 나무에 진동을 가하여 주로 대추 매실 등 소과류 수확에 이용되고, 수확능률은 우수하나 충격 손상이 많아 개선이 요구됨. 고소작업차는 동력원에 따라 충전식과 엔진식으로 구분되고, 충전식은 엔진식에 비해 진동 소음이 적어 쾌적하지만, 작업시간이 배터리 용량에 제한을 받음. 또한 작업대 작동방식에 따라 리프트형과 붐형으로 구분함. 리프트형은 리프트를 이용하여 작업대를 상하로 구동하는 방식으로 높은 위치의 과실 수확이 어렵고, 작업대 넓이 만큼의 작업 공간(과수간의 거리)이 필요함. 붐형은 필요한 곳으로 접근성이 우수하나 무거운 무게를 지탱하기 어렵기 때문에 본체를 무겁게 하거나 수시로 수확된 과일을 하차시켜야 함. (국외) 수확 후 가공되는 과일류와 포도 올리브 오렌지 매실 등 소과류 수확이 기계화되었지만, 사과 복숭아 등 신선과일은 아직도 외국의 값싼 노동자들에 의존하여 수확되고 있음. 현재 실용화된 수확 기계는 진동식 수확기계와 터널식 수확기계가 대표적임. 진동식은 집게형의 부착기를 나무 줄기에 고정한 후 트랙터 동력원으로 나무에 진동을 가하여 수확하고, 올리브 대추 등과 같은 소과류와 과피가 두꺼운 오렌지 등에 적용되고, 수확 작업능률이 매우 높으나 과일의 낙하 상처를 피할 수 없는 단점이 있음. 터널형은 규격화(과수 크기 및 형태, 재식거리)된 과수원에 잘 적응하도록 설계 제작되어, 과수 위를 지나가면서 내부에 설치된 진동장치와 컨테이너로 과일을 수확하고, 와인용 포도 수확기가 대표적임. 기계수확이 가능하도록 과수원 조성단계에서부터 재배양식(과수 좌우 및 전후 거리)을 기계의 제원(바퀴 간격, 작업부 간격 등)에 맞추어 재배함. 과일 수확로봇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고 일부에서 실증시험단계에 있음. 결론: 구체적인 추진방향을 제시하면, 단기적으로는 과일 수확작업자의 작업편이성과 노동강도를 줄일 수 있도록 소형 저가 범용성이 우수한 보조기구/기계의 보급을 확대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수확기계/수확로봇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비 투자를 늘리는 동시에, 기계/로봇이 과수원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수형 재식거리 등 재배양식의 표준화가 추진되어야 함.

  • PDF

Effects of impact by mechanical harvesting on storability of onions (Allium cepa L.) (기계수확 시 발생한 충격이 양파(Allium cepa L.)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 Young-Kyeong Kwon;Yong-Jae Lee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30 no.5
    • /
    • pp.811-821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orability of onions according to manual and mechanical harvesting. Moreover, we simulated the onion-to-onion impact during the mechanical harvesting process and investigated the storability after artificially subjecting the onions to impact treatment. The onion harvesting methods included hand plucking + manual collection, digger + manual, and digger + mechanical collection. The maximum impact height during the mechanical harvesting process was 0.5 m. Immediately after harvest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ruise and wound rate among the harvesting methods was observed. Any increased bruise or wound rate because of mechanical harvesting was presumed to be influenced by soil conditions, such as the presence of gravel, and machine operation factors. Furthermore, the storability during the 8.5 months storag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harvesting methods. In treatments by simulating the impacts during the mechanical harvesting process, the impact heights were 0.0 m (0.0 J), 0.25 m (0.86 J), 0.5 m (1.72 J), and 0.75 m (2.57 J), each performed once, and four times at the same position (3.43 J) and four times at different positions (3.43 J) at 0.25 m. Throughout all the treatme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orability during the 8.5 months storage period.

Mechanical harvest efficiency to rhizomes of Rehmannia glutinosa Libosch. (지황의 기계수확 효율비교)

  • 남상영;김인재;김민자;이철희;김태수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15 no.1
    • /
    • pp.72-76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an effective mechanical harvester for rhizomes of Rehmannia glutinosa Libosch. Labor-saving efficiency showed 69∼76% by using tillage operations with power tiller, digger attached to power tiller, and digger attached to tractor compared with manual harvest. Loss percentage of rhizomes by mechanical harvesters was 3.1∼ 9.3% higher, and fresh rhizome yield was 2∼6% lower than that by manual harvest, respectively. Although it showed higher loss percentage of rhizomes and lower fresh rhizome yield compared with manual harvest, mechanical harvest using digger attached to power tiller or digger attached to tractor was effective in labor-saving for rhizomes of Rehmannia glutinosa Libosch.

Design and Performance Parameters of a Vibrating Digger (진동굴취기의 설계 및 작업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설계요인)

  • 문학수;강화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7a
    • /
    • pp.135-140
    • /
    • 2002
  • 뿌리작물재배에서 수확작업은 노동 강도가 크고 비교적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고 있다. 뿌리작물의 수확작업에 주로 전용수확기가 사용되고 있는데 전용수확기는 어떤 특정한 작물에만 사용되기 때문에 이용률이 비교적 낮다. 이런 이용률이 낮은 기계를 구입하는 농민의 입장에서 보나 이런 기계를 공급하는 기업의 입장에서 볼 때 어떤 특정한 작물의 수확에만 국한되지 않고 물성이 서로 다른 뿌리작물의 수확에도 이용할 수 있는 굴취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중략)

  • PDF

Development of the Servo Control System for the Apple harvesting Robot (사과 수확 로봇 관절의 서보 제어장치 개발)

  • 장익주;정종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7a
    • /
    • pp.141-147
    • /
    • 2002
  • 생물 생산의 여러 과정 중에서도 자동화 기계의 개발과 제어 기술이 요구되는 부분은 이식이나 접목, 작물의 관리, 수확 등의 정밀한 반복 작업으로 볼 수 있다. 특히, 로봇에 의한 수확 작업중의 하나인 과실 수확 로봇은 각각의 대상물을 직접 다루어야 하면서도, 과실의 특성상 수확 작업에 의한 손상의 위험이 크기 때문에 정교한 제어가 요구된다. (중략)

  • PDF

Development of Chinese Cabbage harvester(IV) -Manufacture and Performance Test of The Prototype Harvester - (배추수확기 개발(IV) -시작기 제작 및 성능시험-)

  • Hong, J.T;Choi, Y;Kim, Y.K;Jun, H.J;Park, W.K;Hwang, 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7a
    • /
    • pp.114-120
    • /
    • 2002
  • 배추는 발효식품인 김치의 주원료가 되는 중요한 채소로서 고추 다음으로 많이 재배되고 있는 농가소득 작목의 하나이다. 배추재배는 2000년 말 51,801㏊로 총채소 재배면적의 약13%를 차지하고 있다. 수확작업은 배추재배 중 가장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하여 전체 노동투하 시간의 16.1-19.4%를 차지하고 있고, 주산지재배로 수확시기에 노동피크를 이루며 인력수확 시 부피가 크고 무거워 경노동화를 위한 결구 배추수확기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피러나 수확작업에 대한 기계화 요구도가 높은 반면에 배추는 조직이 연약하여 손상되기 쉽고 재배양식이 다양하며, 동일포장 내에서도 지면요철이 있고, 배추크기의 차이로 기계수확 장애요인이 많아 기계화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중략)

  • PDF

Study on mechanization of red pepper cultivation (고추재배 일관기계화 실태조사)

  • 이채식;조광환;김충길;김학진;강태경;이중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48-53
    • /
    • 2002
  • 가. 작업단계 별 작업수단 및 노동투하시간 -고추재배는 포장준비 등 일부작업을 제외하고는 인력작업에 의존하고 있으며, 육묘에서 수확 및 수확후 포장처리가지의 총 노동투하시간은 266.7시간/10a로 수확작업이 44.5%로 많았으며, 다음으로 육묘, 지주세우기 및 제거, 정식, 방제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력 및 생산비절감을 위해서는 고추재배 기계화가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나 일관기계화방안 -고추재배시 기계화를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경지규모의 협소함, 재배지의 필지의 분산, 협소한 조간간격, 비닐멀칭 및 지주유인재배, 수확기간의 길이가 길고 횟수가 많음 등으로 나타났으며, 기계화가 곤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추재배일관기계화를 위하여는 공동 또는 공정육묘, 트랙터 등 대형기계중심의 포장준비, 정식은 자동정식기보급, 관수·시비자동화와 붐방제기 또는 방제장치시설화, 기계수확이 되어야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Once-Over Harvest Pepper Harvester(I) - A Fundamental Factor Test for Pepper Detachment - (일시수확형 고추수확기 개발에 관한 연구 (I) - 고추 탈과 기초요인시험 -)

  • Kim, Y. K.;Hong, J. T.;Choi, Y.;Jun, H. J.;Park, H. J.;Cho, Y. 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54-59
    • /
    • 2002
  • 1. 일시수확형 고추의 기계수확 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4종류의 탈과장치를 제작하여 공시고추로 탈과시험을 실시한 결과 탈과장치는 방사대칭식(브러쉬형), 고추이송(공급)속도는 0.1m/s, 탈과장치 간격은 3cm, 탈과장치 회전수는 180rpm에서 정상탈과율 77.3%, 손상률 7.6% 미탈과율 3.0%로 가장 양호한 성적이 나타났다. 2. 방사대칭식(브러쉬형) 탈과장치를 이용하여 무지용 상향착과형 고추, 지주용 하향착과형 고추, 지주용 상향착과형 고추를 공시하여 고추별 탈과시험을 실시한 결과, 고추이송(공급)속도 0.1m/s, 원통사이간격 3cm, 탈과장치 회전수 180rpm에서 가장 양호한 성적이 나왔으며, 지주용 하향착과형 고추가 정상탈과률 82.7%, 손상률 7.4%, 미탈과율 2.7%로 무지주용 상향착과형 고추(52.3%, 14.3%, 12.5%)와 지주용 상향착과형 고추(77.3%, 7.6%. 3.0%)에 비해 기계수확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이상의 고추 기계수확 요인시험의 결과, 탈과장치는 방사대칭식(브러쉬형) 고추종류로는 하향착과형 고추가 기계수확에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확 후 회수가 가능한 줄기부착고추를 포함한다면 고추기계수확률은 80% 이상, 꼭지가 떨어진 것이 대부분인 손상고추도 수확 후 즉시 기계건조하여 가공용으로 사용한다고 가정한다면 기계 수확률은 90% 이상 가능하지만, 이것의 수용 여부는 좀 더 폭넓은 의견수렴 및 조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4. 고추수확 기계화를 위해서는 실내요인 시험 결과를 토대로 포장에서 수확메커니즘 구명과 더불어 고추 과실이 크고 무지주용 하향착과형 일시수확형 고추 품종의 개발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5) 마늘 선별작업 -마늘선별기는 작업성능이 높고 5등급으로 균일 선별되었으며 손상도 없었으나, 기계가 크고 무거워 이동이 곤란하고 가격이 비싸므로 선별등급을 3∼4단계로 줄이고 소형 농가보급형으로 개량제작이 요구됨. 나. 마늘재배 일관기계화에 의한 노동투하시간과 비용 -종자준비부터 통마늘선별까지의 일관기계화로 투입된 주요작업의 노력은 75∼76%가 절감되고, 재배규모 3ha기준시 비용은 44-53%절감되었음. the annealing texture. Observations by TEM and EBSD revealed the formation of very fine grains of ∼1.0$\mu\textrm{m}$ after CCSS.he dislocations form local defect arrangements at the grooves permitting the substantial reduction in defect density over the remainder of the interfacial area.한 최대의 감자 재배지역을 형성하였다. 제주도는 산지지형과 따뜻한 기온으로 2기작이 가능하고, 감자가공 공장설립과 교통발달에 따른 육지 시장과의 접근이 용이해졌기 때문에 남한에서 2번째로 큰 감자재배지역이 되었다.(요약 및 결론에서 발췌)그람양성균에서 효과적이었으며, 농도별 항균력시험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저해율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첨가농도를 달리하여 미생물의 생육도를 측정한 결과, fraction II磎꼭\ulcorner경우 그람양성균에 대해 500 ppm 이상에서 뚜렷한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서 뚜렷한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Mechanization Measures for Sustainable Local Foods (지속 가능한 로컬 푸드를 위한 기계화 방안)

  • Kang, Mon-seok;Choi, Kyu-hong;Kim, Seo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52-52
    • /
    • 2017
  • 연구목적: 생산자와 소비자의 물리적 사회적 거리가 가까워지고, 1일 유통체계 준수에 의한 높은 신선도 유지, 먹거리에 대한 생산자와 생산정보 공유에 의한 농산물 안전성 향상 등 여러 장점 때문에 늘어나고 있는 로컬 푸드의 지속발전을 모색하고자 로컬 푸드 참여농가의 농작업 어려움 조사 및 기계화 방안 제시 조사방법: 전북 완주군 소재 용진농협에서 운영 중인 로컬 푸드 직매장에 농산물을 공급하는 농업인 21인을 대상으로 2016년 11월에 로컬 푸드의 어려운 점, 주요 생산품목, 가장 힘든 농작업, 기계화가 시급한 농작업, 농기계 도입에 어려운 점, 의견 및 건의사항을 설문 조사 분석하였음 결과 및 고찰: 로컬 푸드 참여 농가들은 4~5개 품목을 소량 생산하고, 농가에서 수확 소포장 라벨 부착 후 매장에 직접 진열하고 있었음. 농협은 정선 선별기, 소형 도정기, 포장기, 바코드 기계 등을 설치하여 농가 공동이용, 안전성 신선도 관리 등 교육, 스마트폰 앱을 매장 재고 현황을 농업인에게 실시간으로 제공 등 지원하고 있음. 조사에 응한 농업인 21명 중 60대(13명) > 50대(5명) > 70대(3명)로 모두 50대 이상이었음. 어려운 점에 대한 물음에 대해서는 '판매가 어렵다'(45%) > '인력이 부족하다'(40%) > '생산비가 많이 든다'(8.5%) > 기타(6.5%) 순이었음. '인력부족'은 파종과 수확 시기에 노동력이 집중적으로 필요한 것에 기인하고, 경지 규모가 다소 큰 농가에서는 농사일을 전문으로 하는 외국인 노동자를 고용함으로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소하지만, 소규모 농가는 품삯을 주고 고용할 경우 오히려 적자이기 때문에 고되더라도 자체 노동력으로 해결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음. 가장 힘든 작업은 수확(81%) > 파종 정식(19%)으로 수확이 절대적으로 힘든 작업이라고 응답하였고, 기계화가 시급한 작업은 수확(71%) > 파종 정식(29%)으로 응답하였음. 힘든 이유로는 적기에 수확을 끝내야 상품성을 인정받을 수 있기 때문에 단기간에 많은 노동력이 요구된다고 응답하였음. 농기계 도입에 어려운 원인으로는, '적합한 수확기계가 없다'(48%)와 '재배면적이 적어 필요성을 못 느낀다'(29%)가 대부분이었고, 이밖에 '가격이 비싸다'(10%), '기계 정확도가 떨어진다'(10%), '기계 조작이 어렵다'(5%)로 나타났음. 결론: 로컬 푸드 참여 농가를 대상으로 농작업 기계화 현황에 대하여 조사하였음. 로컬 푸드의 지속 발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면; 첫째, 중 소농을 위한 수확기 개발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둘째, 농기계가 아니더라도 우선 힘든 일을 해소하면서 편하게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작업 보조기구 또는 편이장비의 개발 보급이 필요함. 셋째, 농가의 영세성과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술센터 농기계임대사업이나 시군 보조사업을 통해서 소형 농기계, 농기구, 보조 및 편이장비 보급이 확대되어야 함.

  • PDF

Comparison of Rhizome Harvesting Methods Saururus chinensis (삼백초의 기계수확 효율비교)

  • 남상영;김익제;김인재;김민자;이철희;김태수;손석용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47 no.3
    • /
    • pp.157-160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the harvesting efficiency of equipment used fer harvesting of rhizomes of Saururus chinensis Bail. Labor-saving efficiency showed 60-67% enhancement by using tillage operations with power tiller, digger attached to power tiller, and digger attached to tractor compared with manual harvest. Loss percentage of rhizomes by harvesting equipments was 2.2-8.8% lower than by manual harvest. Fresh rhizome yield and income index were increased 3-10% and 13-27% respectively by harvesting equipments, showing the highest yield and index in digger attached to tractor, Thus, digger attached to tractor showed the most effective harvest equipment for Saururus chinensis rhizome.